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26B1 -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226B1
KR102662226B1 KR1020230182788A KR20230182788A KR102662226B1 KR 102662226 B1 KR102662226 B1 KR 102662226B1 KR 1020230182788 A KR1020230182788 A KR 1020230182788A KR 20230182788 A KR20230182788 A KR 20230182788A KR 102662226 B1 KR102662226 B1 KR 10266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inventory
event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준
Original Assignee
장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준 filed Critical 장민준
Priority to KR102023018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판매 상품의 재고 상태를 확인하고,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SKU들을 연동하여, 판매자가 재고 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물류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 재고 관리 장치는 상품의 종류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재고 정보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상품 정보와 상기 주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상품 그룹으로부터 판매 상품을 선택하고,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재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RODUCT INVENTORY IN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상품의 물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 상품의 재고 상태를 확인하고,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SKU(stock keeping unit)들을 연동하여, 판매자가 정밀하게 재고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 정보 시스템은 물류의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처리하거나 통제하기 위하여 구축된 시스템을 지시하며, 운송, 보관, 포장 등 물류 과정 전반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물류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오고 있으며, 물류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류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물류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물류 정보 시스템은 주문 관리 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 OMS), 창고 관리 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 WMS), 운송 관리 시스템(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TMS),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창고 관리 시스템은 물류 센터나 창고에서 재고 관리와 입고에서 출고까지의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물류 정보 시스템의 기본이 되고 있다.
창고 관리 시스템에서 창고에 보관되는 상품들에 대한 정밀한 재고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고 관리 미숙으로 인하여 상품의 적절한 출고 시기를 놓친 경우, 창고 내에서 빛, 온도, 습도, 먼지 등의 영향에 따라 상품의 품질이 변형될 수 있으며, 유통기한을 넘겨 유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는 상품의 센터 입고 시마다 상품의 종류와 보관되는 장소에 따른 최적의 환경을 설정하고, 보관 중 변경되는 상태를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로그 정보를 남겨야 한다. 더욱이 유통기한이 있는 상품에 대해서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상품 광고면에 대해 해당 상품의 유통기한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유통기한이 있는 상품들에 대한 유통기한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종래에 따르면, 판매자는 복수의 온라인 마켓들을 통한 상품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WMS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종래의 WMS 관리 프로그램은 기획전이나 할인 판매와 같이 이벤트를 통해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상품 자체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이벤트 상품으로 인식함에 따라 재고 관리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또한, 복수의 온라인 마켓들은 서로 상이한 단위의 SKU 정책을 이용하고 있으며, WMS 관리 프로그램이 마켓들마다 상이한 SKU 정책을 인식하지 못함에 따라 판매자가 직접 일일이 재고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재고 관리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을 지시하지 않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9795호(2015.08.05)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판매 상품의 재고 상태를 확인하고,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SKU들을 연동하여, 판매자가 재고 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재고 정보에 포함된 상품들을 이벤트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주문 정보에 포함된 판매 이벤트를 고려하여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판매 상품을 특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복수의 마켓들의 SKU 정책을 고려하여 복수의 마켓들 마다 상이한 SKU 변경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주문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이벤트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품의 종류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재고 정보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와 상기 주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상품 그룹으로부터 판매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고 정보는 이벤트에 따른 상품들의 분류 결과 지시하는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이벤트 내용과 이벤트 적용 상품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고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적용 상품에, 상기 이벤트 내용에 대응되는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판매 이벤트를 확인하고, 상기 판매 이벤트에 대응되는 판매 이벤트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기 재고 정보에서 상기 판매 이벤트 식별자가 할당된 후보 상품들을 추출하여 상품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후보 상품들로부터 대상 상품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와 상기 대상 상품들의 유통기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상품들로부터 판매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경 정보를 상기 재고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재고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매 상품을 판매하는 제1 마켓 서버로부터, 제1 마켓이 사용하는 제1 SKU 단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상품을 판매하는 제2 마켓 서버로부터, 제2 마켓이 사용하는 제2 SKU 단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SKU 단위 정보에 따른 제1 SKU 단위와 상기 변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마켓에 대응되는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SKU 단위 정보에 따른 제2 SKU 단위와 상기 변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마켓에 대응되는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켓 서버에 상기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마켓 서버에 상기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SKU 단위와 제2 SKU 단위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판매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반응을 지시하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자 반응 기록을 복수의 단락들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락들 각각에서 상기 주문 내역에 따른 판매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들의 검출 빈도를 고려하여 반응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이벤트에 따른 상기 판매 상품의 가격 변경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각각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의 조합들(combinations)은, 단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의 실시 예(any one embodiment)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 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의 대안적인 조합이 본 개시에 논의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거나, 본 개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discernable)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고, 나아가 실시 예의 특징들(embodiment features)의 이렇게 형성된 특정한 조합(combination) 또는 순열(permutation)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양립 불가능한(incompatible) 것으로 이해되지만 않는다면, 그 조합은 가능하다.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예시 구현(any described example implementation)에 있어서 둘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그 통합이 가능하다면 단일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형성된 단일한 구성 요소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면, 그 통합은 가능하다. 반대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 예(any embodiment)의 단일한 구성 요소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 및/또는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에 있다.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은 후술하는 장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판매 상품의 재고 상태를 확인하고,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SKU들을 연동하여, 판매자가 재고 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재고 정보에 포함된 상품들을 이벤트에 따라 분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주문 정보에 포함된 판매 이벤트를 고려하여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판매 상품을 특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복수의 마켓들의 SKU 정책을 고려하여 복수의 마켓들 마다 상이한 SKU 변경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활용되는 SKU를 연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주문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이벤트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재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활용되는 SKU를 연동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재고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상품의 물류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물류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판매 상품의 재고 상태를 확인하고, 물류 정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SKU(stock keeping unit)들을 연동하여, 판매자가 재고 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기술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요소 외에 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은 복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되거나,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물류 정보 시스템(100)은 재료의 구입 및 물품의 생산 과정부터 물품의 유통 및 배송 과정까지 물류의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전달 처리 시스템을 지시한다. 즉, 물류 정보 시스템(100)은 상품 주문, 주문 접수, 상품 발주, 상품 이송과 배송 등 일련의 과정을 전산화하여 효율적인 물류 활동을 추구할 수 있다. 물류 정보 시스템(100)에 따르면 주문자가 상품을 주문하면, 판매자가 물류 정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주문자가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류 정보 시스템(100)은 판매자 단말(110), 주문자 단말(130), 물류 관리 플랫폼(15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10)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판매자는 상품에 대한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등 상품을 주문자에게 인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연인 또는 법인을 지시하며, 판매자 단말(11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품이 주문자에게 인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10)은 판매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품의 물류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11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11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를 지시할 수 있다.
주문자 단말(130)은 상품을 구매하는 주문자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주문자는 온라인 마켓을 통해 구매, 교환, 환불과 같은 상품 주문을 진행하는 자연인 또는 법인을 지시하며, 주문자 단말(130)을 통해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주문자 단말(130)은 주문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주문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자 단말(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 관리 플랫폼(150)은 판매자와 주문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지시한다. 물류 관리 플랫폼(150)은 주문자 단말(130)로부터 상품 주문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면, 판매자 단말(110)의 제어에 따라 판매 상품을 선택하고 이를 주문자에게 배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물류 관리 플랫폼(15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OMS 서버(151), WMS 서버(152), 마켓 서버(153), 및 재고 관리 장치(15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물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MS 서버(151)는 주문자로부터 수신하는 주문들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를 지시한다. 즉, OMS 서버(151)는 주문 내역, 결제 확인, 주문 취소, 반품 등 주문자의 주문을 관리하고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지시할 수 있다. 판매자는 OMS 서버(151)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품의 재고 파악, 입고 예정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OMS 서버(151)는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WMS 서버(152)는 물류 센터에서 진행되는 입고 과정부터 재고, 피킹(picking), 패킹(packing), 출고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장치를 지시한다. 즉, WMS 서버(152)는 보관 시설 및 품목 별 재고 상황을 기록하여 재고의 수량 및 위치 파악 등 물류 센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WMS 서버(152) 또한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마켓 서버(153)는 온라인 마켓에서 운용하는 서버 장치를 지시한다. 마켓은 이커머스 마켓, 오픈 마켓 등 온라인을 통해 상품 판매를 중개하는 온라인 마켓을 지시하며, 마켓 서버(153)를 통해 상품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즉, 판매자는 마켓 서버(153)를 통해 상품을 홍보 및 판매할 수 있으며, 판매자가 복수의 마켓들을 이용하는 경우 물류 관리 플랫폼(150)은 복수의 마켓들 각각에 대응되는 마켓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켓 서버(153) 또한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에서 이동하는 상품 재고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자 단말(110), 주문자 단말(130), 및 물류 관리 플랫폼(150)을 구성하는 다양한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 재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를 통해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상품 자체가 동일함에도 별도의 상품으로 인식함에 따라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재고 정보 내 상품들을 이벤트 별로 분류하고, 주문 내역과 상품 내역으로부터 이벤트를 확인하여 실물 상품 단위로 판매 상품을 특정함으로써 재고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물류 관리 플랫폼(150) 내 서버 장치들은 서로 상이한 SKU 단위를 이용하여 재고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재고 관리 장치(154)는 서버 장치들의 상이한 SKU 단위들에 따른 맞춤형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연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정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7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 물류 관리 플랫폼(150)에 따르면, OMS 서버(151)를 통해 주문이 입력되면, WMS 서버(152)는 상품 발송 후 가상 재고를 차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경로가 프로모션, 기획전과 같은 이벤트, 및 유통기한을 고려하여 상품들을 분류하여 재고 정보 관리할 수 있으며, 이벤트에 따라 상품들이 분류된 재고 정보를 이용하여 주문 정보에 맞는 판매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이 출고되면 물류 관리 플랫폼(150) 내 다양한 기관들이 이용하는 SKU를 확인하고 기관들 각각에 대응되는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물류 정보 시스템(100)의 재고 상태를 연동할 수 있다. 즉, 판매자는 통합적인 재고 관리를 통해, 재고가 있음에도 재고 품절로 되어 있거나 재고가 없음에도 판매 가능으로 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손해,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을 발송하여 브랜드 이미지가 실추되는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100)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의 구성(200)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부(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재고 관리 장치(154)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21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0)와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프로세서(2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10)는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 재고 현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시하는 재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재고 관리 장치(154)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부(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재고 관리 장치(154)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종류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재고 정보로부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그룹을 결정하고, 상품 정보와 주문 정보를 고려하여, 상품 그룹으로부터 판매 상품을 선택하고, 판매 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변경하여 재고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통신부(23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통신망을 통해 재고 관리 장치(154)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154)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요청 신호를 생성한 경우, 요청 신호는 통신부(2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부(230)를 통해 재고 관리 장치(154)로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30)는 판매자 단말(110), 주문자 단말(130), 물류 관리 플랫폼(150) 내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정보와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등과 같은 장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재고 관리 장치(154)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부(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웹 브라우징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출력할 출력 데이터를 프로세서(22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각각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결합하여 단일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중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결합된 다중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재고 관리 현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메모리(210)에 재고 현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시하는 재고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별로 상품들을 묶어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자의 주문 경로를 확인하여 이벤트를 확인하고 이벤트에 따른 상품 그룹을 추출함으로써 판매 상품을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WMS 서버(152)가 판매 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한 경우, 재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물류 관리 플랫폼(150) 내 서버 장치들의 SKU를 고려하여 맞춤형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함으로써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100)에서, 재고 정보(340)를 갱신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300)를 도시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프로모션, 할인 판매와 같은 이벤트의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정보(310)를 이용하여 분류 정보(341)를 생성하고, 분류 정보(341)를 이용하여 재고 정보(340) 내 상품을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와 상품 정보(330)를 이용하여 재고 정보(340)로부터 판매 대상이 되는 판매 상품(360)을 선택하고, 판매 상품(360)의 출고 현황에 따라 재고 정보(340)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재고 정보(340)는 물류 정보 시스템(100)에 포함된 장치들의 재고 현황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재고 관리 장치(1540)는 재고 정보(340)의 갱신 및 갱신 내용을 물류 관리 플랫폼(150) 내 장치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부의 재고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를 획득하기 전에, 이벤트 정보(310)를 이용하여 분류 정보(341)를 생성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들의 구체적인 조건에 대한 이벤트 정보(310)를 이용하여, 상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분류 결과를 지시하는 분류 정보(34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310)는 프로모션, 할인 판매와 같은 이벤트에 대하여, 이벤트 내용, 및 이벤트 적용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상품 종류 A를 판매하는 제1 프로모션 이벤트, 상품 종류 A, B를 판매하는 제2 프로모션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310)는 상품 종류 A에 대한 제1 이벤트 정보, 상품 종류 A, B에 대한 제2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 정보(310)를 이용하여 재고 정보(340)에 포함된 이벤트 적용 상품을 추출하고, 이벤트 적용 상품에 이벤트 내용에 대응되는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상품들의 분류 결과에 대한 분류 정보(341)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재고 정보(340)는 이벤트에 따른 상품들의 분류 결과 지시하는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 내용에 따른 이벤트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벤트 적용 대상 상품에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재고 정보(340)를 이벤트에 따라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정보(340)에 상품 종류 A, 상품 종류 B, 상품 종류 C가 저장되어 있고, 이벤트 정보가 상품 종류 A에 대한 제1 이벤트 정보, 상품 종류 A, B에 대한 제2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 종류 A에 제1 이벤트 식별자, 제2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품 종류 B에 제2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분류 정보(341)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이벤트에 대하여 상품 종류 A, B가 묶이고, 제2 이벤트에 대하여 상품 종류 B가 묶여서 관리될 수 있으며, 상품 C는 이벤트가 아닌 일반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 정보(330), 및 주문 정보(320)를 수신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OMS 서버(151), WMS 서버(152), 및 판매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의 구체적인 종류에 대한 상품 정보(330), 주문자의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정보(320)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330)는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의 구체적인 종류와 스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정보(320)는 주문자가 이용한 온라인 마켓 채널을 지시하는 주문 경로,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 및 주문자가 이용한 판매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재고 정보(340)로부터, 주문 정보(320)에 대응되는 상품 그룹(350)을 결정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에 포함된 판매 이벤트를 확인하여 판매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하고, 판매 이벤트에 대응되는 판매 이벤트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재고 정보(340)에서 판매 이벤트 식별자가 할당된 후보 상품들을 추출하여 상품 그룹(350)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주문자가 적용 받고자 하는 구체적인 판매 이벤트를 식별하고, 이벤트 식별자 테이블에서 판매 이벤트에 대응되는 판매 이벤트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재고 정보(340)에서 분류 정보(341)에 따라 이벤트 식별자들이 할당된 상품들 중에서 판매 이벤트 식별자가 할당된 후보 상품들을 추출함으로써 상품 그룹(350)을 결정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 정보(330)와 주문 정보(320)를 고려하여 상품 그룹(350)으로부터 판매 상품(360)을 선택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 정보(330)에 따른 상품의 종류를 고려하여 후보 상품들로부터 대상 상품들을 추출하고, 주문 정보(320)에 따른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와 대상 상품들의 유통기한을 이용하여, 대상 상품들로부터 판매 상품(360)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재고 관리 장치(154)는 후보 상품들로 구성된 상품 그룹(350)에서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의 종류와 동일한 상품들을 추출함으로써 대상 상품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가 '높음'인 경우, 대상 상품들 중에서 유통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상품들 중에서 센터에 우선 입고된 상품을 판매 상품(360)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반면, 재고 관리 장치(154)는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가 '낮음'인 경우, 대상 상품들 중에서 유통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상품들 중에서 최근에 입고된 상품을 판매 상품(360)으로 선택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상품(360)을 선택하고 판매 상품(360)을 특정하는 정보를 WMS 서버(152)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WMS 서버(152)로부터 판매 상품(360)이 출고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판매 상품(360)에 대한 재고 상태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변경 정보를 재고 정보(340)에 포함시킴으로써 재고 정보(340)를 갱신할 수 있다.
추가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재고 정보(340)를 갱신한 이후,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부의 서버들 각각으로 재고 현황의 갱신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켓들은 상이한 SKU 단위를 사용하므로, 재고 관리 장치(154)는 마켓들 각각에 대응되는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4에서 설명된다.
추가로,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기획전을 보완하기 위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자가 판매 이벤트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주문자의 만족도와 같은 반응 기록을 확인하고, 주문자의 반응 기록에서 검출되는 키워드의 빈도를 이용하여 주문자의 반응을 살핌으로써, 판매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의견 및 이벤트의 조건 변경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반응을 지시하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수신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자 단말(130)로부터 복수의 단락들로 구성된 반응 텍스트를 지시하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복수의 단락들로 구분하고, 복수의 단락들 각각에서 주문 내역에 따른 판매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재고 관리 장치(154)는 반응에 대한 키워드 셋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워드 셋은 '비싸다', '기간이 짧다', '품질 문제' 등 이벤트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키워드들의 검출 빈도를 고려하여 반응 키워드를 결정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키워드들 각각의 검출 빈도를 고려하여 키워드 별 비중 값을 연산하고, 키워드 비중 값이 가장 높은 키워드를 반응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비중 값은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고하면, Bx는 키워드 x의 비중 값, c1은 키워드가 검출되는 단락의 비율에 대한 0 초과 1 미만의 제1 환산 상수, ET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구성하는 단어의 수, EA는 주문자 반응 기록에서 검출되는 키워드 x의 수, FT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구성하는 단락의 수, FA는 키워드 x가 검출되는 단락의 수, c2는 키워드 x가 검출되는 단락 내 키워드 검출 빈도에 대한 0 초과 1 미만의 제2 환산 상수, GTi는 키워드 x가 검출되는 단락들 중 i 번째 단락을 구성하는 단어의 수, GAi는 키워드 x가 검출되는 단락들 중 i 번째 단락에서 검출되는 키워드 x의 수를 지시한다.
비중 값은 단순하게 많이 검출될수록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전체 단어의 수, 단락의 수, 키워드가 검출되는 단락의 수, 단락 내 검출되는 키워드의 수가 고려되므로 키워드가 기록 전체 및 단락 내에서 전제의 의미로 사용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로 사용되는지 여부를 고려한 수치로 결정된다. 즉, 복수의 단락들 전반에 걸쳐서 키워드가 검출되거나 하나의 단락 내에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키워드는 전제의 의미로 사용되는 키워드로 보아 비중 값이 낮으며, 특정 단락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경우 비중 값이 높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반응에 관련없이 빈번하게 검출되는 경우를 배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벤트에 대한 반응을 보다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재고 관리 장치(154)는 반응 키워드를 이용하여 판매 이벤트에 따른 판매 상품의 가격 변경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반응 키워드의 의미를 확인하고 반응 키워드를 보완하기 위한 문구를 선택함으로써, 이벤트 보완을 위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키워드가 '품질문제'인 경우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가 적용되는 적용 상품의 변경을 추천할 수 있으며, 반응 키워드가 '비싸다'인 경우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 할인율의 증가를 추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자가 기획전을 활용하여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에서 활용되는 SKU를 연동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도 4는 판매자가 제1 마켓과 제2 마켓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며, 제1 마켓의 SKU 단위는 물품 자체이고, 제2 마켓의 SKU 단위는 물품의 종류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01)에서, 제1 마켓 서버(153-1)는 제1 SKU 단위 정보를 송신한다. 제1 마켓 서버(153-1)는 제1 마켓이 이용하는 SKU 단위 체계에 대한 제1 SKU 단위 정보를 재고 관리 장치(154)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제2 마켓 서버(153-2)는 제2 SKU 단위 정보를 송신한다. 제2 마켓 서버(153-2)는 제2 마켓이 이용하는 SKU 단위 체계에 대한 제2 SKU 단위 정보를 재고 관리 장치(154)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1 SKU 단위와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마켓에 대응되는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1 SKU 단위 정보에 따른 제1 SKU 단위가 물품 자체임을 확인하고, 재고 정보(340)의 갱신 과정에서 생성된 변경 정보에 따라 판매 상품의 재고가 차감되었음을 지시하는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2 SKU 단위와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마켓에 대응되는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2 SKU 단위 정보에 따른 제2 SKU 단위가 물품의 종류임을 확인하고, 변경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물품 종류 중에서 판매 상품에 해당하는 옵션이 없음을 지시하는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SKU 단위와 제2 SKU 단위는 상이하며, 재고 관리 장치(154)는 실제 재고 변경 상태가 동일한 경우라도, 제1 마켓에 대응되는 제1 SKU 변경 정보와 제2 SKU 변경 정보를 상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단계(409)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1 SKU 변경 정보를 제1 마켓 서버(153-1)로 송신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1 마켓의 SKU 단위가 고려된 제1 SKU 변경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제1 마켓 서버(153-1)의 메모리에 저장된 재고 상태가 갱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411)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2 SKU 변경 정보를 제2 마켓 서버(153-2)로 송신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제2 마켓의 SKU 단위가 고려된 제2 SKU 변경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제2 마켓 서버(153-2)의 메모리에 저장된 재고 상태가 갱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물류 정보 시스템(100)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500)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의 종류에 대한 상품 정보(330), 및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정보(320)를 수신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자 단말(110), 주문자 단말(130), 물류 관리 플랫폼(150) 내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정보(330)와 주문 정보(320)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를 수신하기 전에 재고 정보(340)의 상품들을 이벤트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정보(340)는 이벤트에 따른 상품들의 분류 결과 지시하는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를 수신하기 전에, 이벤트 내용과 이벤트 적용 상품에 대한 이벤트 정보(310)를 획득하고, 재고 정보(340)에 포함된 이벤트 적용 상품에, 이벤트 내용에 대응되는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하고, 이벤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분류 정보(341)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재고 정보(340)로부터, 주문 정보(320)에 대응되는 상품 그룹(350)을 결정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이벤트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된 재고 정보(340)에서 판매 이벤트를 확인함으로써 상품 그룹(350)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154)는 주문 정보(320)로부터 판매 이벤트를 확인하고, 판매 이벤트에 대응되는 판매 이벤트 식별자를 선택하고, 재고 정보(340)에서 판매 이벤트 식별자가 할당된 후보 상품들을 추출하여 상품 그룹(350)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 정보(330)와 주문 정보(320)를 고려하여, 상품 그룹(350)으로부터 판매 상품(360)을 선택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의 종류, 유통기한을 고려하여 판매 상품(360)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154)는 상품의 종류를 고려하여, 후보 상품들로부터 대상 상품들을 추출하고, 주문 정보(320)에 따른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와 대상 상품들의 유통기한을 이용하여, 대상 상품들로부터 판매 상품(360)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상품(360)에 대한 재고 상태를 변경하여 재고 정보(340)를 갱신한다.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상품(360)에 대한 출고가 확인된 경우, 판매 상품(360)에 대한 재고 상태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변경 정보를 재고 정보(340)에 포함시킴으로써 재고 정보(340)를 갱신할 수 있다.
추가로, 재고 관리 장치(154)는 복수의 마켓들이 이용하는 SKU 단위를 연동하여 물류 정보 시스템(100) 내 재고 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상품(360)을 판매하는 제1 마켓 서버(153-1)로부터 제1 마켓이 사용하는 제1 SKU 단위 정보를 수신하고, 판매 상품(360)을 판매하는 제2 마켓 서버(153-2)로부터 제2 마켓이 사용하는 제2 SKU 단위 정보를 수신하고, 제1 SKU 단위와 변경 정보를 고려하여 제1 마켓에 대응되는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제2 SKU 단위와 변경 정보를 고려하여 제2 마켓에 대응되는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제1 마켓 서버(153-1)에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송신하고, 제2 마켓 서버(153-2)에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SKU 단위와 제2 SKU 단위는 상이할 수 있다.
추가로, 재고 관리 장치는 이벤트 활성화를 위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 장치(154)는 판매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반응을 지시하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수신하고, 주문자 반응 기록을 복수의 단락들로 구분하고, 복수의 단락들 각각에서 주문 내역에 따른 판매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키워드들의 검출 빈도를 고려하여 반응 키워드를 결정하고, 반응 키워드를 이용하여 판매 이벤트에 따른 판매 상품의 가격 변경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판매자 단말 130 주문자 단말
150 물류 관리 플랫폼 151 OMS 서버
152 WMS 서버 153 마켓 서버
153-1 제1 마켓 서버 153-2 제2 마켓 서버
154 재고 관리 장치 170 네트워크
210 메모리 220 프로세서
230 통신부 240 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디스플레이부 310 이벤트 정보
320 주문 정보 330 상품 정보
340 재고 정보 341 분류 정보
350 상품 그룹 360 판매 상품

Claims (5)

  1. 재고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품의 종류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재고 정보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와 상기 주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상품 그룹으로부터 판매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고 정보는 이벤트에 따른 상품들의 분류 결과 지시하는 분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이벤트 내용과 이벤트 적용 상품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고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적용 상품에, 상기 이벤트 내용에 대응되는 이벤트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정보로부터 판매 이벤트를 확인하고, 상기 판매 이벤트에 대응되는 판매 이벤트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 정보에서 상기 판매 이벤트 식별자가 할당된 후보 상품들을 추출하여 상품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후보 상품들로부터 대상 상품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유통기한 임박 상품 선호도와 상기 대상 상품들의 유통기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상품들로부터 판매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이벤트에 대한 주문자의 반응을 지시하는 주문자 반응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자 반응 기록을 복수의 단락들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락들 각각에서 상기 주문 내역에 따른 판매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들의 검출 빈도를 고려하여 반응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이벤트에 따른 상기 판매 상품의 가격 변경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경 정보를 상기 재고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상품을 판매하는 제1 마켓 서버로부터, 제1 마켓이 사용하는 제1 SKU(stock keeping unit) 단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상품을 판매하는 제2 마켓 서버로부터, 제2 마켓이 사용하는 제2 SKU 단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SKU 단위 정보에 따른 제1 SKU 단위와 상기 변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마켓에 대응되는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SKU 단위 정보에 따른 제2 SKU 단위와 상기 변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마켓에 대응되는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켓 서버에 상기 제1 재고 변경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마켓 서버에 상기 제2 재고 변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SKU 단위와 제2 SKU 단위는 상이한 방법.
  5. 삭제
KR1020230182788A 2023-12-15 2023-12-15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6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2788A KR102662226B1 (ko) 2023-12-15 2023-12-15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2788A KR102662226B1 (ko) 2023-12-15 2023-12-15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226B1 true KR102662226B1 (ko) 2024-04-29

Family

ID=9088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2788A KR102662226B1 (ko) 2023-12-15 2023-12-15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2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348A (ko) * 2013-03-29 2014-10-10 주식회사 피알컴퍼니 물품 판매 정보 관리 서버
KR20150089795A (ko)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창고관리시스템에서 유통기한 관리 방법
KR101640283B1 (ko) * 2010-03-31 2016-07-15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서버 장치, 상품 그룹핑 방법, 상품 그룹핑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상품 그룹핑 시스템
KR102192429B1 (ko) * 2019-02-26 2020-12-16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KR102510754B1 (ko) * 2021-06-08 2023-03-16 이승호 위치 기반 할인 상품의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38797A (ko) * 2022-03-24 2023-10-05 한병엽 재고량 도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283B1 (ko) * 2010-03-31 2016-07-15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서버 장치, 상품 그룹핑 방법, 상품 그룹핑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상품 그룹핑 시스템
KR20140119348A (ko) * 2013-03-29 2014-10-10 주식회사 피알컴퍼니 물품 판매 정보 관리 서버
KR20150089795A (ko)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창고관리시스템에서 유통기한 관리 방법
KR102192429B1 (ko) * 2019-02-26 2020-12-16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KR102510754B1 (ko) * 2021-06-08 2023-03-16 이승호 위치 기반 할인 상품의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38797A (ko) * 2022-03-24 2023-10-05 한병엽 재고량 도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ök et al. Demand estimation and assortment optimization under substitution: Methodology and application
US20230196440A1 (en) Determining Positioning of Items on A Surface
KR102064615B1 (ko) 빅데이터 기반 쇼핑몰 플랫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702361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ifying targeted content for customers
KR102225729B1 (ko) 복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등록을 위한 상품정보 가공 장치 및 방법
US111641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site purchases at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140337134A1 (en) Federated E-Commerce System and Method
US20200294108A1 (en) Recommendation engine for marketing enhancement
US20130325554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Profit for Retailer from Price Elasticity of Other Retailers
US116357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US20220318738A1 (en) Consumer purchasing assista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US20210312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global product data
US202200363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configurable templates and policy information to control use of storage locations
Wu et al. Fulfillment scheduling for buy‐online‐pickup‐in‐store orders
US11443364B2 (en) Real-time management of inventory transfers and related user interfaces
KR102205214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662226B1 (ko) 물류 정보 시스템에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539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commerce checkout with delay loading of checkout options
US20220351107A1 (en) Automated request fulfilment processing
US20180285911A1 (en) Optimizing profitability in fulfilling website-based order
US10325279B2 (en) Preference based data collection and discounting system
JP2023516835A (ja) 化粧品製品小売用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0319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nting of shipping labels for orders bypassing stowage in a warehouse
KR101656801B1 (ko) 상품을 매개체로 하는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479122B1 (ko) 통합 상점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