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733A -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 Google Patents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733A
KR20020005733A KR1020017013818A KR20017013818A KR20020005733A KR 20020005733 A KR20020005733 A KR 20020005733A KR 1020017013818 A KR1020017013818 A KR 1020017013818A KR 20017013818 A KR20017013818 A KR 20017013818A KR 20020005733 A KR20020005733 A KR 2002000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olyester
nonwoven material
fiber
stretchable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551B1 (ko
Inventor
캐써린 마거리트 헨쿡-쿠키
제임스 리처드 네일리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1737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57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2000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5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treatment to produce shrinking, swelling, crimping or curling of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형성된 후 패턴 결합 또는 점 결합되고 가열된 부직웹을 포함하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에 관한 것이다. 제2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이다.

Description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Stretchable Nonwoven Material}
생리대, 일회용 기저귀, 요실금용 패드 등과 같은 개인 위생 흡수용품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용품의 유효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신체 형상에 맞지 않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순응하지 않는, 과거 두껍고 평평한 개인 위생 용품은 레질리언스하게 순응하는 입체형 신체 형상 용품으로 크게 대체되고 있다.
부직웹은 편직물과 같이 규칙적이거나 또는 확인가능한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개별 섬유 또는 실이 서로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웹으로 정의된다. 부직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잉 방법, 스펀본딩 방법 및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과 같은 많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방법에서 섬유는 웹을 형성하기위한 형성 와이어 또는 벨트 상에 퇴적된다. 웹을 형성한 후 가열하였을 때, 부직웹이 수축되는 경향이 있다. 부직웹의 수축은 일반적으로 웹이 불균일하게 되므로 불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용융방사된 다성분 중합체 연속 필라멘트를 권축한 후 이 다성분 연속 필라멘트를 부직웹으로 형성하여, 수축율을 상당히 감소시켜 충분히 안정하고 균일한 부직웹을 형성하는 중합체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교시하는 미국 특허 제5,382,400호(파이크(Pike) 등) 및 동 제5,418,045호(파이크 등)를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히 안정하고 균일한 부직웹으로부터 제조된 기저귀, 용변훈련용 팬츠 및 요실금용 가먼트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순응하지 않으며, 용품의 안락감 및 가능한 기능성이 감소될 것이라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 상기 문제점은 레질리언스하게 순응하는 입체형 신체 형상 용품, 및 탄성 필름을 사용하는 용품으로 해결하여 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을 나타내는 부직웹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탄성을 나타내며 어떠한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고무도 사용하지 않은 부직웹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웹을 형성하고 이 부직웹을 패턴 결합하거나 또는 점 결합한 후 가열한 부직웹을 포함하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는 가열시 수축하는 임의의 폴리에스테르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따라,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이다. 제2 중합체는 가열시 폴리에스테르만큼 수축하지 않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이다. 생성되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에서 그의 비편재 길이의 약 130%까지 신장가능하다. 편재력을 제거하였을 때, 부직 물질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탄성 회복되어, 실질적으로 그의 원래 치수로 되돌아온다.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에 따라, 섬유는 분리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고무를 함유하지 않지만 탄성체 특성을 나타내는 부직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고무를 사용함없이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에 관한 것이다. 부직 물질은 약 30%까지 신장되었을 때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탄성 회복된다. 물질은 기저귀, 용변훈련용 팬츠 및 성인 요실금용 가먼트와 같은 개인 위생 흡수용품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특성은 도면과 관련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질로부터 수득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설명>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신장가능한"이란 용어는 편재력을 적용하였을 때 신장된 편재 길이까지 연장가능하고 신장 연장력을 제거하였을 때 그의 신장율의 약 50% 이상 회복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81 cm (1.50 인치) 이상으로 연장가능한 (50% 신장율) 물질의 시료 2.54 cm (1 인치)을 가정하면, 3.81 cm(1.50 인치)까지 연장한 후 놓았을 때, 3.175 cm (1.25 인치) 이하의 길이로 회복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직웹" 또는 "부직 물질"이란 용어는 편직물 및 피브릴화한 필름에서와 같이 규칙적이거나 또는 확인가능한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개별 섬유 또는 실이 서로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웹을 의미한다. 부직웹 또는 부직 물질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잉 방법, 스펀본딩 방법 및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과 같이 많은 방법으로부터 형성되어 왔다. 부직웹 또는 부직 물질의 기본 중량은 제곱 야드 당 재료의 온스 (osy) 또는 제곱 미터 당 그램 (gsm)으로 일반적으로 표현되고, 사용될 수 있는 섬유 직경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론으로 표현된다. (osy를 gsm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osy에 33.91을 곱하면 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드 섬유"라는 용어는 용융 열가소성 물질을 스피너레트의 미세하고 일반적으로는 원형인 다수의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 압출한 후,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을 급격히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340,563호(아펠(Appel) 등), 동 제3,692,618호(도쉬너(Dorschner) 등), 동 제3,802,817호(마쯔끼(Matsuki) 등), 동 제3,338,992호 및 동 제3,341,394호(키니(Kinney)), 동 제3,502,763호(하트만(Hartmann)), 동 제3,502,538호(레비(Levy)) 및 동 제3,542,615호(도보(Dobo) 등)에 교시되어 있다. 스펀본드 섬유는 급냉되고 일반적으로 이들이 수집 표면 상에 퇴적될 때 점착성이 없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평균 직경이 7 마이크론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0 내지 35 마이크론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섬유"라는 용어는 용융 열가소성 물질을 미세하고 일반적으로는 원형인 다수의 다이 모세관을 통해 수렴 고속 기체 스트림 (예를 들어, 기류)으로 용융 실 또는 필라멘트로 압출하여 용융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여 그의 직경을 미세섬유 직경일 수 있는 직경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그 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의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상에 퇴적되어 불규칙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49,241호(부틴(Butin))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이거나 또는 불연속일 수 있는 미세섬유로서,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이 10 마이크론보다 작으며, 일반적으로 수집 표면 상에 퇴적될 때 점성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본디드 카디드 웹"이란 용어는 종방향으로 스테이플 섬유를 분쇄하고 배열하여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상 부직웹을 형성하는 코밍기 또는 카딩기에 통과시킨 스테이플 섬유로 제조된 웹을 의미한다. 이러한 섬유는 표(bale)로 판매되어 일반적으로 카딩기 전에 피커(picker)에 의해 개섬된다. 웹이 형성되면, 이어서 여러 공지된 결합 방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미세섬유"라는 용어는 평균 직경이 약 75 마이크론 이하, 예를 들면 약 0.5 마이크론 내지 약 50 마이크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 마이크론 내지 약 40 마이크론인 작은 직경의 섬유를 의미한다. 섬유 직경은 또한 종종 데니어로 표현되며, 이는 섬유 9000 미터 당 그램으로 정의되며, 마이크론 단위의 섬유 직경을 제곱하고, 밀도 g/cc를 곱한 후, 0.00707을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데니어가 낮을수록 보다 미세한 섬유를 의미하며, 데니어가 높을수록 보다 두껍거나 또는 무거운 섬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5 마이크론의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경은 15를 제곱하고 그 결과값에 0.89 g/cc를 곱하고, 0.00707을 곱함으로써 데니어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15 마이크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약 1.42 데니어이다.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섬유의 킬로미터 당 그램으로 정의되는 tex의 측정 단위가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tex는 데니어/9로 계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독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라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등과 같은 공중합체, 및 그의 블렌드 및 변형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합체"라는 용어는 또한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입체배치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들 입체배치는 이소탁틱, 신디오탁틱, 어탁틱 및 불규칙 대칭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개인 위생 용품"이란 용어는 일회용 기저귀, 용변 훈련용 팬츠, 흡수 내의, 성인 요실금용 제품 및 여성 위생 제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2성분 섬유"라는 용어는 개별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나 함께 방사되어 하나의 섬유를 형성하는 2종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2성분 섬유는 또한 종종 컨쥬게이트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로도 언급된다. 중합체는 2성분 섬유의 단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위치한 개별 대역으로 배열되고 2성분 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2성분 섬유의 구성은 예를 들어 한 중합체가 또다른 중합체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겉/속 배열일 수 있거나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배열, 파이(pie) 배열 또는 해도(islands-in-the-sea) 배열일 수 있다. 2성분 섬유는 미국 특허 제5,108,820호(가네꼬(Kaneko) 등), 동 제4,795,668호(크루에거(Krueger) 등), 동 제5,540,992호(마처(Marcher) 등) 및 동 제5,336,552호(스트랙(Strack) 등)에 교시되어 있다. 2성분 섬유는 또한 미국 특허 제5,382,400호(파이크 등)에 교시되어 있다. 2성분 섬유는 중합체가 75/25, 50/50, 25/75 또는 임의의 다른 목적하는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종방향" 또는 "MD"는 생산되는 방향에서의 직물의 길이를 의미한다. 용어 "횡방향" 또는 "CD"는 일반적으로 MD에 수직 방향인 직물의 너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주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소정의 조성물 또는 생성물의 목적하는 특성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추가의 물질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예시적인 물질로는 안료,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왁스, 유동 촉진제, 용매, 미립자, 및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물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개시되는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고무를 함유하지 않지만 탄성체 특성을 나타내는 부직 물질이다. 물질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과 같은 제2 중합체를 함유하는 2성분 섬유로 제조된 부직웹을 포함한다. 웹이 패턴 결합되거나 또는 점 결합되고 열 처리된 후 결합될 경우, 수축되어 약 30%까지 신장되었을 때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탄성 회복되는 부직 물질이 된다. 부직웹은 바람직하게는 약 104.4℃(22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다. 신장 및 회복 정도는 "수축" 온도 및(또는) 결합 면적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축 정도는 부직웹의 기본 중량을 증가시키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이다. 공정 라인 (10)은 2성분 연속 필라멘트가 제조되도록 배열된다. 공정 라인 (10)은 본 경우에서 폴리에스테르인 중합체 성분 A 및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인 중합체 성분 B를 개별적으로 압출하기 위한 한 쌍의 압출기 (12a) 및 (12b)를 포함한다. 중합체 A는 제1 호퍼 (14a)로부터 해당 압출기 (12a)로 공급되고, 중합체 B는 제2 호퍼 (14b)로부터 해당 압출기 (12b)로 공급된다. 중합체 성분 (A) 및 (B)는 압출기 (12a) 및 (12b)로부터 각각의 중합체 도관 (16a) 및 (16b)를 통해 스피너레트 (18)로 공급된다. 스피너레트는 당업계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일반적으로, 스피너레트 (18)은 중합체 A 및 중합체 B가 개별적으로 스피너레트를 통해 흐르기 위한 유동 통로를 생성하도록 배열된 패턴의 개구가 있는 적층된 다수의 판을 포함하는 방사팩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스피너레트 (18)은 하나 이상의 열로 배열된 개구를 가진다. 스피너레트 개구는 중합체가 스피너레트를 통해 압출될 때 하향하여 연장되는 필라멘트의 커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스피너레트 (18)은 중합체 A 및 중합체 B모두가 그의 표면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2성분 필라멘트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이러한 2성분 필라멘트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배열, 파이 배열, 및 중합체 중 하나가 적어도 로브(lobe)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로브는 서로 일정 거리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중합체는 중앙에 배치되고 그의 표면의 일부 이상이 로브 사이의 영역에서 볼 수 있는 폴리로발(polylobal) 배열을 포함한다.
공정 라인 (10)은 또한 스피너레트 (18)로부터 연장되는 필라멘트의 커튼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급냉 송풍기 (20)을 포함한다. 급냉 공기 송풍기 (20)으로부터의 공기는 스피너레트 (18)로부터 연장되는 필라멘트를 급냉한다.
섬유 연신기 또는 흡입기 (22)는 스피너레트 (18) 밑에 배치되어 급냉된 필라멘트를 수용한다. 중합체를 용융 방사시 사용하는 섬유 연신기 또는 흡입기는 당업계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방법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섬유 연신기는 미국 특허 제3,802,817호에 예시되어 있는 유형의 선형 섬유 흡입기, 및 미국 특허 제3,692,618호 및 동 제3,423,266호에 예시되어 있는 에덕티브 건 (eductive gun)을 포함하며, 상기 문헌들은 본원에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다.
일반적으로 기술하면, 섬유 연신기 (22)는 통로의 측면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통로를 통해 하향하게 흐르도록 하는, 필라멘트가 연신되는 연장된 수직 통로를 포함한다. 가열기 (24)는 뜨거운 흡입 공기를 섬유 연신기 (22)에 공급한다. 뜨거운 흡입 공기는 섬유 연신기 (22)를 통해 필라멘트 및 주위 공기를 끌어당긴다.
무한 다공성 형성 표면 (26)은 섬유 연신기 (22) 밑에 위치하여 섬유 연신기 (22)의 배출 개구로부터 연속 필라멘트를 수용한다. 형성 표면 (26)은 안내 롤러(28) 주위를 돈다. 필라멘트가 퇴적되어 있는 형성 표면 (26) 밑에 위치한 진공기 (30)은 필라멘트를 형성 표면에 끌어당긴다.
공정 라인 (10)은 최전방 안내 롤러 (28)과 함께, 웹이 형성 표면 (26)에서 벗어날 때 웹을 수용하는 압착 롤러 (32)를 포함한다. 또한, 공정 라인 (10)은 패턴 결합 또는 열점 결합과 같은 결합 장치 (34)를 또한 포함한다.
열점 결합은 섬유의 직물 또는 웹을 가열된 캘린더 롤 및 앤빌 롤 사이에 통과시켜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캘린더 롤은 언제나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직물이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 결합되지 않는 특정 방식으로 패턴된다. 결과적으로, 캘린더 롤의 다양한 패턴이 기능 및 미적인 이유로 개발되어 왔다. 패턴의 일 예는 미국 특허 제3,855,046호(한센(Hansen) 및 페닝스(Pennings))에 교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약 78.7 결합수/cm2(200 결합수/인치2)와 함께 결합 영역이 약 30%인 한센 페닝스 또는 "H&P" 패턴이다. H&P 패턴은 각 핀의 측면 치수가 0.965 mm (0.038 인치)이고 핀 사이의 간격이 1.778 mm (0.070 인치)이며 결합 깊이가 0.584 mm (0.023 인치)인 스퀘어 점 또는 핀 결합 영역을 가진다. 생성된 패턴은 결합 영역이 약 29.5%이다. 또다른 전형적인 점 결합 패턴은 연장된 한센 및 페닝스 또는 "EHP" 결합 패턴으로, 측면 치수가 0.94 mm (0.037 인치)이고 핀 간격이 2.464 mm (0.097 인치)이며 깊이가 0.991 mm (0.039 인치)인 스퀘어 핀이 있는 결합 영역이 15%이다. "714"라 불리우는 또다른 전형적인 점 결합은 각 핀의 측면 치수가 0.05842 cm (0.023 인치)이고 핀 사이의 간격이 1.575 mm (0.062인치)이며 결합 깊이가 0.838 mm (0.033 인치)인 스퀘어 핀 결합 영역을 가진다. 생성된 패턴은 결합 영역이 약 15%이다. 또다른 일반적인 패턴은 결합 영역이 약 16.9%인 C-스타 패턴이다. C-스타 패턴은 유성이 개재되어 있는 교차 방향 막대 또는 "코듀로이(corduroy)" 디자인을 가진다. 다른 일반적인 패턴은 반복되고 약간 오프셋된 다이아몬드가 있는 다이아몬드 패턴 및 이름에서 암시되는 것과 같이 생긴, 예를 들어 창살과 같은 망상(wire weave) 패턴을 포함한다.
열점 결합 롤러 (34)의 하류에는 뜨거운 공기 나이프 (26), 또는 임의의 다른 가열 공정, 예를 들어 오븐이 있어 웹을 목적하는 온도로 가열한다. 통상적인 뜨거운 공기 나이프는 부직웹 표면 상에 뜨거운 공기의 제트를 송풍하는 슬롯이 있는 심봉을 포함한다. 이러한 뜨거운 공기 나이프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567,796호(클로엔(Kloehn) 등)에 교시되어 있다. 대안으로, 물질을 세탁하고, 세정하고 승온에서 건조하여 목적하는 수축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 물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직웹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과 같은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한다. 가열시 수축하는 모든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2성분 섬유에 포함되는 제2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다.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 나일론 12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성분 섬유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의 선택에 따라, 섬유는 분리될 수 있어, 그로부터 제조되는 부직 물질의 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들 섬유는 임의의 수의 기계적, 열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2성분 섬유의 분리가 형성 동안 부직웹의 수축을 위해 그리고 형성된 부직웹의 탄성체 회복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는 물질의 탄성체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2성분 필라멘트는 폴리에스테르 (PET) 약 4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2성분 필라멘트는 폴리에스테르 약 55 중량% 내지 약 6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은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2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부직웹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2성분 필라멘트는 스펀본디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신장가능한 부직물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요약한 것이다. PET 및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의 사이드-바이-사이드 2성분 섬유로부터 제조된 5개의 시료 물질, 번호 1 내지 5의 시료에 대한 자료가 나타나져 있다. 각 시료에 대한 2세트의 자료, 즉 종방향(MD) 신장성 및 횡방향 (CD) 신장성에 대한 자료가 나타나져 있다. 이들 시료의 제조를 위한 공정 조건은 하기와 같았다.
중합체: PET = 티코나(Ticona) EKX-183
LLDPE = 다우(Dow) 6811A
HDPE = 다우 25455
구멍 직경 = 0.6 mm
토출량 = 0.6 ghm
용융 온도 = 525°
급냉 공기 온도 = 16.1℃(61℉)
중합체 비율 = 50/50 (부피) 또는 59/41 (중량) PET/PE
결합 패턴 = 실시예 참조 (5% 및 15% 나선형 및 HP)
16 조각 분리가능한 파이 형상 2성분 섬유 부직웹, 시료 6에 대한 자료를 또한 나타내었다. 이 경우, 2성분 섬유는 PET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며, 설명을 목적으로 하여 많은 상세한 내용이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추가의 실시양태가 가능하며,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로부터 벗어남없이 현저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 숙련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23)

  1.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패턴 결합, 점 결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으로 결합된 후 가열된 부직웹
    을 포함하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가열시 수축되는 폴리에스테르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합체가 가열시 상기 폴리에스테르보다 덜 수축되는 중합체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및 상기 제2 중합체 모두가 상기 섬유의 표면 상에 존재하도록 상기 2성분 섬유가 구성되어 있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가 사이드-바이-사이드,폴리로발(polylobal) 및 파이 배열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2성분 섬유의 약 2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를 이루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2성분 섬유의 약 40 중량% 내지 약 65 중량%를 이루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가 스펀본드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가 분리가능한 것인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13.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2성분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웹을 형성하는 단계,
    패턴 결합, 점 결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부직웹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웹을 가열하여 신장가능한 부직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인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가 스펀본드인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2성분 섬유의 약 20 중량% 내지 약 90 중량%를 이루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2성분 섬유의 약 40 중량% 내지 약 65 중량%를 이루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및 상기 제2 중합체 모두가 상기 섬유의 표면 상에 존재하도록 상기 2성분 섬유가 구성되어 있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가 사이드-바이-사이드, 폴리로발 및 파이 배열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나일론인 방법.
  23. 폴리에스테르 및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형성된 후 패턴 결합, 점 결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으로 결합되고 가열된 부직웹
    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 용품.
KR1020017013818A 1999-04-30 2000-04-20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KR100723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380599A 1999-04-30 1999-04-30
US09/303,805 199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733A true KR20020005733A (ko) 2002-01-17
KR100723551B1 KR100723551B1 (ko) 2007-05-31

Family

ID=2317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818A KR100723551B1 (ko) 1999-04-30 2000-04-20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177338B1 (ko)
JP (1) JP2002543304A (ko)
KR (1) KR100723551B1 (ko)
CN (1) CN1158414C (ko)
AR (1) AR023603A1 (ko)
AU (1) AU765059B2 (ko)
BR (1) BR0010131B1 (ko)
DE (1) DE60021184T2 (ko)
MX (1) MXPA01011064A (ko)
WO (1) WO2000066821A1 (ko)
ZA (1) ZA200108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397A1 (en) * 2001-09-12 2003-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tective nonwoven web for sensitive surfaces
US6887423B2 (en) 2001-09-26 2005-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stretchable nonwoven web
KR100923610B1 (ko) * 2001-12-21 2009-10-23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US6984276B2 (en) 2001-12-21 2006-01-10 Invista North America S.Arl. Method for preparing high bulk composite sheets
US7036197B2 (en) 2001-12-21 2006-05-02 Invista North America S.A.R.L. Stretchable multiple-component nonwoven fabrics and methods for preparing
JP4027728B2 (ja) * 2002-06-21 2007-12-26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短繊維からなる不織布
KR101065094B1 (ko) * 2002-11-21 2011-09-16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높은 신장회복률을 갖는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ATE333528T1 (de) * 2003-08-08 2006-08-15 Reifenhaeuser Gmbh & Co Kg Spinnvli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innvlieses
CN100335703C (zh) * 2003-11-27 2007-09-05 厦门翔鹭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直接纺生产聚酯纺粘非织布的方法
US8389100B2 (en) * 2006-08-29 2013-03-05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CN101713121B (zh) * 2008-10-07 2011-10-12 东纶科技实业有限公司 双组份复合纤维弹性非织造布及其加工方法
RU2552904C2 (ru) * 2011-03-25 2015-06-10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Изделие с компонентом из нетканого полотна, в котором каландрованием сформированы фигуры и конфигурации скрепления, увеличивающие приподнятость волокон
US9408761B2 (en) 2011-03-25 2016-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with nonwoven web component formed with loft-enhancing calendar bond shapes and patterns
CN102505356A (zh) * 2011-11-02 2012-06-20 成都彩虹环保科技有限公司 车用涤纶纤维层的制造装置
CN106225679A (zh) * 2016-07-06 2016-12-14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白光干涉标定pzt位移量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9838A1 (en) * 1987-06-10 1988-12-15 Kanebo, Ltd. Lengthwise and crosswise stretchable cloth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169045B1 (en) * 1993-11-16 2001-01-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ilter media
US5840633A (en) * 1994-11-25 1998-11-24 Polymer Processing Research Inst., Ltd.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016361B2 (ja) * 1996-03-27 2000-03-06 ユニチカ株式会社 一方向伸縮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EP1520918B1 (en) * 1996-05-14 2006-12-06 Toray Industries, Inc. Spontaneously degradable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66821A1 (en) 2000-11-09
AU4365300A (en) 2000-11-17
BR0010131B1 (pt) 2011-12-27
AU765059B2 (en) 2003-09-04
BR0010131A (pt) 2002-01-15
EP1177338A1 (en) 2002-02-06
EP1177338B1 (en) 2005-07-06
DE60021184D1 (de) 2005-08-11
MXPA01011064A (es) 2002-06-04
ZA200108294B (en) 2002-12-24
CN1158414C (zh) 2004-07-21
JP2002543304A (ja) 2002-12-17
CN1349570A (zh) 2002-05-15
KR100723551B1 (ko) 2007-05-31
AR023603A1 (es) 2002-09-04
DE60021184T2 (de)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3585B1 (en) Knit like nonwoven fabric composite
KR100723551B1 (ko) 신장가능한 부직 물질
US5425987A (e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JP3262803B2 (ja) 溶融紡糸された多成分熱可塑性連続フィラメント、それから形成された製品、及びそのための形成方法
US6989125B2 (en) Process of making a nonwoven web
EP0586936A1 (e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PL182110B1 (pl) Wstega wlókninowa puszysta oraz sposób wytwarzania wstegi wlókninowej puszystej PL PL PL PL
KR20050000507A (ko) 분할형 다성분 섬유와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CN1681462A (zh) 非织造毛圈材料以及有关方法和产品
JP2004532939A (ja) 大きなデニールの分割可能な繊維から作られた伸長可能な繊維及び不織布
US6274237B1 (en) Potentially crimpable composite fiber and a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US6446691B1 (en) Dual capillary spinneret for production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EP1469105A1 (en) Method of forming high-loft spunbond non-woven webs and product formed thereby
JPH05239754A (ja) 衛生材料の表面材の製造方法
EP3793820A1 (en) Composite sheet material,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20050018939A (ko) 섬유 및 부직웹의 연성 개선 방법 및 개선된 연성을 가진섬유 및 부직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