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953A -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 Google Patents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953A
KR20020005953A KR1020010004967A KR20010004967A KR20020005953A KR 20020005953 A KR20020005953 A KR 20020005953A KR 1020010004967 A KR1020010004967 A KR 1020010004967A KR 20010004967 A KR20010004967 A KR 20010004967A KR 20020005953 A KR20020005953 A KR 2002000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s
sole
walking
huma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훈
Original Assignee
최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훈 filed Critical 최병훈
Priority to KR102001000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5953A/ko
Publication of KR2002000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95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형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 밑창의 전반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신체의 균형을 잡아 내반슬 등의 증상을 예방 및 교정하여 주는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Angle Shoes for Correcting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체형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 밑창의 전반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신체의 균형을 잡아 내반슬 등의 증상을 예방 및 교정하여 주는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에 대한 것이다.
현재 신발은 실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며, 최근에는 신발의 견고성, 편리성 및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류가 직립 상태의 보행을 시작한 이래 발바닥은 직립 보행으로 인하여 착지시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되지만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을 데어 걸음을 옮기는 순간에 발의전반부가 보행 방향으로 또바로 향하지 아니하고 보행 방향축으로부터 45° 가량 외측으로 향하게 되는 형태, 소위 팔자 형태의 걸음걸이를 취하게 된다. 이런 경우 발바닥 면이 새끼 발가락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몸 전체의 균형이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팔자 걸음(내반슬 모습)은 고관절의 정상 각도(130°)를 변위시키고 대퇴부를 전위시켜 대퇴부를 외전·외선의 모습으로 변형시켜 보행시 무릎이 구부러진 내반슬 모양이 되게하는 것이다.
이러한 팔자 걸음은 보행 신장을 단축시키는 1차적 원인이 되며, 대퇴근, 요근, 복근 및 흉근 등이 동시에 단축되는 원인이 된다. 보행 신장이 단축되면 골반에 걸리는 수직과 수평하중간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고, 서서히 척추가 눌려지게 되어 척추 마디가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인체는 좌우 비대칭 모습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척추의 비틀림은 척추내의 중추신경인 척수에서 파출되는 신경에 장애를 일으키고, 이로써 제기관의 신경장애를 유발시켜 기능 장애가 나타게 된다. 이와 같은 척추로부터 파출되는 신경의 장애는 몸의 제기관과 호흡기나 소화등 인체 생리 기능의 장애 요인이 된다.
결국 팔자 걸음은 고관절 가동성과 운동 범위를 좁아지게 하고, 횡단축, 전후축, 수직축의 운동범위를 위축시켜 하지의 기본적인 2 개의 기능, 즉 체중의 지지 및 이동성(가동성)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고관절 가동성의 제한은 부분적으로 요추의 움직임을 둔화시켜 하지의 장비근골에 마비를 일으키면서 발목 관절의 신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발을 삐는 현상을 자주 발생시킨다. 동시에 발의 외축 족궁만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발과 발목에 회의를 일으키게 된다. 결국 대퇴부가 앞으로 나온 체형으로 변형시키면서 골반을 후방 경사로 이탈시키고 척추의 생리적 만곡도를 유지를 곤란하게 하고, 골반의 선장 장골을 불균형 상태의 체형으로 변화시켜 척추 이상 만곡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많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1차적 원인이 된다.
또한, 발에 족압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인체의 생리적 관절 상태를 이상 구조로 유도시키고 전체적 구조 변형을 유발시키게 되어 질병과 노화를 촉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체 건강의 여러가지 문제점의 1 차적 원인은 변형된 걸음걸이로부터 발생되므로, 인체의 구조상(인체를 통일체로 보는 경우) 역학·의학적인 면에서 현재의 신발구조는 개선과 보완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의 전체에 걸쳐 외측과 내측을 경사지도록 형성시킨 신발이 제안되었으나(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8-6150호 참조), 이는 밑창 전체에 경사를 줌으로해서 보행시 발 외측 전체가 내측에 비해 상승되어 있음으로 하여 발목에 무리를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신발의 목적은 퇴화의 법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인체의 퇴행 변형에 따른 역 퇴행의 자세를 원래의 기본형태로 회복시켜 기혈 순환을 촉진시키고, 관절 결합 조직의 일부인 근육과 인대등을 정위치로 고정 강화시키는 전신신전 운동의 1 차적 기본 운동(보행시 자연적 운동)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의 각도를유지시키면서 족압 수평을 이루게 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 신발은 바른 걸음 걸이를 유도하여 인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신발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보완 및 개선하여 건강을 예방하고 치유하는데 1 차적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신발 밑창 전반부의 외측을 내측 보다 7-10 ㎜ 높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신체의 균형을 잡아 내반슬 등의 증상을 예방 및 교정하여 주는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밑창 전체에 경사를 준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경사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겉창 2 안창
3 밑창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밑창의 두께가 균일한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밑창의 전반부(발가락 부위)로부터 후반부(발 뒷꿈치 부위)까지 전체에 걸쳐 발바닥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 교정용 신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밑창의 전반부만이 외측 높이(H)가 내측 높이(h) 보다 7-10 ㎜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본 고안의 신발은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경사 신발과는 달리 밑창의 전반부만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발바닥 앞부분만을 외측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팔자 걸음 걸이를 일자 걸음 걸이로 유도하여 다리 골격을 O 자형 골격에서 11자형 골격으로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밑창 전체를 경사지게 했을때에 나타나는 종래의 경사신발의 문제점인 발목의 비틀어짐 현상을 제거하였다.
본 발명에 다른 신발은, 직립 보행 또는 정지시에 소위 팔자 걸음으로 인하여 체중이 엄지 발가락쪽의 제1중족골에 걸리지 아니하고 발바닥의 외측면인 새끼 발가락쪽의 제5중족골에 집중되어 신발의 외측 갑피에 변형이 오고, 심한 경우 새끼 발가락의 변형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고안의 신발은 종래의 경사 신발의 문제점 즉 신발 밑창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장시간 착용시의 불편함과 발목 관절의 변형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신발을 착용한 채 오랜 시간 서서 근무하는 경우에도 발바닥이 수평이 되도록함에 따라 직립 자세가 되도록 유도하고, 이에 따라 척추가 곧게 유지되고, 장시간 서있는 경우에도 피로감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항상 바른 자세가 유지됨에 따라 요통이나, 허리 디스크, 관절염과 같은 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한 질병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사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의 사시도를 각각 정면(a), 측면(b) 및 평면(c)으로 도시하였다. (a)는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신발 밑창이 내측에 위치한 엄지 발가락 아래의 제1 중족골쪽 보다 외측에 위치한 새끼 발가락 아래의 제5 중족골쪽이 7-10 ㎜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신발의 밑창 두께가 약 8 ㎜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 경사의 높이는 약 15 내지 20 ㎜가 된다. 일반 성인 발의 폭을 100 ㎜, 길이를 280 ㎜로 보았을 때 경사는 제5 중족골에서 약 70㎜ 지점으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전체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타원형을 이루게 된다[(c) 참조].
이러한 신발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체형 교정이라는 본 고안의 실질적인 목적에 부합하여 여러가지 신발 형태, 예를 들어. 구두, 운동화, 실내화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체형 교정용 신발에 따르면 신발 밑창 전반부의 외측 높이를 내측 높이 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내반슬 등의 부상을 예방 및 교정하여 주는 동시에 직립시에도 자세를 바르게 해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신발 밑창 전반부의 외측 높이를 내측 높이 보다 7 ㎜ 내지 10 ㎜ 높게하여 신발 전반부의 외측과 내측간에 경사면을 형성시킨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신발 밑창 전반부의 상기 경사면이 신발 밑창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70 ㎜, 전단부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130 ㎜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용 신발.
KR1020010004967A 2001-02-01 2001-02-01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Ceased KR20020005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967A KR20020005953A (ko) 2001-02-01 2001-02-01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967A KR20020005953A (ko) 2001-02-01 2001-02-01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674U Division KR200207647Y1 (ko) 2000-07-10 2000-07-10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953A true KR20020005953A (ko) 2002-01-18

Family

ID=1970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967A Ceased KR20020005953A (ko) 2001-02-01 2001-02-01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59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2352A (zh) * 2014-07-30 2017-08-18 维多利亚大学 损伤减少鞋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303U (ja) * 1983-11-12 1985-06-08 中元 絹子 健康靴
KR890000048A (ko) * 1986-06-30 1989-03-11 시몬스 로날드 골프화
JPH0231505U (ko) * 1988-08-22 1990-02-28
JPH05237145A (ja) * 1992-02-27 1993-09-17 Masanori Watanabe 外反母趾における足跡変形矯正用履物および装具
JPH0870910A (ja) * 1994-09-10 1996-03-19 Nobuyuki Matsui 履物用中敷および履物
KR200172214Y1 (ko) * 1999-10-04 2000-03-15 주식회사그라도 경사면이 형성된 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303U (ja) * 1983-11-12 1985-06-08 中元 絹子 健康靴
KR890000048A (ko) * 1986-06-30 1989-03-11 시몬스 로날드 골프화
JPH0231505U (ko) * 1988-08-22 1990-02-28
JPH05237145A (ja) * 1992-02-27 1993-09-17 Masanori Watanabe 外反母趾における足跡変形矯正用履物および装具
JPH0870910A (ja) * 1994-09-10 1996-03-19 Nobuyuki Matsui 履物用中敷および履物
KR200172214Y1 (ko) * 1999-10-04 2000-03-15 주식회사그라도 경사면이 형성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2352A (zh) * 2014-07-30 2017-08-18 维多利亚大学 损伤减少鞋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647Y1 (ko)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US9730489B2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KR100877764B1 (ko)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위한 기능성 신발
JPH05508084A (ja) 矯正用靴中敷
KR100599501B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KR100291685B1 (ko) 다리 및 발 교정기
JP2005160560A (ja) 履物
EP0600145B1 (en) Sports shoes
KR100984263B1 (ko)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KR200419430Y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KR20020005953A (ko)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JP5555722B2 (ja) 退行性膝関節症のための機能性靴底を備えた履物
KR100788854B1 (ko) 롤링형 도보를 가능하게 하는 건강신발
KR100309930B1 (ko) 경비골(다리) 역회전 교정장치
KR101001224B1 (ko) 실내용 자세교정 슬리퍼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722180B1 (ko) 기능성 신발
CN218635428U (zh) 护足守正鞋
KR102493950B1 (ko)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CN101884442A (zh) 人体骨架重心矫正多功能保健鞋
KR200446892Y1 (ko)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0582991B1 (ko) 신장 조정 및 발 교정기
KR200319541Y1 (ko) 자세교정 및 충격흡수용 신발창
KR200397650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10201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