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347A -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347A
KR20020005347A KR1020000040903A KR20000040903A KR20020005347A KR 20020005347 A KR20020005347 A KR 20020005347A KR 1020000040903 A KR1020000040903 A KR 1020000040903A KR 20000040903 A KR20000040903 A KR 20000040903A KR 20020005347 A KR20020005347 A KR 2002000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lothes
gas
hot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주)씨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주)씨이엔텍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00004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5347A/ko
Publication of KR200200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04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a closed circuit for a heat transfe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또는 매트류의 난방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요부(2)가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 연결관(3)이 인출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가스 주입용 마개(4)가 조립되어 있고, 내부 일단에는 밧데리 수용실(9)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마개(4) 내측에서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스탱크(14)와 이 가스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15)이 구비되고, 이 가스 공급관(15)의 일측에는 조절레버(17)가 설치되어 케이스(1)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가스 공급관의 상측으로 노즐(16)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가스 공급부(11)와; 상기 케이스(1)의 내측 일단에 안착되고, 상단의 점화버튼(25)이 상기 케이스의 요부(2)에 위치되어 있으며, 전극 인출선(18)의 단부가 상기 노즐(16)에 근접 설치되는 압전소자(1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일단에는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펌프(19)가 설치되어 상기 밧데리 수용실(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펌프(19)로부터 두 개의 금속관(20)이 인출되어 상기 연결관(3)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금속관은 중간이 상기 노즐(16)의 상측에 위치하여 코일 형상의 가열부(21)를 이루도록 된 온수 공급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 용이한 조작에 의해 의복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어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선택적인 난방이 가능하여 추위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portable heating device for clothes or mats etc.}
본 발명은 의복이나 매트 등에 온수를 순환 공급하여 의복 등에 난방을 공급함으로써 동절기에도 간편하게 자체적인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운 지역에 살거나 동절기 등에는 추위를 막기 위하여 두꺼운 방한 외투나 여러 벌의 옷을 껴입는 것이 일반적인 수단이었다.
그러나, 장시간 외부에서 일하는 군인, 경비근무자 또는 노점상인 등은 결국 보온성이 떨어지게 되어 추위를 느끼게 되었으며, 두터운 옷을 입게 되므로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따뜻한 실내에 들어오면 옷을 벗고, 나갈 때는 다시 입는 등 그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복대, 매트 등은 인간의 신체와 빈번하게 접촉하는 것들로서 이들 역시 보온 기능이 요구되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하여 보온효과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 이는 실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류나 매트류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온수관을 내장하고, 이 온수관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의복이나 매트 등에 온수를 공급하여 언제라도 보온 효과를 얻도록 한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온수관이 내장된 의류 또는 매트류에 있어서, 일측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 연결관이 인출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가스 주입용 마개가 조립되어 있고, 내부 일단에는 밧데리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마개 내측에서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스탱크와 이 가스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이 구비되고, 이 가스 공급관의 일측에는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가스 공급관의 상측으로 노즐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가스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일단에 안착되고, 상단의 점화버튼이 상기 케이스의 요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전극 인출선의 단부가 상기 노즐에 근접 설치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단에는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펌프가 설치되어 상기 밧데리 수용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펌프로부터 두 개의 금속관이 인출되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금속관은 중간이 상기 노즐의 상측에 위치하여 코일 형상의 가열부를 이루도록 된 온수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는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그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일측벽은 커버로 되어 분리가 가능토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개략 설명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요부
3 ; 연결관 4 ; 마개
5 ; 스위치 7 ; 그릴
8 ; 커버 9 ; 밧데리 수용실
11 ; 가스 공급부 12 ; 압전소자
13 ; 온수 공급부 14 ; 가스탱크
15 ; 가스 공급관 16 ; 노즐
17 ; 가스 조절레버 19 ; 펌프
20 ; 금속관 21 ; 가열부
22 ; 밧데리 23 ; 의복
24 ; 온수관 25 ; 점화버튼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의복에 적용된 실시예로서의 개략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공급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케이스(1)에 의해 커버되는데, 이 케이스의 일측에는 요부(2)가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는 두 개의 연결관(3)이 인출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가스 주입용 마개(4)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전면에는 펌프 조작용 스위치(5)와 더불어 가스 조절용 레버가 인출되기 위한 홈(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 선택적으로 산소 공급용 그릴(7)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의 일면은 커버(8)로 되어 조립 가능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의 내부는 다수의 격벽으로 구획되어서 밧데리 수용실(9)과 상기 마개(4)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스탱크 수용실(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의 내부에는 가스 공급부(11)와, 압전소자(12) 및 온수 공급부(13)로 대별되는 장치가 연계되어 설치되는데, 가스 공급부(11)는 상기 케이스(1)의 가스탱크 수용실(1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스탱크(14)와, 이 가스탱크(14)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15) 및 가스 공급관(15)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노즐(1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 공급관(15)의 일측으로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레버(17)가 구비되어 케이스(1)의 홈(6)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압전소자(1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1)의 내부에서 그 상단이 상기 요부(2)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전극 인출선(18)의 단부가 상기 노즐(16)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온수 공급부(13)는 펌프(19)와, 이 펌프(19)로부터 인출되는 두 개의 금속관(20)이 구비된다.
상기 두 금속관(20)은 케이스(1)에 설치된 연결관(3)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금속관은 그 중간이 노즐(16)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피라미드 형상의 코일로 형성되는 가열부(21)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온수 공급부(13)는 밧데리 수용실(9)에 장착되는 밧데리(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5)에 의해 조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의복(23)에 내장된 온수관(24)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즉, 의복(23)의 온수관(24)에 본원 장치의 연결관(3)을 접속하여 사용하게 되고, 케이스(1)는 허리의 벨트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의복(23)에 온수를 공급하고자 하면, 가스 조절레버(17)를 조절하여 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한 다음, 압전소자(12)의 점화버튼(25)을 가압하여 점화하게 되며, 스위치(5)의 조작으로 펌프(19)를 동작시키면, 금속관(20)과, 연결관(3) 및 온수관(24)을 물이 천천히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노즐(16)로부터 분출되는 불꽃은 금속관(20)의 가열부(21)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게 되며 이렇게 덥혀진 온수가 의복(23)의 온수관(24)을 순환하면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온수의 온도 조절은 가스 조절레버(17)에 의해 가능하며, 가스를 사용함에따라 가스가 모두 소진되면, 마개(4)를 드라이버나 동전 등으로 열고 가스탱크(14)에 가스를 충진할 수 있으며, 아예 가스탱크(14)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밧데리 수용실(9)에 장착되는 밧데리(22) 역시 교환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의 부분들에 대한 교환이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커버(8)의 분리 및 조립에 의한 점검이 가능하다.
한편, 위의 실시예는 의복에 적용되는 상태를 위주로 설명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신체의 교정이나 찜질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복대와, 매트 등에도 상기 의복과 마찬가지로 온수관을 내장하여 본원 장치의 연결관(3)을 연결함으로써 복대나 매트류에의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의 압전소자(12)는 전자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관이나 온수관 등의 재질은 임의의 선택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소형의 펌프와 가스탱크 등이 구비된 케이스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용이한 조작에 의해 의류나 매트류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어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선택적인 난방이 가능하여 추위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보온 또는 찜질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온수관(24)이 내장된 의류 또는 매트류에 있어서,
    일측으로 요부(2)가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 연결관(3)이 인출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가스 주입용 마개(4)가 조립되어 있고, 내부 일단에는 밧데리 수용실(9)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마개(4) 내측에서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스탱크(14)와 이 가스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15)이 구비되고, 이 가스 공급관(15)의 일측에는 조절레버(17)가 설치되어 케이스(1)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가스 공급관의 상측으로 노즐(16)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가스 공급부(11)와;
    상기 케이스(1)의 내측 일단에 안착되고, 상단의 점화버튼(25)이 상기 케이스의 요부(2)에 위치되어 있으며, 전극 인출선(18)의 단부가 상기 노즐(16)에 근접 설치되는 압전소자(1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일단에는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는 펌프(19)가 설치되어 상기 밧데리 수용실(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펌프(19)로부터 두 개의 금속관(20)이 인출되어 상기 연결관(3)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금속관은 중간이 상기 노즐(16)의 상측에 위치하여 코일 형상의 가열부(21)를 이루도록 된 온수 공급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에는 그릴(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KR1020000040903A 2000-07-18 2000-07-18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KR20020005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03A KR20020005347A (ko) 2000-07-18 2000-07-18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03A KR20020005347A (ko) 2000-07-18 2000-07-18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355U Division KR200208669Y1 (ko) 2000-07-06 2000-07-06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347A true KR20020005347A (ko) 2002-01-17

Family

ID=1967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903A KR20020005347A (ko) 2000-07-18 2000-07-18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53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8945A2 (en) * 2008-04-16 2009-10-22 Argon Technologies Systems and methods for inflating an article of outdoor gear or apparel using a dry gas
US9756955B2 (en) 2009-11-09 2017-09-12 Argon Technologies, Inc. Inflatable pad and methods for us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6604A (ja) * 1985-05-18 1986-11-26 占部 明雄 冷暖温熱衣服
JPH04347450A (ja) * 1991-05-22 1992-12-02 Kenji Okayasu 携帯式熱伝達装置
JPH09111515A (ja) * 1995-10-12 1997-04-28 Misaka Sangyo Kk 保温衣服
KR970056534U (ko) * 1996-04-10 1997-11-10 류영선 전기보온조끼
JPH1150311A (ja) * 1997-07-31 1999-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衣類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6604A (ja) * 1985-05-18 1986-11-26 占部 明雄 冷暖温熱衣服
JPH04347450A (ja) * 1991-05-22 1992-12-02 Kenji Okayasu 携帯式熱伝達装置
JPH09111515A (ja) * 1995-10-12 1997-04-28 Misaka Sangyo Kk 保温衣服
KR970056534U (ko) * 1996-04-10 1997-11-10 류영선 전기보온조끼
JPH1150311A (ja) * 1997-07-31 1999-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衣類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8945A2 (en) * 2008-04-16 2009-10-22 Argon Technologies Systems and methods for inflating an article of outdoor gear or apparel using a dry gas
WO2009128945A3 (en) * 2008-04-16 2010-02-18 Argon Technologies Systems and methods for inflating an article of outdoor gear or apparel using a dry gas
US9756955B2 (en) 2009-11-09 2017-09-12 Argon Technologies, Inc. Inflatable pad and methods for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416B1 (en) Portable hair dryer optimally having a dual heating source
EP0803206B1 (en) Heated garment
KR100826386B1 (ko) 스팀식 미용기
JP3131296U (ja) 温度変更用装置
EP0868893B1 (en) Portable warmer suitable for a body
FR2815649B1 (fr) Fer avec fonction de surplus de vapeur
JP2940680B2 (ja) アイロン装置
KR200208669Y1 (ko)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KR20020005347A (ko) 의류 또는 매트류의 휴대용 난방 공급장치
CA2939303C (en) Hand warmer
KR200421793Y1 (ko)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100211087B1 (ko) 가열복
KR200345169Y1 (ko) 냉기발생기능 및 온열발생기능을 겸비한 냉온조끼
KR20060101137A (ko) 휴대용스팀난방장치
KR102141530B1 (ko) 강제순환 방식의 휴대형 온수매트 어셈블리
KR100504085B1 (ko) 휴대용 신체 보온기
CN215637314U (zh) 艾条点火装置
JPH09126426A (ja) 燃焼装置
JP3911824B2 (ja) 保温器
KR200299677Y1 (ko) 휴대용 신체 보온기
KR200373006Y1 (ko) 발열 침낭
KR100377268B1 (ko) 온구효과를 갖는 온열기
KR200334504Y1 (ko) 쑥뜸기
KR200216132Y1 (ko) 온구효과를 갖는 온열기
KR200377458Y1 (ko) 휴대용 신체보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