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016A - 다리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리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016A
KR20020006016A KR1020010083132A KR20010083132A KR20020006016A KR 20020006016 A KR20020006016 A KR 20020006016A KR 1020010083132 A KR1020010083132 A KR 1020010083132A KR 20010083132 A KR20010083132 A KR 20010083132A KR 20020006016 A KR20020006016 A KR 2002000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grooves
handle post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915B1 (ko
Inventor
차기영
Original Assignee
차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영 filed Critical 차기영
Priority to KR10-2001-008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9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25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 A63B2022/0038One foot moving independently from the other, i.e. there is no link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발판에 발을 각각 올려놓고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발판을 서로 교차시키면서 다리 및 허리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판의 마찰력, 손잡이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정가능하여 개개인의 체력에 따른 점진적인 운동의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고, 모든 부재가 접힐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시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한 다리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면상 "I"자형을 가지고 양측으로 배열되며 그 양단부와 중간부가 각각 연결대로 연결되고 각 연결대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각각 장착된 레일과, 각 레일의 상부에 각각 얹혀지며 그 하부 전후에는 정면상 "ㄷ"자형의 브라켓이 장착되고 그 내측으로 2개씩의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레일의 양측 홈에 얹혀져 이동되는 발판과, 중간에 위치된 연결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핸들이 고정된 핸들포스트와, 핸들포스트의 중간부와 일측의 연결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핸들포스트 지지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며, 발판 하부의 전후바퀴사이에 승하강 가능한 중간바퀴를 개재하여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고 핸들포스트 및 핸들포스트 지지대를 2중관식으로 구성하여 핸들포스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며, 레일의 중간부가 분리되게 하여 보관 및 운반시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리운동기구{Leg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다리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에 발을 각각 올려놓고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발판을 서로 교차시키면서 다리 및 허리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판의 마찰력, 손잡이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정가능하여 개개인의 체력에 따른 점진적인 운동의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고, 모든 부재가 접힐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시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리의 근육이 빠지면서 점차 힘이 없어져 무기력하게 되고, 특히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하는 현대인들은 다리가 매우 취약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하여 위축되어 있는 근육을 긴장시키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이를 실행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또한 이러한 스트레칭만 가지고는 허약해진 다리 근력을 키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물론, 다리의 근력을 키워주기 위해 등산을 하거나, 헬스클럽과 같은 곳에서 웨이트트레이닝을 할 수도 있으나 이 역시 많은 시간 또는 비용을 들여야만 하는 것이므로 일부의 사람들만 실행하고 있는 것이며, 대부분의 다리운동기구들은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고가이어서 일반적인 가정에서 적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었던 게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레일을 양측으로 각각 구성하고, 그 위에 이동이 가능하면서 그 구름 접촉 저항을 가변할 수 있는 발판을 각각 얹어 구성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핸들포스트를 레일의 중간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핸들포스트의 중간부위와 레일의 일측 단부 사이에는 역시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들포스트 지지대를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양발을 양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발판을 교차시키면서 운동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다리에 힘이 가해져 다리의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핸들을 눕혔을 경우에는 거의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교차하게 되므로 스트레칭 효과 및 복부, 어깨의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며, 핸들의 높이 및 각도, 발판의 구름 접촉 저항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력증진에 따라 보다 운동량이 많아지는 높은 단계로 조정하면서 운동할 수 있는 다리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레일의 중간부가 분리되게 하고, 분리된 부위에는 가로방향으로 연결대로서 각각 연결되게 하며, 각 연결대의 양측에는 중간부에서 겹쳐지는 바퀴지지대를 연장형성하여 그 겹쳐진 부위에 바퀴를 장착하여 구성함으로써 레일이 바퀴지지대의 바퀴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핸들포스트 및 핸들포스트 지지대가 최대한 밀착될 수 있어 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운반시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운동기구의 발판상세도로서,
(a)는 측면도.
(b)는 요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포스트 또는 핸들포스트 지지대의 체결부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분리 부위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분리 부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레일 2,3,4,5 : 연결대
6,7,8,12,13,14 : 바퀴 9 : 발판
10,11 : 브라켓 15 : 핸들포스트
16 : 핸들 17 : 핸들포스트 지지대
18 : 지지대 19,20 : 연결봉
21 : 조정스크류 22 : 고정핀
23 : 보스 24 : 케이스
25 : 조정손잡이 26 : 압축스프링
27,28 : 바퀴지지대 29 : 연결부재
30 : 보강부재 31 : 걸림돌기
32 : 누름쇠 33 : 걸고리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상 "I"자형을 가진 레일(1)(1')이 양측으로 배열되며, 그 양단부와 중간부가 각각 연결대(2)(3)(4)(5)로 연결되고, 각 연결대(2)(3)(4)(5)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6)(7)(8)가 각각 장착되고, 각 레일(1)(1')의 상부에는 발판(9)이 각각 얹혀지는데, 발판(9)의 하부 전후에는 정면상 "ㄷ"자형의 브라켓(10)(11)이 장착되고 그 내측으로 2개씩의 바퀴(12)(1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레일(1)(1')의 양측 홈(1a)에 얹혀져 이동되며, 레일(1)(1')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대(4)에는 상단부에 핸들(16)이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핸들포스트(15)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핸들포스트(15)의 중간부와 일측의 연결대(5) 사이에는 핸들포스트 지지대(17)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레일(1)(1') 하부의 바퀴(6)(7)(8)는 기구의 이동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운동하고 있을 때에는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도 70정도인 진동흡수고무로 구성하게 되고, 발판(9)의 전후 바퀴(12)(13)는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도 80∼85 정도로 구성하며, 후술할 발판(9)의 중간 바퀴(14)는 레일(1)(1')의 양측홈(1a) 천장과의 접촉시 그 접촉저항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도 70∼75 정도로 구성하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발판(9)의 전후 바퀴(12)(13) 사이에는 승하강이 가능한 중간바퀴(14)가 각각 구성되게 하고, 중간바퀴(14)를 지지하는 예각으로 절곡된 지지대(18)의 절곡부위가 전위측 브라켓(10)의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며, 지지대(18)가 장착된 브라켓(10)의 전면측과 지지대(18)의 상부에는 연결봉(19)(2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대측 연결봉(19)의 중앙에는 나사공(19a)를 형성하며 브라켓측 연결봉(20)의 중앙에는 관통홀(20a)을 형성하여 조정스크류(21)를 관통홀(20a)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나사공(19a)에 체결하여 중간바퀴(14)를 레일(1)(1')의 양측 홈(1a) 바닥면 또는 천장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핸들포스트(15)와 핸들포스트 지지대(17)는 도 5와 같이 2중관식으로 구성하여 내측관(15a)(17a)이 외측관(15b)(17b)의 내측으로 삽탈되게 하되, 내측관(15a)(17a)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정홈(15c)(17c)을 형성하고, 외측관(15b)(17b)에는 조정홈(15c)(17c)과 통하는 체결홈(15d)(17d)을 형성하며, 체결홈(15d)(17d)을 통과한 상태에서 조정홈(15c)(17c)에 체결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여 주는 고정핀(22)을 구비하고, 고정핀(22)을 외측관(15b)(17b)에 부착시키면서 이를 탄력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외측관(15b)(17b)의 체결홈(15d)(17d) 주위에는 내측에 나사(23a)가 형성된 보스(23)를 형성하고, 보스(2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부 외측에 나사(24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정핀 유동홈(24b)이 형성된 케이스(24)를 마련하여 여기에 고정핀(22)이 삽입 유동되게 하며, 고정핀(22)을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상 "T"자형을 가진 헤드-핀 타입의 조정손잡이(25)를 케이스(24)의 외측 중앙부를 통과시켜 고정핀(22)에 고정하며, 고정핀(22)과 케이스(24)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6)을 개재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다리운동기구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과 같이 레일(1)(1')은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분리되게 구성하고, 레일(1)(1')의 분리된 부위는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대(3)(4)로서 연결되게 하며, 각 연결대(3)(4)의 하부양측에는 중앙부에서 겹쳐지면서 회전가능하도록 바퀴지지대(27)(28)를 연장형성하여 그 겹쳐진 부위에 바퀴(7)가 장착되게 하고, 각 연결대(3)(4)의 중앙부 사이에는 잠금장치를 마련하며, 각 레일(1)(1')의 분리된 부위 내측에는 일측 레일(1)에서는 부착되고 타측 레일(1')에서는 분리되도록 연결부재(29)를 각각 구비하고, 각 레일(1)(1')의 분리된 부위 내측 상하에는 그 분리된 부위로부터 소정길이 내측으로 보강부재(30)를 접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잠금장치는 일반적인 압력용기와 같이 일측 연결대(4)에는 걸림돌기(31)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연결대(3)에는 누름쇠(32)를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게 하며, 누름쇠(32)의 중간부에는 걸림돌기(31)를 걸어 누름쇠(32)를 눌러주면 체결될 수 있는 걸고리(3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연결부재(29)로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할 수 있고, 보강부재(30)로는 강철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이즈는 3㎜(두께) ×50㎜(길이)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리운동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일(1)(1')을 펴고 바닥에 내려놓으면 레일(1)(1')의 양단부와 중간부의 바퀴(6)(7)(8)가 바닥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손으로 밀면 조금씩 밀려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바퀴(6)(7)(8)의 경도가 70정도인 진동흡수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미는 동작을 멈추게 되면 그 자리에 멈춤되고 사용자가 올라가게 되면 더욱 밀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레일(1)(1')을 편 상태에서 레일(1)(1') 분리부위의 일측 연결대(3)에 장착되어 있는 누름쇠(32)를 상방향으로 젖혀 걸고리(33)의 반경을 크게 하고, 걸고리(33)를 타측 연결대(4)에 형성된 걸림돌기(31)에 건 상태에서 누름쇠(32)를 원래 방향으로 눌러주면 걸고리(33)가 걸림돌기(31)를 건 상태로 끌려가 양측의 레일(1)(1')이 밀착·고정될 수 있다.
레일(1)(1')을 편 후에는 핸들포스트(15)의 높이 및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적정하게 맞추어야 하는데, 핸들포스트(15) 및 핸들포스트 지지대(17)는 공히 2중관식으로 되어 있어 외측관(15b)(17b)에 고정되어 있는 조정손잡이(25)를 외측으로 빼내면 케이스(24) 내부의 압축스프링(26)이 압축되면서 조정손잡이(25) 선단부에 결합된 고정핀(22)이 내측관(15a)(17a)의 조정홈(15c)(17c)으로부터 빠져나와 내측관(15a)(17a)이 자유상태가 되며, 핸들포스트(15)가 원하는 높이 또는 각도를 가지도록 내측관(15a)(17a)을 빼낸 후 조정손잡이(25)를 놓아주면 압축스프링(26)에 의해 고정핀(22)이 복귀되면서 외측관(15b)(17b)의 체결홈(15d)(17d)과 내측관(15a)(17a)의 조정홈(15c)(17c)에 끼워져 핸들포스트(15) 또는 핸들포스트 지지대(17)가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핸들포스트(15) 또는 핸들포스트 지지대(17)는 레일(1)(1')의 연결대(4)(5)에 고정되어 있는 부위가 외측관(15b)(17b)이 되게 하고, 나머지가 내측관(15a)(17a)이 되게 함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핸들포스트(15)가 적정한 높이 및 각도로 조정되면 사용자는 양손으로 핸들포스트(15) 상단부의 핸들(16)을 잡고 양발을 발판(9)위에 올려놓은 후 발판(9)을 다리의 힘으로 교차시켜 운동하게 되는 것이며, 발판(9)의 하부에는 바퀴(12)(13)(14)가 고정되어 레일(1)(1')의 양측 홈(1a)에 얹혀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발판(9)을 밀거나 끌어주면서 원활히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운동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마다 체형이 다르고, 운동능률이 다르며, 집중운동이 필요한 부위가 다르므로 이에 따라 형태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핸들포스트(1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주면 되고, 핸들포스트 지지대(17)를 조정하여 완전히 엎드린 자세에서부터 꼿꼿하게 선 자세까지 다양한 자세로 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자세에 따라 집중적으로 운동되는 부위가 달라지게 되어 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체력이 증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기구의 형태를 달리하여 운동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 있고, 엎드린 자세에서 다리를 교차시킬 경우에는 팔, 어깨, 허리, 배, 다리 등 전신운동이 될 수 있으며 다리부위가 자연스럽게 스트레칭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9)의 바퀴(12)(13)(14)가 레일(1)(1')의 양측 홈(1a) 바닥면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할 때 이러한 발판(9)의 구름접촉 저항력이 항상 동일하다면 운동의 효율이 떨어질 것이므로 발판(9)의 저항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구성한 것으로, 중간바퀴(14)는 평상시에는 내려와 있어 레일(1)(1')의 양측 홈(1a) 바닥면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이럴 경우에는 모든 바퀴(12)(13)(14)가 원활히 회전하게 되어 발판(9)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으며, 발판(9) 전면측의 조정스크류(21)를 조이게 되면 지지대(18) 상단부의 연결봉(19)이 당겨지면서 지지대(18)가 회전하여 중간바퀴(14)가 뜨게 되고 조정스크류(21)를 계속 조이게 되면 중간바퀴(14)가 레일(1)(1')의 양측 홈(1a) 천장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 중간바퀴(14)가 바닥면에 위치된 것보다는 저항력이 커지게 되며, 조정스크류(21)를 더욱 조이게 되면 중간바퀴(14)와 전후위의 바퀴(12)(13)가 레일(1)(1')의 양측 홈(1a)을 홀딩하는 상태가 되므로 그 저항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는 사용자 임의로 발판(9)의 저항력, 핸들포스트(15)의 높이, 핸들포스트(1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체형, 체력조건, 집중운동부위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면서 운동하게 되면 더욱 큰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리운동기구는 절첩식이어서 레일(1)(1')의 중간부위가 분리되어 있으며, 따라서 발판(9)이 수시로 이러한 레일(1)(1')의 분리된 부위를 지나갈 때 응력이 집중되어 레일(1)(1')의 분리된 부위가 함몰·변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레일(1)(1')의 분리된 부위 내측에는 일측에서는 부착되고 일측에서는 분리되어 있는 연결부재(29)가 각각 끼워져 있고, 레일(1)(1')의 분리된 부위 내측 상하에는 강철판으로 된 보강부재(30)가 접합되어 있으므로 발판(9)을 수시로 왕복시킨다하더라도 레일(1)(1')의 분리된 부위의 변형없이 오래토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운동이 끝난 후에는 핸들포스트 지지대(17)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여 핸들포스트(15)를 레일 근처까지 접고, 잠금장치를 푼 상태에서 레일(1)(1')의 중간부위를 접게 되면 길이가 정확히 1/2로 접혀질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각 레일(1)(1')이 고정될 수 있도록 원터치식의 잠금장치를 레일(1)(1')의 측면상에 구비하게 되면 레일(1)(1')을 안전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보관할 때에도 그 부피가 작아 다양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으로 레일을 구비하고, 그 위에 이동가능한 발판을 각각 마련하며, 레일의 중간부에는 핸들포스트를 세워 구성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핸들포스트 상단부의 핸드을 잡고 발판에 양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리의 힘만으로 발판을 교차시키면서 운동할 수 있어 다리의 근력을 키워줄 수 있으며, 특히 발판의 저항력 및 핸들포스트이 높이와 각도가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 체력, 집중 운동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레일의 중간부위가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기기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정면상 "I"자형을 가지고 양측으로 배열되며, 그 양단부와 중간부가 각각 연결대(2)(3)(4)(5)로 연결되고, 상기 각 연결대(2)(3)(4)(5)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6)(7)(8)가 각각 장착된 레일(1)(1');
    상기 각 레일(1)(1')의 상부에 각각 얹혀지며, 그 하부 전후에는 정면상 "ㄷ"자형의 브라켓(10)(11)이 장착되고 그 내측으로 2개씩의 바퀴(12)(1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레일(1)(1')의 양측 홈(1a)에 얹혀져 이동되는 발판(9);
    상기 중간에 위치된 연결대(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핸들(16)이 고정된 핸들포스트(15); 및
    상기 핸들포스트(15)의 중간부와 상기 일측의 연결대(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핸들포스트 지지대(1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다리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9)의 전후 바퀴(12)(13) 사이에 승하강이 가능한 중간바퀴(14)가 각각 구성되게 하고, 상기 중간바퀴(14)를 지지하는 예각으로 절곡된 지지대(18)의 절곡부위가 상기 일측 브라켓(10)의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며, 상기 지지대(18)가 장착된 브라켓(10)의 전면측과 상기 지지대(18)의 상부에는 연결봉(19)(2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지지대측 연결봉(19)의 중앙에는나사공(19a)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측 연결봉(20)의 중앙에는 관통홀(20a)을 형성하여 조정스크류(21)를 상기 관통홀(20a)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19a)에 체결하여 상기 중간바퀴(14)를 상기 레일(1)(1')의 양측 홈(1a) 바닥면 또는 천장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포스트(15)와 상기 핸들포스트 지지대(17)는 2중관식으로 구성하여 내측관(15a)(17a)이 외측관(15b)(17b)의 내측으로 삽탈되게 하되, 상기 내측관(15a)(17a)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정홈(15c)(17c)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관(15b)(17b)에는 상기 조정홈(15c)(17c)과 통하는 체결홈(15d)(17d)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홈(15d)(17d)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조정홈(15c)(17c)에 체결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여 주는 고정핀(2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핀(22)을 상기 외측관(15b)(17b)에 부착시키면서 이를 탄력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관(15b)(17b)의 체결홈(15d)(17d) 주위에는 내측에 나사(23a)가 형성된 보스(23)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2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부 외측에 나사(24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정핀 유동홈(24b)이 형성된 케이스(24)를 마련하여 여기에 상기 고정핀(22)이 삽입 유동되게 하며, 상기 고정핀(22)을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상 "T"자형의 조정손잡이(25)를 상기 케이스(24)의 외측 중앙부를 통과시켜 상기 고정핀(22)에 고정하며, 상기 고정핀(22)과 상기 케이스(24)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6)을 개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1')은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분리되게 구성하고, 상기 레일(1)(1')의 분리된 부위는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결대(3)(4)로서 연결되게 하며, 상기 각 연결대(3)(4)의 하부 양측에는 중앙부에서 겹쳐지면서 회전가능하도록 바퀴지지대(27)(28)를 연장형성하여 그 겹쳐진 부위에 바퀴(7)가 장착되게 하고, 상기 각 연결대(3)(4)의 중앙부 사이에는 잠금장치를 마련하며, 상기 각 레일(1)(1')의 분리된 부위 내측에는 일측 레일(1)에서는 부착되고 타측 레일(1')에서는 분리되도록 연결부재(29)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레일(1)(1')의 분리된 부위 내측 상하에는 그 분리된 부위로부터 소정길이 내측으로 보강부재(30)를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기구.
KR10-2001-0083132A 2001-12-22 2001-12-22 다리운동기구 KR10040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32A KR100405915B1 (ko) 2001-12-22 2001-12-22 다리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32A KR100405915B1 (ko) 2001-12-22 2001-12-22 다리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791U Division KR200269520Y1 (ko) 2001-12-22 2001-12-22 다리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16A true KR20020006016A (ko) 2002-01-18
KR100405915B1 KR100405915B1 (ko) 2003-11-19

Family

ID=1971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132A KR100405915B1 (ko) 2001-12-22 2001-12-22 다리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13B1 (ko) * 2009-03-31 2009-06-08 권오영 어깨 회전근개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43B1 (ko) * 2014-07-25 2015-02-04 김영훈 전신 스트레칭 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13B1 (ko) * 2009-03-31 2009-06-08 권오영 어깨 회전근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915B1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62B1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US5616103A (en) Jogger exerciser
US5320591A (en) Versatile exercise apparatus
US7662067B2 (en) Exercise apparatus
US7438673B1 (en) Reciprocal inhibition body toner apparatus
US5607381A (en) Exercise apparatus
US8317664B2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7736285B2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6607472B2 (en) Body conditioning exercise machine
JPH06503740A (ja) スクワット強化装置
JPS585067B2 (ja) 体力訓練具
JPH0150424B2 (ko)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US20110224057A1 (en) Universal fitness machine
US5478299A (en) Adaptable exercise apparatus
US11571598B2 (en) Adaptable exercise platform with strength compensation features
US8105216B2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WO2009059483A1 (fr) Appareil pour exercices d'étirement des jambes
US20070249971A1 (en) Portable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roviding resistive exercise mov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74099B1 (ko)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US4341378A (en) Multipurpose exerciser device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0405915B1 (ko) 다리운동기구
KR200269520Y1 (ko) 다리운동기구
US9427370B2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