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006Y1 - 발열 침낭 - Google Patents

발열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006Y1
KR200373006Y1 KR20-2004-0028064U KR20040028064U KR200373006Y1 KR 200373006 Y1 KR200373006 Y1 KR 200373006Y1 KR 20040028064 U KR20040028064 U KR 20040028064U KR 200373006 Y1 KR200373006 Y1 KR 200373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bag
heating
controller
pad
sl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주)박홍근홈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박홍근홈패션 filed Critical (주)박홍근홈패션
Priority to KR20-2004-0028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침낭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온재를 내포하고 있는 일반적인 침낭의 소정 위치에 별도의 발열수단을 구비시키고, 상기 발열수단을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침낭 내에 수납부를 구비시킴으로서, 침낭의 기본 기능인 보온 기능 외에 발열기능 까지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겨울철 야외에서의 생활 시 체온손실을 방지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체온손실에 의한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수단을 상기 수납부에 손쉽게 넣었다 뺄 수 있기 때문에 발열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발열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전력으로도 향상된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열 침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 침낭{heat sleepingbag}
일반적으로 산지와 바다 같은 야외에서 캠핑이나 낚시 같은 여가 활동이나 군(軍)의 야외 훈련 중에 취침이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침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침낭은 솜, 오리털과 같은 보온재를 내포하고 있는 외피가 형성하는 공간부에 사용자가 들어가서 취침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도구로, 야외용이나 간이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침낭은 단순히 침낭에 내포된 보온재에 의해 침낭 내부 기온의 하강을 지연시키는 보온기능만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침낭내부의 온도가 하강하여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게 되어 원활한 휴식을 취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 장기간 야외에서 훈련하는 군인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손이나 발이 심하게 차가워져 원활한 휴식이 불가능하고 심하면 동상(凍傷)이 생기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훈련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탄소섬유발열지와 전열부재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침낭에 적용시켜 침낭보온기능 외에 발열기능이 부가된 침낭이 제안되었는데, 그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42962호(2004.2.12)『면상발열체를 사용한 침낭』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보온재 내부에 절연부재와 탄소섬유발열지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삽입하고 상기 면상발열체의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침낭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침낭은 면상발열체가 보온재의 내부, 즉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침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면상발열체의 발열선 중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되어 전기가 통전되지 못하여도 면상발열체를 수리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가 침낭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낭을 세탁하거나 접어서 보관할 경우 침낭이 심하게 접히거나 꼬이게 되면 침낭내부의 면상발열체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면상발열체가 내장형이기 때문에 원하는 신체 부위만 선택하여 발열시키기에는 불가능하고, 상기 면상발열체를 침낭 전체나 다수 설치하여 신체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골고루 발열을 시킨다고 하여도 그만큼 전력소모가 많아지게 되며, 침낭이 주로 야외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많은 전력을 구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일반적인 침낭에 별도의 발열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보온기능 외에 발열기능이 더 부가되는 발열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침낭에 발열수단을 부가시킴으로서,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추위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고 원활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발열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침낭에 별도의 수납부를 구비시켜 상기 발열수단을 수시로 넣었다 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열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는 발열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상기 수납부와 발열침낭에 의해 원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만족할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열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중 발열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는 본고안의 전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컨트롤러
22 : 조절스위치 24 : 제어부
26 : 본체 30 : 발열패드
32 : 열선 40 : 연결잭
100 : 발열수단 200 : 수납부
202 : 컨트롤러수납부 204 : 패드수납부
206 : 연결잭고정구 300 : 침낭
302 : 보온재 304 : 외피
306 : 수면포켓부 308 : 개폐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열침낭은
보온재를 내포하고 일정한 형태를 이루는 외피에 의해 수면포켓부가 형성되어진 통상의 침낭에 있어서, 상기 침낭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외피와 일체로 이루어진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발열수단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침낭(300)은 일반적으로 보온재(302)를 내포하고 있는 외피(304)와,
상기 외피에의해 형성되는 수면포켓부(306)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외피(304)는 침낭(300)의 외표면과 내표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표면을 형성하는 외피는 고어텍스(Gore-tex)와 같이 방수성과 환기성이 우수한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침낭(300)의 외표면에는 지퍼(zipper)나 벨크로(velcro)테이프 또는 스냅단추로 이루어진 개폐수단(308)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수단(308)을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수면포켓부(306)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보온재(302)는 침낭(300)내부의 보온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오리털이나 솜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발열수단(100)은 전기를 이용하여 침낭(300)내부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전류의 공급과 차단 및 전류량을 제어하여 발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20)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인입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패드(30) 및 상기 컨트롤러(20)와 상기 발열패드(30)를 상호 연결하여 전원을 전달시키는 연결잭(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10)는 발열에 필요한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일반적인 건전지나 충전지와 같은 직류전원이나 가정용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발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류의 공급과 차단 및 온도조절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조절스위치(22)와,
상기 조절스위치(2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받아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24) 및 상기 조절스위치(22)와 제어부(24)를 수용하는 본체(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10)를 건전지나 충전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의 본체(26)내부에 설치하여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0)에 상기 조절스위치(22) 및 제어부(24)와 연결된 별도의 발광소자(28)를 구비시킴으로서, 전류의 공급상태와 전류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낭(300)을 주로 야외에서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감안 한다면 상기 발열수단(100)의 크기를 최소와 하여 휴대와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특히 상기 발열패드(30)의 면적을 사용자의 발바닥이나 엉덩이 또는 등의 면적과 비슷한 크기로 형성시킴으로서, 전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야외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발열수단(100)은 상술한 구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한 발열장치 외에도 가열된 물이나 돌, 모래, 소금 또는 약물이 들어있는 발열팩 형태로 대체하여 일정시간동안 발열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발열수단(100)을 수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져 침낭(300)의 내부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00)는 발열수단(10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20)와 발열패드(30)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수납부(202)와 패드수납부(204)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예를들어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발열패드(30)가 수납될 수 있는 패드수납부(204)를 구비시키고,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컨트롤러수납부(202)를 구비시킴으로서, 손쉽게 컨트롤러(20)를 조작하여 발열수단(100)의 작동과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 크기 또한 컨트롤러(20)와 발열패드(30)의 크기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시켜 발열패드(30)나 컨트롤러(20)가 각각의 수납부(204,202) 내에서 불필요하게 이동되어 연결잭(40)이 발열패드(30) 및 컨트롤러(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와 발열패드(30)를 각각 상기 컨트롤러수납부(202)와 패드수납부(204)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도중 각각의 수납부(202,204)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컨트롤러수납부(202)와 패드수납부(204)의 입구에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체결수단(210)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20)와 발열패드(30)를 연결하는 연결잭(40)을 침낭(300)의 내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잭고정구(206)를 구비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연결잭(40)을 건드려 연결잭(40)이 컨트롤러(20)나 발열패드(30)에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납부(200)를 침낭(300)내부에 2개 이상 구비시킴으로서, 원하는 부위의 수납부(200)에 선택적으로 발열수단(100)을 수납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많은 전력을 확보할 수만 있다면 다수의 수납부(200)모두에 발열수단(100)을 수납하여 하용하거나 하나의 발열패드(30)를 침낭(300)의 바닥면 전체에 구비시켜 발열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열침낭은
먼저, 상기 발열수단(100)의 발열패드(30)를 상기 패드수납부(204)에 수납시키고, 컨트롤러(20)도 컨트롤러수납부(202)에 수납시킨 후, 연결잭(40)을 상기 발열패드(30)와 컨트롤러(20)에 삽입하여 상호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잭(40) 또한 연결잭고정구(206)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발을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발이 위치하는 부분의 패드수납부(204)에 발열패드(30)를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엉덩이나 등 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해당 부위에 위치한 수납부에 발열패드를 수납시켜 사용한다.
그 후 사용자가 침낭의 수면포켓부(306)에 들어가 개폐수단(308)을 체결하여 침낭(300)이 신체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휴식을 취한다.
휴식을 취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수납부(202)에 수납된 컨트롤러(20)를 조작하여 발열패드(30)에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패드(30)가 가열되어 열이 발생하고 동시에 발열패드(30)가 위치한 신체부위가 따뜻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전류가 발열패드(30)에 전달되어 발열되는 과정은 컨트롤러(20)의 조절스위치(22)를 작동시키면 전원부(10)에서 발생된 전류가 연결잭(40)을 통해 상기 발열패드(30)로 공급되어 발열패드내의 열선(32)이 가열됨으로서 발열이 된다.
만약 사용자가 발열온도의 조절이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절스위치(22)를 다시 작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스위치(22)를 통해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그 일예로 조절스위치(22)의 작동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컨트롤러(20)의 제어부(24)에서 받아 그 신호를 카운트하여 조절스위치(22)의 작동회수에 따라 온도의 제어단계를 조절시키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조절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전류공급과 동시에 발열온도가 30°가 되도록 하고, 두 번 누르면 40°, 세 번 누르면 전류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외부온도와 신체상황에 따라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휴식을 끝내고 침낭(300)을 접어 보관할 때에는 발열패드(30)와 컨트롤러(20) 및 연결잭(40)을 각각 해당 수납부(202,204,206)에서 빼내어 별도로 보관하면 되므로, 발열패드(30)나 컨트롤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낭(100)을 세탁할 시에도 발열수단(100)이 침낭과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물에 의한 발열수단(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발열침낭의 여러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일반적인 침낭에 별도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별도의 발열수단을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열침낭은
첫째, 일반적인 침낭에 별도의 발열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침낭의 보온기능외에 발열기능이 더 부가되어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원활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침낭에 별도의 수납부를 구비시켜 상기 발열수단을 손쉽게 넣었다 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열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를 다수 구비시킴으로서, 원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기 수납부와 발열수단에 의해 원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보온재를 내포하고, 일정한 형태를 이루는 외피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진 통상의 침낭에 있어서,
    상기 침낭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외피와 일체로 이루어진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시로 넣었다 뺄 수 있는 발열수단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침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발생된 전류의 공급과 차단 및 전류량을 제어하여 발열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인입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패드와,
    상기 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상기 발열패드로 전달하기위한 연결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침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발열패드를 수납하기 위한 패드수납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수납하기 위한 컨트롤러수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침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침낭의 소정위치에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침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수납부는 사용자가 침낭 내부에 누웠을 시,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침낭.
KR20-2004-0028064U 2004-10-04 2004-10-04 발열 침낭 KR200373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64U KR200373006Y1 (ko) 2004-10-04 2004-10-04 발열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64U KR200373006Y1 (ko) 2004-10-04 2004-10-04 발열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006Y1 true KR200373006Y1 (ko) 2005-01-14

Family

ID=4935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64U KR200373006Y1 (ko) 2004-10-04 2004-10-04 발열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11B1 (ko) * 2019-05-10 2020-05-28 성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11B1 (ko) * 2019-05-10 2020-05-28 성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WO2020231050A1 (ko) * 2019-05-10 2020-11-19 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898B1 (ko) 발열 장갑
JP3177287U (ja) 全天候型電熱保温ウェア
US20080093354A1 (en) Electro-thermal vest
US20080235853A1 (en) Heated Earmuff With Improved Frame and Heating Element
US11950646B2 (en) Hand warmer
KR100611231B1 (ko) 다목적 발열 이너웨어
KR200373006Y1 (ko) 발열 침낭
KR200389640Y1 (ko) 내피 분리가 가능한 발열 방한복
CN206808710U (zh) 一种可穿戴式电加热装置
JP3198957U (ja) 電熱保温服
KR20090062512A (ko) 목 보온장치
CN201557594U (zh) 电暖帽子
KR200386419Y1 (ko) 세탁 가능한 온열목도리
KR20070074424A (ko) 휴대용 담요
CN220546081U (zh) 一种多功能电暖被
KR20180009870A (ko) 발열 넥워머
KR200279700Y1 (ko) 온열 조끼
KR200379216Y1 (ko) 발열조끼
KR200317484Y1 (ko) 전기장판
KR20110048411A (ko) 신축성 발열선에 의한 발열패드와 전력절감장치를 갖는 발열침낭
CN110279261B (zh) 一种防着凉可放置平板的温控抱枕
KR100492383B1 (ko) 사우나 기능과 온열 기능을 겸한 매트
KR200345169Y1 (ko) 냉기발생기능 및 온열발생기능을 겸비한 냉온조끼
CN203121066U (zh) 控温式电暖服
KR200402436Y1 (ko) 휴대용 충전식 전기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