KR20020007777A -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777A
KR20020007777A KR1020000041222A KR20000041222A KR20020007777A KR 20020007777 A KR20020007777 A KR 20020007777A KR 1020000041222 A KR1020000041222 A KR 1020000041222A KR 20000041222 A KR20000041222 A KR 20000041222A KR 20020007777 A KR20020007777 A KR 2002000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vacuum evaporation
evaporation
manufacturing
evapo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106B1 (ko
Inventor
윤경훈
송진수
안병태
이두열
Original Assignee
손재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손재익
Priority to KR102000004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1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01L31/032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comprising only AIBIIICVI chalcopyrite compounds, e.g. Cu In Se2, Cu Ga Se2, Cu In Ga Se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1Physical deposition at reduced pressure, e.g. MBE,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01L31/03923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including AIBIIICVI compound materials, e.g. CIS, CI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1CuInSe2 material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 원소인 Cu, In, Se 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공증발이 가능한 Se계 이원화합물(Cu2Se, In2Se3)과 Se을 진공에서 동시에 증발증착하여 저가 고효율의 CuInSe2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CuInSe2(CIS) 화합물반도체를 광흡수층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CIS 화합물반도체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속원소가 아닌 Se계 이원화합물(Cu2Se, In2Se3)과 Se을 동시증발물질로 사용하여 진공증발증착실에서 기판의 온도에 변화를 주면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CuInSe2계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 박막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CuInSe2 thin film using vacuum evaporation of binary selenides}
본 발명은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금속 원소인 Cu, In, Se 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공증발이 가능한 인듐 셀레나이드(indium selenide)와 카파 셀레나이드(copper selenide)등의 이원화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발증착하는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합물반도체 CuInSe2(CIS)를 광흡수층으로 이용한 박막태양전지는 소다석회유리를 기판으로 금속전극(Al, Ni, Ag)/ZnO/CdS/CuInSe2/Mo/soda-lime glass 구조로 4개 이상의 단위박막을 순차적으로 쌓아올려 제조한다.
CIS계 박막 태양전지는 기존의 결정질실리콘(두께 : 수백 마이크론) 태양전지와는 달리 그 두께가 10 마이크론 이하로 제작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실험실적으로 최고변환효율이 18.8%로 여타 박막 태양전지에 비해 월등히 높아 기존 결정질실리콘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 고효율의 태양전지로 그 상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구조의 태양전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CIS 박막으로 저가, 고효율, 대면적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이다.
CIS를 제외한 각 단위박막의 제조법으로 Mo는 D.C. 스퍼터링, CdS는 CBD(Chemical Bath Deposition), ZnO는 R.F. 스퍼터링, 금속전극은 전자선 증발증착이 이용되고 있다.
가장 핵심층인 CIS계 박막의 제조에 관한 선행기술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첫 번째는 진공하에서 금속원소를 동시에 증발증착하는 삼단공정(three stage process)(미국 특허 4,523,051, 1985. 6. 11)으로 현재까지 가장 높은 변환효율의 태양전지는 이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Cu-In 전구체(precursors)를 먼저 제조한 후 이를 H2Se 분위기에서 셀렌화(selenization) 하는 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두 번째 방법에서 Cu-In 합금은 증발증착, 스퍼터링(미국 특허 4,798,660, 1989. 1. 17) 또는 전착법(미국 특허 5,730,852, 1998. 3. 24, 국내특허 특1999-0071500, 공개일 1999. 9. 27) 등으로 제조한다.
하지만 금속원소의 증발증착을 이용한 삼단공정(Three stage process)의 경우 금속원소의 증발기구로 비록 그 가치는 인정받고 있지만 값이 비싼 이퓨젼 셀(effusion cell)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박막이 대면적으로 갈수록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셀렌화(selenization)법은 삼단공정(three stage process)과 마찬가지로 효율은 확보된 상태지만, 공정면에서 Cu-In 전구체를 증착하는 과정과 Se을 추가로 공급하는 과정이 분리되어 있어 비효율적이며, 증착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원소인 Cu, In, Se 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공증발이 가능한 Se계 이원화합물(Cu2Se, In2Se3)과 Se을 진공에서 동시에 증발증착하여 저가 고효율의 CuInSe2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막을 광흡수층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CuInSe2박막 제조장치인 이원화합물 진공증발 증착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장치도를 이용한 CuInSe2박막 진공증발 증착과정의 모식도,
도 4는 이원화합물 In2Se3와 Cu2Se를 도 3의 방법으로 제조한 CuInSe2박막의 X-선 회절패턴도,
도 5는 이원화합물 In2Se3와 Cu2Se를 도 3의 방법으로 제조한 CuInSe2박막의깊이에 따른 조성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의 CuInSe2박막을 광흡수층으로 이용하여 제작한 Ag/ZnO/CdS/CuInSe2/Mo/soda-lime glass 구조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곡선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유리) (2) : 이면전극 (Mo 박막)
(3) : p형 반도체 (CuInSe2계 박막) (4) : n형 반도체 (CdS, InxSey박막)
(5) : 창층 (ZnO, ITO 박막) (6) : p측 전극
(7) : n측 전극 (8) : 진공증발 증착실
(9) : 기판회전용 모터 (10) : 박막두께 센서
(11) : 기판가열용 할로겐램프 (12) : 기판홀더
(13) : 기판 (14) : 창 (View port)
(15, 16, 17, 18) : W-boat or effusion cell
(19) : In2Se3(20) : Cu2Se
(21) : Se (22) : In2Se3+ Se
(23) : Cu2Se + Se
(T1) : 250∼350 ℃ (T2): 550∼650 ℃
본 발명의 구성은 CuInSe2(CIS) 화합물반도체를 광흡수층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CIS계 화합물반도체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속원소가 아닌 Se계 이원화합물(Cu2Se, In2Se3)과 Se을 동시증발물질로 사용하여 진공증발증착실에서 기판의 온도에 변화를 주면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CuInSe2계 박막을 제조한다.
상기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기판온도를 T1으로 하여 인듐 셀레나이드(In2Se3)가 장착된 증발기구를 가열하고, 연속적으로 카파 셀레나이드(Cu2Se)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시키는 단계와, 기판온도를 T2로 상승시켜 Se만을 진공증발 증착하여 기판 온도를 유지한 후, 다시 인듐 셀레나이드(In2Se3)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 증착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냉각하여 제조한다.
상기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온도를 T1으로 하여 인듐 셀레나이드(In2Se3)가 장착된 증발기구를 가열하고, 연속적으로 카파 셀레나이드(Cu2Se)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Se분위기를 가진 다른 장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온도를 T1으로 하여 인듐 셀레나이드(In2Se3)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시키는 단계와, 기판을 T2로 승온시킨 후 카파 셀레나이드(Cu2Se)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증발증착시키고, 기판의 온도를 유지한 채 다시 인듐 셀레나이드(In2Se3)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증발증착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냉각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기판온도 T1은 250 ∼350℃이고, 기판온도 T2는 550 ∼650℃로 한다.
상기에서 진공증발증착실의 증발기구로는 텅스텐 보트(boat)나 이퓨젼 셀(effusion cell)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CuInSe2계 박막을 광흡수층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단면구조도인데 하부층으로부터 기판(1), 이면전극(Mo 전극, 2), p형 반도체(CuInSe2계 박막, 3), n형 반도체(Cds, InxSey, 4), 창층(ZnO, ITO 박막, 5)의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전극(2)위에 p측 전극(6)이 형성되어 있고, 창층(5)위에는 n측 전극이 형성되어 태양광에 노출시 발생한 전기가 외부로 흐르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CuInSe2계 박막 제조장치인 이원화합물 진공증발 증착장치의 개념도인데, 그 구성을 보면 내부가 진공을 유지하는 진공증발 증착실(8)의 내부 하부쪽에 텅스텐 보트 또는 이퓨젼 셀(effusion cell)(15, 16, 17, 18)이 장치되어 있다.
진공증발 증착실(8)의 상부면에는 기판회전용 모터(9)가 장착되어 있고, 이와 연동하는 기판가열용 할로겐램프(11)와 기판홀더(12)와 기판(13), 박막두께센서(10)가 진공증발 증착실(8)의 내부에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의 상황을 검사할 수 있는 창(14)이 진공증발 증착실(8)의 일측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원화합물의 증발기구는 텅스텐 보트 또는 이퓨젼 셀(effusion cell)이며, CuInSe2박막의 제조과정은 도 1의 장치도를 이용한 CuInSe2계 박막 진공증발 증착과정의 모식도를 도시한 도 3의 Ⅰ과 Ⅱ로 나타내었다.
증착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세 개의 텅스텐 보트(boat) 또는 이퓨젼 셀(effusion cell)에 인듐 셀레나이드(indium selenide), 카파 셀레나이드(copper selenide), Se을 채우고 증착실의 진공도를 1×10-6torr로 유지한다.
기판으로는 소다-회 유리(soda-lime glass)와 molybdenum(Mo)이 증착된 소다-회 유리(soda-lime glass)의 두 종류를 사용한다.
도 3의 Ⅰ의 텅스텐 보트를 이용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기판온도를 T1으로 하고 인듐 셀레나이드(indium selenide)가 장착된 보트를 가열하여 인듐 셀레나이드를 증발시킨 후 연속적으로 카파 셀레나이드(copper selenide)가 장착된 보트를 가열하여 카파 셀레나이드를 증발시키고, 그 후 기판온도를 T2로 승온하고 Se만의 진공증발과정을 통하여 CuInSe2박막을 제조한다.
이 후 동일한 기판온도를 유지하고, 인듐 셀레나이드(indium selenide)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진공증발시켜 제조된 박막표면에 인듐과잉(In-rich) CuInSe2물질을 형성시킨다.
도 3의 Ⅱ는 삼단공정(three stage process)과 동일한 공정이나 3단계에 걸쳐 이원화합물과 Se을 동시에 증발증착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1>
도 2에 나타낸 진공증발 증착장치를 이용하며, 박막제조공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된다.
장치내의 텅스텐 보트 또는 이퓨젼 셀(effusion cell)에 Se계 이원화합물 (Cu2Se, In2Se3)과 Se을 각각 정량하여 장착하고 진공하에서 도 3의 Ⅰ또는 Ⅱ의 과정으로 원료물질의 진공증발 증착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물질이 CuInSe2박막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X-ray 특성 검사를 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이원화합물 In2Se3와 Cu2Se를 도 3의 방법으로 제조한 CuInSe2박막의 X-선 회절패턴도인데, 이로부터 CuInSe2상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태양전지는 다층막으로 제조되므로 CuInSe2박막의 표면특성은 계면특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탄하고 균일한 표면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제조된 CuInSe2박막의 조성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제전자분광(Auger electron spectroscopy : AES)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이원화합물 In2Se3와 Cu2Se를 도 3의 방법으로 제조한 CuInSe2박막의 깊이에 따른 화학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박막내부는 구리(copper)의 함량이 인듐의 함량보다 약간 많은 상태이며, 표면근처는 인듐(indium)과 Se의 함량이 내부에 비하여 많은 상태로 이는 태양전지특성을 좌우하는 양질의 광흡수층으로서의 CuInSe2막의 조성분포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CuInSe2계 박막을 광흡수층으로 이용하여 제작한 Ag/ZnO/CdS/CuInSe2/Mo/soda-lime glass 구조 태양전지의 전류-전압 곡선을 도시하고 있는데, CuInSe2박막을 이용하여 Ag/ZnO/CdS/ CuInSe2/Mo/soda-lime glass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조한 결과 증발기구를 텅스텐 보트를 이용한 경우에 5.4%(도 6의 a), effusion cell을 이용한 경우에는 9.59%(도 6의 b)의 태양전지 변화효율을 얻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Se계 이원화합물(Cu2Se, In2Se3)과 Se의 진공증발 증착법을 이용할 경우에 기존에 보고되고 있는 금속 원소를 이용하는 삼단공정(three stage process)법과 셀렌화법에서 얻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용 CuInSe2단일막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원화합물을 증발물질로 사용할 경우 Cu, In 등의 원소에 비해 증발이 용이하여 저가의 텅스텐 보트를 증발기구를 이용할 수 있고, 이퓨젼 셀(effusion cell)을 진공증발기구로 이용시에는 증발에 소요되는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다.
즉, 금속 원소인 Cu, In, Se 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공증발이 가능한 인듐 셀레나이드(indium selenide)와 카파 셀레나이드(copper selenide) 등 이원화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발증착하여 CuInSe2박막 및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본 발명은 일정온도에서 이원화합물의 증기압이 금속원소의 증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공정 온도를 그 만큼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박막 증착에 소요되는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제조공정의 저가화를 이룰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6)

  1. CuInSe2(CIS) 화합물반도체를 광흡수층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CIS계 화합물반도체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속원소가 아닌 Se계 이원화합물(Cu2Se, In2Se3)과 Se을 동시증발물질로 사용하여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진공상태로 기판의 온도에 변화를 주면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CuInSe2계 박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온도를 T1으로 하여 인듐 셀레나이드(In2Se3)가 장착된 증발기구를 가열하고, 연속적으로 카파 셀레나이드(Cu2Se)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시키는 단계와, 기판온도를 T2로 상승시켜 Se만을 진공증발 증착하여 기판 온도를 유지한 후, 다시 인듐 셀레나이드(In2Se3)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 증착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냉각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온도를 T1으로 하여 인듐 셀레나이드(In2Se3)가 장착된 증발기구를 가열하고, 연속적으로 카파 셀레나이드(Cu2Se)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Se분위기를 가진 다른 장치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증발증착실에서 순차적으로 증발증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온도를 T1으로 하여 인듐 셀레나이드(In2Se3)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진공증발시키는 단계와, 기판을 T2로 승온시킨 후 카파 셀레나이드 (Cu2Se)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증발증착시키고, 기판의 온도를 유지한 채 다시 인듐 셀레나이드(In2Se3)와 Se이 들어있는 두 개의 증발기구를 가열하여 증발증착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냉각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온도 T1은 250 ∼350℃이고, 기판온도 T2는 550 ∼6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
  6. 제 1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증발증착실의 증발기구로는 텅스텐 보트(boat)나 이퓨젼 셀(effusion cell)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박막의 제조방법.
KR1020000041222A 2000-07-19 2000-07-19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KR10034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222A KR100347106B1 (ko) 2000-07-19 2000-07-19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222A KR100347106B1 (ko) 2000-07-19 2000-07-19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777A true KR20020007777A (ko) 2002-01-29
KR100347106B1 KR100347106B1 (ko) 2002-07-31

Family

ID=1967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222A KR100347106B1 (ko) 2000-07-19 2000-07-19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1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11A1 (en) * 2005-01-12 2006-07-20 In-Solar Tech Co., Ltd. Optical absorber layers for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0000B1 (ko) * 2005-09-06 2008-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태양전지 흡수층의 제조방법
WO2008063190A3 (en) * 2006-11-09 2008-11-20 Midwest Research Inst Precursors for formation of copper selenide, indium selenide, copper indium diselenide, and/or copper indium gallium diselenide films
KR100977529B1 (ko) * 2008-03-20 2010-08-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단계 열처리에 의한 cigs 박막 제조 방법 및 cigs태양전지
KR101019639B1 (ko) * 2009-01-30 2011-03-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광흡수층용 cis계 화합물 박막 제조장치
WO2011074784A2 (en) * 2009-12-15 2011-06-23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u-in-zn-sn-(se,s)-based thin film for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2165710A1 (ko) * 2011-05-31 2012-12-06 주식회사 쎄믹스 엘리먼트 샐레늄 증기 분위기에서의 셀레나이제이션 공정에 의한 태양 전지의 광흡수층 제조 방법 및 광흡수층 제조용 열처리 장치
CN103456830A (zh) * 2012-05-30 2013-12-18 台技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薄膜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及其制造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1200B2 (ja) * 1992-07-07 1998-12-02 株式会社富士電機総合研究所 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11A1 (en) * 2005-01-12 2006-07-20 In-Solar Tech Co., Ltd. Optical absorber layers for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0000B1 (ko) * 2005-09-06 2008-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태양전지 흡수층의 제조방법
WO2008063190A3 (en) * 2006-11-09 2008-11-20 Midwest Research Inst Precursors for formation of copper selenide, indium selenide, copper indium diselenide, and/or copper indium gallium diselenide films
US8876971B2 (en) 2006-11-09 2014-11-04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Precursors for formation of copper selenide, indium selenide, copper indium diselenide, and/or copper indium gallium diselenide films
KR100977529B1 (ko) * 2008-03-20 2010-08-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단계 열처리에 의한 cigs 박막 제조 방법 및 cigs태양전지
KR101019639B1 (ko) * 2009-01-30 2011-03-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광흡수층용 cis계 화합물 박막 제조장치
WO2011074784A3 (en) * 2009-12-15 2011-10-20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u-in-zn-sn-(se,s)-based thin film for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8747706B2 (en) 2009-12-15 2014-06-10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u—In—Zn—Sn-(Se,S)-based thin film for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1074784A2 (en) * 2009-12-15 2011-06-23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u-in-zn-sn-(se,s)-based thin film for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2165710A1 (ko) * 2011-05-31 2012-12-06 주식회사 쎄믹스 엘리먼트 샐레늄 증기 분위기에서의 셀레나이제이션 공정에 의한 태양 전지의 광흡수층 제조 방법 및 광흡수층 제조용 열처리 장치
US8993371B2 (en) 2011-05-31 2015-03-31 Semic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absorbing layer for solar cell using selenization process under element selenium vapor ambience and thermal treatmen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ght absorbing layer
US9054267B2 (en) 2011-05-31 2015-06-09 Semic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absorbing layer for solar cell using selenization process under element selenium vapor ambience and thermal treatmen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ght absorbing layer
CN103456830A (zh) * 2012-05-30 2013-12-18 台技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薄膜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及其制造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7106B1 (ko)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0506B1 (en) Method for forming a compound semi-conductor thin-film
US9881774B2 (en) 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CIGS) thin films with composition controlled by co-sputtering
Romeo et al. Low substrate temperature CdTe solar cells: A review
Dimmler et al. Scaling‐up of CIS technology for thin‐film solar modules
WO2005098968A1 (ja) カルコパイライト型薄膜太陽電池用光吸収層の製造方法
KR20130143109A (ko) 5원 화합물 반도체 cztsse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광 전지
KR101628312B1 (ko)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
KR20120004352A (ko) Cigs박막의 제조방법
US10211351B2 (en) Photovoltaic cell with high efficiency CIGS absorber layer with low minority carrier lifetim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1632154B (zh) 利用一步金属有机化学气相沉积工艺制备ⅰ-ⅲ-ⅵ2化合物薄膜的方法
KR100347106B1 (ko) 이원화합물의 진공증발 증착에 의한 CuInSe2박막의 제조방법
US8779283B2 (en) Absorber layer for thin film photovoltaics and a solar cell made therefrom
JPH1074966A (ja) 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
EP0534459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und semiconductor for thin film
KR101542342B1 (ko) Czts계 태양전지의 박막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태양전지
JPH08102546A (ja) 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
Liang et al. Thermal induced structural evolution and performance of Cu2ZnSnSe4 thin films prepared by a simple route of ion-beam sputtering deposition
Zweigart et al. CuInSe 2 film growth using precursors deposited at low temperature
JP2014506391A (ja) 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439240B1 (ko) 박막 태양전지 광흡수층의 저온 제조방법
KR101388458B1 (ko) 급속 열처리 공정을 사용한 cigs 박막의 제조방법
Ping et al.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CIS thin films prepared by ion beam sputtering deposition
Gundogan et al. The Effect of Ar Gas Flow Rate on 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Magnetron Sputtered Sb 2 Se 3 Thin Films for Solar Cells
Yamaguchi et al. NaF Addition to Cu2ZnSnSe4 Thin films prepared by sequential evaporation from compound
Dimmler et al. Thin film solar modules based on CIS prepared by the co-evapo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