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695A -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695A
KR20020004695A KR1020000038837A KR20000038837A KR20020004695A KR 20020004695 A KR20020004695 A KR 20020004695A KR 1020000038837 A KR1020000038837 A KR 1020000038837A KR 20000038837 A KR20000038837 A KR 20000038837A KR 20020004695 A KR20020004695 A KR 20020004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customer
request
split
enterpr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희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3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695A/ko
Publication of KR2002000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695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유통 거래선, 특판 거래선 또는 행망 거래선 등의 기업 고객과 계약한 발주분을 일괄 품의하여 전자 결제한 후, 고객의 납기 요청 사항, 해당 고객의 한도 및 본사의 재고 여부(해당 지사의 할당량)에 따라,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는 주문건에 대하여 제품 단위 또는 수량 단위로 주문 분할하여 납기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온라인 서버에서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기업 고객으로부터 품목 및 수량을 지정한 발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해당 기업 고객을 담당하는 영업 담당이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발주 요청을 접수하고, 이에 대한 전자 결재가 승인되면,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하여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을 분할 주문으로 생성하여, 전사적 기업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미처리 내역을 신규 주문으로 생성하여 적정 시점에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의 미처리 내역은 필요에 따라 반복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각 분할 주문은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며, 기업 고객은 상기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또는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고객과 계약한 발주분을 일괄 품의하여 전자 결제한후, 고객의 납기 요청 사항, 해당 고객의 한도 및 본사의 재고 여부(해당 지사의 할당량)에 따라,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는 주문건에 대하여 제품 단위 또는 수량 단위로 주문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규로 생성되는 분할 주문건은 기존 주문건과 계속적으로 주문 번호를 연결하여 하나의 발주 번호로 관리되고,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 발주건에 대하여 미처리 현황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B2B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using delevery mechanism based on order partitioning}
본 발명은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통 거래선, 특판 거래선 또는 행망 거래선 등의 기업 고객과 계약한 발주분을 일괄 품의하여 전자 결제한 후, 고객의 납기 요청 사항, 해당 고객의 한도 및 본사의 재고 여부(해당 지사의 할당량)에 따라,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는 주문건에 대하여 제품 단위 또는 수량 단위로 주문 분할하여 납기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상거래(B2B),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상거래(B2C), 또는 정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상거래(B2G)로 크게 분류된다. 다만, B2G에서의 상거래 규모가 B2C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B2G를 B2B의 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기업 고객의 발주 또는 주문은 일괄 주문의 형태를 띠며, 이를 일시에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업 고객의 발주분에 대하여, 해당 발주분을 최종적으로 일괄 처리할 수 있을 시점에 일괄 납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기업 고객의 발주분중에서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 또는 고객의 별도의 요청 부분을 먼저 진행하는 것이 능률적일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발주분에 대하여 일부분만을 먼저 진행하는 경우, 해당 발주분에서 이미 처리한 부분과 미처리 부분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통 거래선, 특판 거래선 또는 행망 거래선 등의 기업 고객과 계약한 발주분을 일괄 품의하여 전자 결제한 후, 고객의 납기 요청 사항, 해당 고객의 한도 및 본사의 재고 여부(해당 지사의 할당량)에 따라,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는 주문건에 대하여 제품 단위 또는 수량 단위로 주문 분할하여 납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기업 고객이 주문의 처리 내역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분할 주문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각 분할 주문의 처리 내역 및/또는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온라인 서버에서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기업 고객으로부터 품목 및 수량을 지정한 발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해당 기업 고객을 담당하는 영업 담당이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발주 요청을 접수하고, 이에 대한 전자 결재가 승인되면,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하여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을 분할 주문으로 생성하여, 전사적 기업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미처리 내역을 신규 주문으로 생성하여 적정 시점에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의 미처리 내역은 필요에 따라 반복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각 분할 주문은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며,
기업 고객은 상기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또는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발주 요청에서의 납기 요청 사항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기업 고객의 일괄 주문 한도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발주 요청에서의 지정 품목의 재고 수량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업간 전자상거래 품목의 재고 수량은 지역별로 할당되고, 영업 담당은 자신이 속한 지역에 할당된 재고 수량을 고려하여 상기 분할 주문을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업 고객은 유통 거래선, 특판 거래선 또는 행망 거래선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버;
상기 온라인 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고객 컴퓨터; 및
상기 온라인 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영업 담당 컴퓨터를 포함하고,
기업 고객은 상기 고객 컴퓨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품목 및 수량을 지정한 발주 요청을 수행하고,
영업 담당은 영업 담당 컴퓨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상기 발주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전자 결재가 승인되면, 영업 담당은 상기 발주 요청중에서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을 분할 주문으로 생성하여 전사적 기업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미처리 내역을 신규 주문으로 생성하여 적정 시점에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미처리 내역은 필요에 따라 반복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각 분할 주문은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며,
기업 고객은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또는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크게 고객 컴퓨터(110), 영업담당 컴퓨터(120) 및 온라인 서버(150)를 포함한다.
고객 컴퓨터(110) 및 영업담당 컴퓨터(120)는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 서버(150)에 연결되며, 온라인 서버(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쇼핑몰 등의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객 및 영업담당은 온라인 서버(150)에 접속한 상태에서 신규 주문 및/또는 주문 처리 등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고객은 유통 거래선, 특판 거래선 또는 행망 거래선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고객들은 고객 컴퓨터(110)를 통하여 온라인 서버(150)에 접속하여, 자신의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및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다.
온라인 서버(150)는 ERP 시스템(160;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을 통하여 고객 주문에 대한 실제적인 내부 작업(예를 들어, 생산 요청 등)을 진행하며, 결제 서버를 통하여 고객 주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상품/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분할 주문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ERP 시스템이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기업은 경영 활동 수행을 위해 여러개의 시스템 즉, 생산, 판매, 인사, 회계, 자금, 원가 및 고정 자산 등의 운영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바, ERP 시스템은 이처럼 전부문에 걸쳐있는 경영 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대표적인 기업 리엔지니어링 기법이다. 경영 지원을 위한 각 부시스템들은 해당 분야의 업무를 처리하고 정보를 가공하여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타부문과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여러가지 문제를 노출할 수 있다. ERP 시스템은 어느 한 부분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회사의 전 부문에서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지원한다.
계속해서, 도 1의 시스템 구성에서의 본 발명의 동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우선, 기업 고객이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면(단계 210),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물론, 기업 고객은 B2C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2B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버로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기업 고객이 품목, 수량 및 납기 등을 지정한 발주 요청을 하면(단계 220), 고객의 발주 요청은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영업담당으로 자동 통보된다. 여기서, 기업 고객은 단계 220에서 발주 요청을 할 경우, 복수개의 납기 요청을 하나의 발주분으로 일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영업 담당이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고객의 발주 요청 내역을 조회, 확인한 후, 이를 접수하고(단계 230), 고객의 발주 요청에 대하여 하나의 발주 번호로 전자 결재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240).
전자 결재에서 승인이 난 경우, 고객의 발주 요청에 대하여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을 분할 주문으로 생성하여, ERP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250, 단계 260, 단계 270). 여기서, 분할 주문은 고객의 발주 요청에서의 납기 사항, 고객의 일괄 주문 한도 또는 발주 요청 품목의 재고 수량 등을 고려하여 생성한다. 다만, 재고 수량은 지역별로 할당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분할 주문 생성시에 영업 담당이 속한 지역에 할당된 재고 수량만이 참조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분할 주문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만약, 단계 220에서의 발주 요청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280; 예를 들어, 단계 260에서 주문 분할이 발생한 경우), 고객 발주 요청에서의미처리 내역을 신규 주문을 생성하여 관리하며(단계 290), 필요 시점 또는 주문 가능 시점에 ERP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주문을 완료한다. 그리고, 단계 290 이후에도, 필요만큼 고객의 주문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주문 분할이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주문건은 기존 주문 번호와 연결하여,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분할 주문의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고객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및/또는 진행 상황(분할 여부, 미처리 내역 등)은 고객, 관리자 또는 영업 담당이 각각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각 분할 주문의 처리 내역 및/또는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고객과 계약한 발주분을 일괄 품의하여 전자 결제한 후, 고객의 납기 요청 사항, 해당 고객의 한도 및 본사의 재고 여부(해당 지사의 할당량)에 따라,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는 주문건에 대하여 제품 단위 또는 수량 단위로 주문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규로 생성되는 분할 주문건은 기존 주문건과 계속적으로 주문 번호를 연결하여 하나의 발주 번호로 관리되고,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 발주건에 대하여 미처리 현황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온라인 서버에서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기업 고객으로부터 품목 및 수량을 지정한 발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해당 기업 고객을 담당하는 영업 담당이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발주 요청을 접수하고, 이에 대한 전자 결재가 승인되면,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하여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을 분할 주문으로 생성하여, 전사적 기업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미처리 내역을 신규 주문으로 생성하여 적정 시점에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의 미처리 내역은 필요에 따라 반복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각 분할 주문은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며,
    기업 고객은 상기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또는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발주 요청에서의 납기 요청 사항을 고려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기업 고객의 일괄 주문 한도를 고려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발주 요청에서의 지정 품목의 재고 수량을 고려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기업간 전자상거래 품목의 재고 수량은 지역별로 할당되고, 영업 담당은 자신이 속한 지역에 할당된 재고 수량을 고려하여 상기 분할 주문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고객은 유통 거래선, 특판 거래선 또는 행망 거래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방법.
  7.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버;
    상기 온라인 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고객 컴퓨터; 및
    상기 온라인 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영업 담당 컴퓨터를 포함하고,
    기업 고객은 상기 고객 컴퓨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품목 및 수량을 지정한 발주 요청을 수행하고,
    영업 담당은 영업 담당 컴퓨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상기 발주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전자 결재가 승인되면, 영업 담당은 상기 발주 요청중에서 현재 진행가능한 부분을 분할 주문으로 생성하여 전사적 기업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미처리 내역을 신규 주문으로 생성하여 적정 시점에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미처리 내역은 필요에 따라 반복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각 분할 주문은 하나의 발주 번호로 통합 관리되며,
    기업 고객은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발주 요청의 처리 내역 또는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발주 요청에서의 납기 요청 사항을 고려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주문은 상기 기업 고객의 일괄 주문 한도 또는 상기 발주 요청에서의 지정 품목의 재고 수량을 고려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0000038837A 2000-07-07 2000-07-07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4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37A KR20020004695A (ko) 2000-07-07 2000-07-07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37A KR20020004695A (ko) 2000-07-07 2000-07-07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695A true KR20020004695A (ko) 2002-01-16

Family

ID=1967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37A KR20020004695A (ko) 2000-07-07 2000-07-07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272B1 (ko) * 2008-08-12 2009-04-27 (주) 아프로 유통망 전반의 물류 정보 흐름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272B1 (ko) * 2008-08-12 2009-04-27 (주) 아프로 유통망 전반의 물류 정보 흐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52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US20120109772A1 (en) Integrated cloud based marketplace services
US20010034622A1 (en) Hub based service delivery method and system
KR20170014336A (ko) 대화형 데이터 구조를 갖는 이알피 시스템
US20210241357A1 (en) Customizable and extensible managed integration platform
JPH1055399A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商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230150909A (ko) 이알피 연계형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3949B1 (ko) 중간 유통상을 경유하여 최초 공급자 및 구매자를 연결하는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38396A (ko) 사용자 기반 주문형 독립쇼핑몰을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페이백 서비스 방법
US20210142397A1 (en) Systems and method for a sourcing hub
CN116611893A (zh) 一种采销一体化的业务管理系统
KR101213541B1 (ko) 요청 응답 방식형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050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through bidding online
KR101429115B1 (ko) 다자간 거래확인을 위한 통합 물류시스템
US20050177468A1 (en) Request for quote system and method
KR2000006391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04695A (ko) 주문 분할에 따른 납기 방식을 사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KR102056738B1 (ko) 가맹점 마케팅 및 회원관리 대행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80065634A (ko) 해외 현지여행업체와 국내여행사간의 실시간 여행정보 플랫폼
KR20030012161A (ko) 온라인 전자상거래 대행 서비스 및 통합 커머스 서비스제공 시스템
KR2002000377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부품 구매대행업 전자상거래 방법
KR20210049318A (ko) 전사적 자원관리 또는 그룹웨어를 통한 전자상거래구축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4346A (ko) 상품 구매와 배송을 결합시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957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조달 및 직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2662226B1 (ko)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