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216Y1 - 발열조끼 - Google Patents

발열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216Y1
KR200379216Y1 KR20-2004-0035517U KR20040035517U KR200379216Y1 KR 200379216 Y1 KR200379216 Y1 KR 200379216Y1 KR 20040035517 U KR20040035517 U KR 20040035517U KR 200379216 Y1 KR200379216 Y1 KR 200379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heating
power
heating wir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주)세미콘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미콘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세미콘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4-0035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2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조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밧데리를 조끼 내부에 마련된 포켓에 삽입하여 연결단자에 연결시키고, 조끼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전원연결부의 작동부재를 조작하여 전원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조끼 내부의 전열선을 통해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추운 겨울철 실외에서의 활동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열조끼는 조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밧데리와, 조끼 내부에 고루 배열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전열선과, 상기 밧데리와 상기 전열선의 사이에 설치되어 밧데리의 전원을 전열선 측으로 온/오프시키는 전원 연결부와, 상기 각 전열선과 접속하여 전열선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일정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자동 온도조절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열조끼{A heat generating vest}
본 고안은 발열조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의 충전 밧데리를 조끼 내측 포켓에 삽입하여 연결단자에 연결시키고, 조끼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연결부의 작동부재를 조작하여 전원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조끼 내부의 전열선을 통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추운 겨울철의 실외 활동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철에 실외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방한복 등의 동절기 의류를 입게 된다.
그러나 방한복과 같은 동절기 의류는 추위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할 수 있으나 부피가 커서 착용시 움직임에 지장을 주게 되어 작업 활동에 제약을 주게 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한기능이 점차적으로 저하되어 추위를 다시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군에서의 외곽근무나 낚시와 같은 레저 활동은 장시간 정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두꺼운 파카나 핫팩으로 몸을 녹이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지만 추위를 견디는 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종래의 동절기 의류중의 하나로 보온조끼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보온조끼로는 통상 온팩을 이용하는 형태와 전기를 이용하는 형태가 있다.
온팩을 이용하는 형태는 통상의 조끼에 온팩을 삽입하기 위한 팩주머니가 형성되고,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 등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팩을 상기 팩 주머니에 삽입하여 보온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온팩을 형성하기 위해 물을 끓이기 위한 별도의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기를 이용하는 보온조끼는 자체에 열선이 내재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이 상기 열선에 인가되어 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발열에너지를 통하여 따뜻함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보온조끼는 보온효과를 지속하여 누리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전원을 부가하여야 하는 바, 이로 인해 전력의 소모량이 많고, 특히 열선에 의한 유해파 방출로부터 인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온조끼의 장시간 착용시에는 발열원이 없어지므로 보온효과가 점차적으로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열선이 내장된 종래의 조끼의 경우, 조끼를 세탁할 경우 열선의 합선이 발생하는 등, 열선을 내장한 조끼가 더워지더라도 이를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내장된 열선을 모두 조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의 소형 밧데리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고, 일정 온도범위 내에서 온도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를 내부에 구비하여 전열선의 발열 여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세탁이 용이한 발열조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열조끼는 조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밧데리와, 조끼 내부에 고루 배열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전열선과, 상기 밧데리와 상기 전열선의 사이에 설치되어 밧데리의 전원을 전열선 측으로 온/오프시키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각 전열선과 접속하여 전열선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일정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자동 온도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밧데리는 두개의 밧데리가 한조가 되어 상기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며, 조끼 등받이부 하부에 형성된 소형 수납포켓 내부에 수용되며, 포켓 내부의 밧데리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조절단자는 조끼의 일측 전면부 내측에 형성된 소형 수납포켓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전열선과 연결되어 있는 포켓 내부의 케이블 단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단부에 조끼 내측의 전열선과 연결된 제1 전원단자가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제1 전원단자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제1 전원단자와의 착탈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며, 상기 밧데리와 연결된 제2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끼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끼의 발열상태를 용이하게 유지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 온도조절구에 의해 제어되는 온도는 34℃ - 45℃ 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의 사시도이고,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의 전면을 펼친 상태의 도면으로, 조끼의 내부 구성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 는 본 고안의 전원 연결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조끼(100)는 조끼 내부에 경량의 소형 충전 밧데리(125) 두개와, 발열조끼(100)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전열선(140)과, 상기 밧데리(125)와 조끼(100)의 내부에 배열된 전열선(140)간에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연결부(130)와, 상기 전열선(140)에 연결되어 전열선(140)의 발열온도를 적절한 온도범위로 제어하는 자동 온도조절구(12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중 충전 밧데리(125)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끼(100)의 등받이부(109)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소형 수납포켓(113,115)에 수용되며, 상기 수납포켓(113,115) 내부에 마련된 밧데리 연결단자(127)와 결착된다. 이때 상기 밧데리 수납포켓(113,115)은 조끼 등받이부(109)의 하단 양측에 위치하여 발열조끼(100)의 착용시, 밧데리(125)의 결착에 따른 신체와의 걸림이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밧데리 수납포켓(113,115)의 내측에는 밧데리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밧데리 연결단자(127)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밧데리 수납포켓(113,115)의 상부에는 수용된 밧데리(125)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보조커버(미도시)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커버로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일단이 밧데리 수납포켓(113,115)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납포켓(113,115)의 상측의 조끼에 고정되도록 하여 밧데리가 수납포켓(113,11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커버로 인해 밧데리(125)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전원 연결부(130)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끼의 일측 전면부(107)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정길이를 가지며 그 단부에 조끼 내측의 전열선(140)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1 전원단자(135)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재(139)와, 상기 제1 전원단자(137)와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며, 밧데리(125)에서 연장되어 전원선에 연결된 제2 전원단자(137)와, 상기 작동부재(139)의 단부가 조끼(100)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 고정구(13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139)는 조끼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전원단자(135)와 제2 전원단자(137)를 연결시키거나 연결된 상태를 해제시켜 조끼(100)의 발열 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전원단자(135)와 제2 전원단자(137)는 버튼 형태로 형성하여 상호간의 결착이 끼워 맞춤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연결부(130)의 설치위치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끼(100)의 일측 전면부(107) 내측에 국한되지 않고 조끼 착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조절구(121)는 착용자의 조작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조끼 착용시 신체상에 접촉이 빈번하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고안의 자동 온도조절구(121)는 상기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끼(100)의 다른 일측 전면부(105) 내측에 구비되며, 수납용 소형포켓(117)의 내부에 수용, 결착된다.
상기 자동 온도조절구(121)에는 조끼(100)의 내부 전체에 배열된 전열선(140)의 양측단부가 연결되어 온도제어가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원선이 일체로 결착된 복수 케이블 단자(123)가 그 상측단에 연결된다.
상기 자동 온도 조절구(121)는 자동 온도 제어시스템에 의해 전열선(140)이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구성부재로서, 설정 온도범위는 인체의 평상시 온도를 감안하여 대략 34℃ - 45℃ 가 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 온도 조절구(121)에서 적용되는 자동 온도 제어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발열조끼(100)의 하단부에는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15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절수단(150)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조끼(10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그 내부로 삽착되어 있는 조절끈(151)과, 상기 조절끈(151)을 내부 홈에 수용하여 조절된 상태의 끈(151)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53)로 구성된다. 따라서 발열조끼(100)를 착용한 후, 상기 조절끈(151)을 적절히 당긴 다음 스토퍼(153)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 내부에 배열된 전열선의 배선도로서, 전열선과 내부 구성부재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상기 배선도에서 도 2a 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부재가 위치하는 곳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발열조끼(100)의 내부에 배열되는 전열선(140)은 가운데의 등받이부(109)를 비롯하여 그 양측의 조끼 전면부(105,107) 내부로 골고루 배열되어 발열되는 부위가 조끼 전체에 걸쳐 가능한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도면에서, 본 고안의 밧데리(125)가 결착되는 밧데리 연결단자(127)는 두 곳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열선(140)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1 전원단자(135)와, 상기 밧데리(125)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2 전원단자(1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전원단자(135,137)는 상기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밧데리(125)는 상기 밧데리 연결단자(127)에 각각 동시에 연결해야 작동이 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반드시 두개의 밧데리(125)를 동시에 연결시키도록 해야 한다.
본 고안의 자동 온도조절구(121)에는 조끼 내부에 배열된 다수의 전열선(140)의 양측단이 연결되도록 케이블 단자(123)가 결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원단자(135)와 제2 전원단자(137)가 결착된 상태에서, 전열선(140)의 발열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발열조끼(100)의 사용시 조작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발열조끼(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우선 두개의 배터리(125)를 조끼 등받이부(109)의 하부 양측에 마련된 소형포켓(113,115)으로 삽입하여 포켓(113,115)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연결단자(127)에 결착시킨다.
다음, 전원 연결부(130)의 작동부재(139)를 움직여 작동부재(139)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전원단자(135)를 그 하부에 위치한 제2 전원단자(137)에 결착시켜 전원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원이 인가되어 일정시간 경과하게 되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열선(140)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며, 이때 자동 온도조절구(121)의 작동에 의해 전열선(140)은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 발열이 이루어진다.
이때, 발열조끼(100)의 내부 온도 상태에 따라 조끼 착용자는 앞서 설명한 전원 연결부(130)의 작동부재(139)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온도로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조끼의 착용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전원연결부(130)의 작동부재(139)를 상부로 올려 상부의 작동부재 고정구(131)에 결착시킴으로써 전원 연결상태를 해제시켜 전열선(140)의 발열상태를 정지시킨다. 이후 밧데리(125)를 연결단자(127)로부터 분리하여 수용포켓(113,115)으로꺼집어 낸 후, 재사용을 위해 충전기에 장착하여 충전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조끼(100)는 내측의 전열선(140)에 연결되는 구성부재, 즉, 밧데리(125)와 자동 온도조절구(121)와 같은 부품의 크기가 소형일뿐 아니라, 각 전열선(140)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조끼의 착용시 상기 내부 구성부품과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착용감 저하의 우려가 없고, 세탁시에는 상기 밧데리(125)와 자동 온도 조절구(121)만을 제거한 상태에서 세탁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세탁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는 조끼의 내측에 일련의 전열선을 고루 배열하고, 소형의 충전 밧데리를 조끼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 소형 수납포켓에 삽입하여 밧데리 연결단자에 연결시키고, 상기 전열선과 연결되어 전열선의 발열온도를 일정 범위내에서 제어하는 자동 온도조절구를 구비하며, 조끼 전면부 내측에 전원연결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여, 조끼 내부 전열선에서의 발열을 유도함으로써, 추운 겨울에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이 용이하고, 전열선에 결착되는 밧데리와 자동 온도조절구만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조끼의 세탁이 가능하여 관리상의 편리함을 얻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의 사시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b 는 본 고안의 발열조끼에 구비된 전원연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 내측에 배열된 전열선의 배선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열조끼 101,103 : 팔 인출구
105,107 : 조끼 전면부 109 : 조끼 등받이부
111 : 조끼 하단 둘레부 113,115,117 : 내측포켓
121 : 자동 온도조절구 123 : 케이블
125 : 밧데리 127 : 밧데리 연결구
130 : 전원 연결부 131,133 : 작동부재 고정구
139 : 작동부재 140 : 전열선
150 : 발열조끼 조임부 153 : 조임부재

Claims (6)

  1. 조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밧데리와,
    조끼 내부에 고루 배열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전열선과,
    상기 밧데리와 상기 전열선의 사이에 설치되어 밧데리의 전원을 전열선 측으로 온/오프시키는 전원 연결부와,
    상기 각 전열선과 접속하여 전열선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일정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자동 온도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는 두개의 밧데리가 한조가 되어 상기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는 조끼 등받이부 하부에 형성된 소형 수납포켓 내부에 수용되며, 포켓 내부의 밧데리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단자는 조끼의 일측 전면부 내측에 형성된 소형 수납포켓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전열선과 연결되어 있는 포켓 내부의 케이블 단자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단부에 조끼 내측의 전열선과 연결된 제1 전원단자가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제1 전원단자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제1 전원단자와의 착탈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며, 상기 밧데리와 연결된 제2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 단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온도범위는 34℃ -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KR20-2004-0035517U 2004-12-14 2004-12-14 발열조끼 KR200379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17U KR200379216Y1 (ko) 2004-12-14 2004-12-14 발열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17U KR200379216Y1 (ko) 2004-12-14 2004-12-14 발열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216Y1 true KR200379216Y1 (ko) 2005-03-17

Family

ID=4368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17U KR200379216Y1 (ko) 2004-12-14 2004-12-14 발열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2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22B1 (ko) * 2006-10-23 2007-04-24 테크웜(주) 크기 조절이 자유로운 상의
CN108685212A (zh) * 2018-05-31 2018-10-23 邦威防护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加热背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22B1 (ko) * 2006-10-23 2007-04-24 테크웜(주) 크기 조절이 자유로운 상의
CN108685212A (zh) * 2018-05-31 2018-10-23 邦威防护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加热背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8595B1 (en) Circulation warmer
KR100832889B1 (ko) 멜빵 및 벨트형 열 조끼
US20130001212A1 (en) Electrical heating jacket
KR101984134B1 (ko) 충전식 발열 손잡이
KR101142285B1 (ko) 발열위치조정이 용이한 건강 열 조끼
US20080235853A1 (en) Heated Earmuff With Improved Frame and Heating Element
US20080093354A1 (en) Electro-thermal vest
KR200379216Y1 (ko) 발열조끼
JP2006207099A (ja) 防寒衣服
WO2008036283A2 (en) Heated glove
CA2939303C (en) Hand warmer
KR200389640Y1 (ko) 내피 분리가 가능한 발열 방한복
KR101844053B1 (ko) 반도체를 이용한 온열 시스템
CN207948969U (zh) 一种自发热保暖套装
KR20180001053U (ko) 온열 목도리
WO2013094867A1 (ko) 발열 조끼
KR200373006Y1 (ko) 발열 침낭
KR100769333B1 (ko) 혁대
KR20120097081A (ko) 태양광을 이용한 기능성 방한복
CN209965287U (zh) 一种电暖服
KR20070001154U (ko) 발열앞치마
KR200308212Y1 (ko) 전열기능을 가지는 멜빵
KR200240382Y1 (ko) 고무절연 코드히팅 점퍼
CN215684166U (zh) 一种具有保温加热功能的宠物胸背带
KR200341524Y1 (ko) 방한용 보온 착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