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803A -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803A
KR20020006803A KR1020000040237A KR20000040237A KR20020006803A KR 20020006803 A KR20020006803 A KR 20020006803A KR 1020000040237 A KR1020000040237 A KR 1020000040237A KR 20000040237 A KR20000040237 A KR 20000040237A KR 20020006803 A KR20020006803 A KR 2002000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undry
water flow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803A/ko
Publication of KR2002000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n oscillatory rotary motion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water j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물 양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식을 채택 적용하여 세탁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60)에 의하면, 세탁물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61)에 돌출캡(64)을 결합하며, 세탁물이 적은 경우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61)에 소정 높이의 세탁봉(65)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 양에 따라 적당한 세탁 방식을 채택 적용할 수 있어서, 세탁효율이 보다 향상되며 세탁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회전조 저부의 수류 발생장치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세탁수류에 의해 세탁 및 헹굼이 수행된다. 이 수류 발생장치는 회전원판을 이용하여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방식과, 세탁봉으로 수류를 발생시키는 애지테이터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 내부에 세탁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2)와, 수조(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부에 수류 발생장치(4)를 갖춘 회전조(3)와, 회전조(3)와 수류 발생장치(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6)를 구비한다.
수조(2)는 하우징(1) 내부에 현가장치(5)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며, 구동부(6)는 수조(2) 하부에 장착된다. 즉, 구동부(6)는 수조(2)의 하면 일측에 고정된 모터(6a)와, 수조(2)의 하면 중심부에 고정되며 모터(6a)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6c)을 매개로 수류 발생장치(4)와 회전조(3)를 동시 또는 수류 발생장치(4)만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클러치(6b) 등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6d"는 모터(6a)와 클러치(6b)를 연결하는 벨트이다. 이에 따라 세탁 및 헹굼 행정시에는 클러치(6b)에 의해 동력이 수류 발생장치(4)만으로 전달되고, 탈수 행정시에는 수류 발생장치(4)와 회전조(3)에 동시 전달되게 된다.
회전조(3)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이루어지며 벽면 전역에 걸쳐 탈수공(3a)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조(3) 저부에 정역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류 발생장치(4)는 하면 중심부가 클러치(6b)의 회전축(6c)과 결합되는 회전원판(4a)과, 회전원판(4a)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날개(4b)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탁기는 프로그램화된 콘트롤부(미도시)의 명령에 따라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즉, 회전조(3)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한 후 콘트롤부를 조작하여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수조(2)에 세탁수가 공급 저장되고 모터(6a)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 때, 세탁 및 헹굼 행정시에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모터(6a) 동력을 클러치(6b)를 통해 전달받아 수류 발생장치(4)가 정역 회전함으로써, 회전조(3)내에 세탁수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수류 발생장치(4)를 통해 발생된 세탁수류와 함께 이동하면서 회전조(3)의 내벽 및 세탁수와 마찰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행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행정이 완료되면, 수조(2)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호스(7)를 통해 하우징(1) 외부로 배출되며, 계속하여 회전조(3)와 함께 수류 발생장치(4)가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하여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서는 회전조(3)의 저부에서 다수의 날개(4b)를 갖춘 회전원판(4a)이 정역 회전함에 따라 담요와 같은 무거운 세탁물 및 많은 양의 세탁물을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지만, 회전조(3) 저부에서 수류 발생장치(4)가 작동하기 때문에 세탁물이 회전조(3) 저부에 모여 엉키고 이로 인해 세탁이 고르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펄세이터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회전원판의 중심부에 상당한 높이의 세탁봉이 일체로 마련된 애지테이터 방식의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무겁지 않은 세탁물 및 소량의 세탁물 세탁에는 유리하다. 그러나, 세탁봉이 회전조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많이 투입할 수 없으며, 세탁물이 많은 경우 세탁봉에 세탁물이 감겨 손상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며 세탁물이 적은 경우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수류 발생장치를 개선하여 세탁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며 세탁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 발생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20..수조
30..회전조 60..수류 발생장치
61..회전원판 62..날개
63..결합부 64..돌출캡
65..세탁봉 65b..리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조의 저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원판과, 회전원판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날개를 갖춘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에 있어서,
회전원판에는 세탁물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돌출캡이 나사 결합되며, 세탁물이 적은 경우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회전조 중심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게 소정 길이의 세탁봉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회전원판의 중심부에는 외주에 수나사가 가공된 결합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돌출캡 및 세탁봉의 하부에는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탁봉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세탁물 양 또는 종류에 따라 돌출캡 또는 세탁봉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세탁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며 세탁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캡 및 세탁봉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매달려 설치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수조(20)와, 수조(20)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세탁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류 발생장치(60)가 내장된 회전조(30)와, 회전조(30) 및 수류 발생장치(6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4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이며, 상부에 세탁물을 넣고 꺼내기 위한 뚜껑(12)을 갖춘 상부커버(11)가 결합된다. 상부커버(11)의 전방측에는 다수의 표시부(미도시)와 조작버튼(13)을 갖춘 콘트롤패널(미도시)이 장착되며, 이의 후측 내부에는 수도꼭지(미도시)와 연결된 급수관(14)과, 급수관(14)을 통해 도입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15)와, 세제가 투입되어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세제투입장치(16)가 배치된다.
수조(20)는 4개의 현가장치(2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에 매달려 설치된다. 이러한 수조(20)의 하부에는 모터(41)와 클러치(42)를 구비한 구동장치(40)가 장착된다. 모터(41)는 동력을 발생시켜 클러치(42)로 전달하는데, 이를 위해 모터(41)와 클러치(42)는 벨트(4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42)는 동력을 회전조(30)와 수류 발생장치(60)로 구분 전달할 수 있도록 수조(20)의 하측 중심부에 고정되며, 이의 회전축(44) 단부가 회전조(30) 및 수류 발생장치(60) 중심부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42)에 의해 세탁 및 헹굼 행정시에는 수류 발생장치(60)만 정역 회전하고, 탈수 행정시에는 수류 발생장치(60)와 회전조(30)가 일방향으로 동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수조(20)의 하부에는 세탁수를 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밸브(51)를 갖춘 배수호스(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류 발생장치(60)가 내장되는 회전조(30)는 다수의 탈수공(31)이 천공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조(20) 내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수류 발생장치(60)는 회전조(30) 저부에 배치되며 밑면 중심부에 클러치(42)의 회전축(44)이 결합되는 회전원판(61)과, 회전원판(61)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날개(62)를 구비하여 클러치(4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세탁 및 헹굼 행정시 정역 회전하여 세탁수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류 발생장치(60)는 세탁물의 많고 적음에 따라 펄세이터 방식 또는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회전원판(61)의 상면 중심부에는 외주에 수나사(63a,도 3참조)가 가공된 결합부(63)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이 결합부(63)에는 돌출캡(64) 또는 소정 길이의 세탁봉(도 4참조)이 나사 결합된다.
돌출캡(6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물 양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63)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 내주에 암나사(64a)가 형성된 원통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돌출캡(64)의 상면(64b)은 소정 각도(θ) 경사진 구배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출캡(64)의 상면(64b)을 구배지게 형성한 것은 상부 경사로 인해 회전조(30)내에 불규칙한 이동수류를 형성하여 세탁물 엉킴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이의 경사각도(θ)는 대체로 10°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탁봉(6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물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63)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에 암나사(65a)가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L)를 갖는 봉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세탁봉(65)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리브(65b)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회전조(30)의 가운데 물살을 분리시키는 수류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류 발생장치(6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세탁물 양이 많아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원판(61)의 중심부에 마련된 결합부(63)에 돌출캡(64)을 설치한다. 즉, 돌출캡(64)을 돌려 결합부(63)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조(30)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콘트롤패널을 통해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적당량의 세탁수가 공급되고 모터(41)에 전원이 인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세탁 및 헹굼 행정시 모터(41)의 회전력을 벨트(43)를 통해 전달받은 클러치(42)는 다시 회전축(44)을 매개로 수류 발생장치(60)의 회전원판(61)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원판(61) 상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날개(62)에 의해 세탁수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세탁수류를 따라 다량의 세탁물은 이동하면서 회전원판(61)의 날개(62) 및 회전조(30)의 내벽 등과 마찰하여 세탁이 수행된다.
그리고 세탁 및 헹굼 행정의 반복으로 세탁행정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즉, 회전조(30)와 함께 수류 발생장치(60)가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한다. 이 때, 배수밸브(51)는 개방 작동됨으로써, 세탁수는 배수호스(5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한편, 세탁물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원판(61)의 중심부로부터 돌출캡(64)을 분리시킨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63)에 세탁봉(65)을 설치한다. 즉, 세탁봉(65)을 돌려 결합부(63) 상부에 결합하면, 이것은 회전조(30)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조(30)에 세탁물을 넣고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클러치(42)가 회전축(44)을 매개로 수류 발생장치(60)의 회전원판(61)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원판(61)에 마련된 다수개의 날개(62)에 의해 세탁수류가 발생되어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수행된다.
이 때, 회전원판(61)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세탁봉(65)이 일체로 회전운동함으로써, 회전조(30) 중심부로 세탁물이 모이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리브(65b)에 의해 회전조(30) 중심부 물살을 분리시키는 수류가 형성되어 세탁물 엉킴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회전조(30)와 함께 수류 발생장치(60)가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하여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에 의하면, 세탁물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에 돌출캡을 결합하며, 세탁물이 적은 경우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에 소정 높이의 세탁봉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 양에 따라 적당한 세탁 방식을 채택 적용할 수 있어서, 세탁효율이 보다 향상되며 세탁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회전조(30)의 저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원판(61)과, 상기 회전원판(61)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날개(62)를 갖춘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61)에는,
    세탁물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돌출캡(64)이 나사 결합되며,
    세탁물이 적은 경우 애지테이터 방식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조(30) 중심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게 소정 길이의 세탁봉(65)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61)의 중심부에는 외주에 수나사(63a)가 가공된 결합부(63)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돌출캡(64) 및 상기 세탁봉(65)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63)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64a)(65a)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봉(65)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브(65b)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KR1020000040237A 2000-07-13 2000-07-13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KR20020006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37A KR20020006803A (ko) 2000-07-13 2000-07-13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37A KR20020006803A (ko) 2000-07-13 2000-07-13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803A true KR20020006803A (ko) 2002-01-26

Family

ID=1967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237A KR20020006803A (ko) 2000-07-13 2000-07-13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80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319U (ko) * 1994-01-14 1995-08-21 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착탈식 교반기
KR970065824A (ko) * 1996-03-18 1997-10-13 구자홍 세탁기
KR980002345A (ko) *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세탁기의 펄세이터장치
JPH10118382A (ja) * 1996-10-25 1998-05-12 Sharp Corp 電気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319U (ko) * 1994-01-14 1995-08-21 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착탈식 교반기
KR970065824A (ko) * 1996-03-18 1997-10-13 구자홍 세탁기
KR980002345A (ko) *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세탁기의 펄세이터장치
JPH10118382A (ja) * 1996-10-25 1998-05-12 Sharp Corp 電気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072A (en) Water current form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US5657650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JPH09173681A (ja) 二重パルセーターを備えた洗濯機
KR20140115157A (ko) 전자동 세탁기
JPH10235064A (ja) 乱流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
KR20020006803A (ko) 세탁기의 수류 발생장치
KR100195456B1 (ko) 세탁기용 운동화세탁장치
KR100634797B1 (ko) 세탁기
KR100459139B1 (ko) 세탁기
CN218666795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215383780U (zh) 一种拖把自动洗涤装置
KR100223704B1 (ko) 세탁기
KR19980076976A (ko) 세탁기의 와류발생장치
KR200205100Y1 (ko) 보조바스켓을 갖춘 세탁기
KR100845292B1 (ko) 세탁기
JPH11300075A (ja) 脱水槽を用いて洗濯物を洗濯できる洗濯機
KR200141016Y1 (ko) 세탁기
KR200271758Y1 (ko) 세탁봉을 갖는 신발세탁기
KR100363592B1 (ko) 세탁기
KR200170345Y1 (ko) 세탁기의 살수장치
KR0152138B1 (ko) 순환수류세탁기
JPH09308794A (ja) 洗濯機
KR100268278B1 (ko) 세탁기의 세제 분산 장치
KR200165362Y1 (ko) 임펠러식 세탁기
KR100316990B1 (ko) 세탁기의보푸라기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