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635A - 상품검색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검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635A
KR20020004635A KR1020000038704A KR20000038704A KR20020004635A KR 20020004635 A KR20020004635 A KR 20020004635A KR 1020000038704 A KR1020000038704 A KR 1020000038704A KR 20000038704 A KR20000038704 A KR 20000038704A KR 20020004635 A KR20020004635 A KR 2002000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arch
store
informa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903B1 (ko
Inventor
하루히코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이사오
제이씨비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이사오, 제이씨비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카니시 이사오
Priority to KR102000003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쇼핑을 위해 복수 점포의 제품을 효율적으로, 적확하게 또한 쉽게 검색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인터넷상에 있어서 복수 점포사이트가 판매하는 복수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엔진에 의해 검색하는 상품검색시스템에 있어서, 공통형식의 복수의 정보항목을 포함하는 메타태그로 기술된 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각 홈페이지에 포함시켜, 검색엔진이 메타태그를 검출해서 기술된 점포 및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그 정보들을 상품검색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상품검색시스템{SEARCH SYSTEM FOR GOODS}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전자상거래에 관해, 특히 온라인 쇼핑에 앞서 상품정보를 취득하기위해 상품검색을 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전형적인 전자상거래의 하나로, 인터넷상에 설치된 가상 점포에 있어서 일반 소비자가 상품을 구입하는 온라인 쇼핑이 있다. 가상 점포는, 전자 몰 또는 쇼핑·몰로 칭해지기도 하고, 점포사이트의 웹 페이지 소위 홈페이지의 형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각 상품의 컬러 화상과 그 상세 설명이 홈페이지 내에 표시되고, 게다가 주문을 받는 시스템도 같은 페이지 내에 부가되어 있다. 소비자는, 인터넷 접속된 자신의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점포사이트의 홈페이지를 보고 희망하는 상품을 찾아내면, 즉시 인터넷을 통해서 주문함에 따라, 실제 점포로 걸음을 옮기는 일 없이 그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희망하는 상품을 인터넷상에서 찾아내려고 하는 소비자는, 보다 많은 상품후보 중에서 품질이나 가격 등을 비교해서 최적의 것을 선택하기를 바라는 것이 당연하다. 종래, 소비자가 목적의 상품정보를 찾아내려고 할 경우, 검색엔진이라고 불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사이트를 이용해서, 상품의 검색 또는 그 상품을 판매하고있는 점포의 검색을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색사이트의 홈페이지의 검색서비스 화면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품명과 점포명 등의 키워드를 입력해서 검색실행하면, 검색엔진은 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몇 개 찾아내어 그 타이틀 일람 등을 결과로 표시한다. 이용자는, 결과표시 중에서 희망하는 상품과 관련한다고 생각되는 홈페이지를 찾아내면, 그 표시부분을 클릭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그 홈페이지로 바로 점프 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검색사이트는 몇 개나 알려져 있지만, 이들 검색사이트의 검색엔진은, 어느 것이나 인터넷상에 있는 무수한 홈페이지군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어, 그것에 의해 수집한 정보로부터 독자의 참조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검색엔진이 검색을 실행하는 경우, 실제로 인터넷상의 홈페이지 군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참조데이터베이스 내를 검색하는 것에 의해 신속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범용적인 검색사이트의 정보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은, 예를 들면, 각 홈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운로드해서, 그 안에 포함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정보로서 추출하여, 그것들을 독자의 장르체계에 의해 분류하는 것으로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있다. 홈페이지는 HTML언어에 의해 기술되지만, 당연히, 각 홈페이지는 통일적인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극히 다양하게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하게 기술된 홈페이지에서 산발적으로 추출된 정보도 또한 통일적인 형식으로는 얻을 수 없다. 게다가, 개개의 검색사이트는, 각각 정보수집방법,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구축방법 및 그 검색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에 의해, 같은 키워드를 입력해도 검색사이트별로 검색결과가 다르다고 하는 일이 종종 생긴다.
더욱이, 종래의 검색사이트의 대부분은, 쇼핑을 위한 상품검색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모든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한 범용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와인」이라는 일반적인 명칭을 키워드로 했을 경우, 상품으로서의 와인이외에, 산업, 교육, 오락, 역사 등의 여러 가지 카테고리에서 방대한 정보가 검색되게 된다. 이때문에 이용자는, 키워드입력 때에 검색대상을 쇼핑만으로 압축하는 것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많은 검색사이트는, 고도의 키워드설정기능과 검색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인 이용자는 그와 같은 고도의 기능을 다 이용할 수 없고, 기껏해야 2,3개의 키워드를 단순하게 입력해서 검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실제 점포에 있어서의 쇼핑은, 유사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점포의 각 상품을 비교검토 한 후에, 구입할 상품을 결정하는 일이 자주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인터넷상에서의 온라인 쇼핑에서도, 복수의 점포를 병렬로 두고 각각의 상품을 비교검토 하고싶다고 요망하는 것은 소비자로서 당연하다.
그러나, 종래의 검색서비스에서는, 특정의 한 점포만을 지정해서 그 상품 검색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복수의 점포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의 정보를 동일하게 펼쳐둔 상태에서 취득하는 것은 꽤 곤란하다. 게다가, 개별의 기업인 각 점포는, 독자의 상품분류와 상품명칭을 검색용 키워드로서 제시하고 있는 일도 많이 있고, 같은 키워드를 사용해도 점포가 다르면 같은 상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범용적인 검색사이트를 이용해서 쇼핑을 위한 상품정보를 빠짐없이 충분히 또한 쉽게 얻는 것은 곤란하고, 상당히 만족할 수 있는 검색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쇼핑을 위한 상품검색에 있어서, 복수 점포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 중에서 목적에 일치하는 물건을 효율적으로, 적확하게, 또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의 쇼핑용 상품 검색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A)는 대리점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한 화면 예를, (B)는 검색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한 화면 예를, (C)는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한 화면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점포 정보를 기술한 메타태그의 공통형식의 포맷 예를,
도 4는 상품정보를 기술한 메타태그의 공통형식의 포맷 예를,
도 5 는 본 시스템의 검색 엔진에 의한 상품정보 수집 및 상품 검색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 흐름도를,
도 6은 본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검색 프로세스의 흐름의 전반부를 나타낸 흐름도를,
도 7은 본 시스템을 사용한 상품검색 프로세스의 흐름의 후반부를 나타낸 흐름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부호의 설명 *
10 상품검색 시스템
12 인터넷
14a, 14b, 14c 퍼스널 컴퓨터
16 검색 사이트
17 검색결과표시
18a, 18b, 18c 점포사이트
20a, 20b, 20c 대리점 사이트
22 링크 버튼
62 장르 내외 변환 테이블
64 장르 구성 정의 테이블
66 가격대 정의 테이블
68 스페셜 이벤트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0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2 대상점포 그룹 관리 테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1) 인터넷상에 있어서 복수의 점포사이트가 판매하는 복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엔진에 의해 검색하는 상품검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복수의 점포사이트 각각이, 복수의 정보항목으로 이루어지는 공통형식의 메타태그를 각 홈페이지 내에 기술함으로써 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해당 각 홈페이지 내에 포함시키고,
상기검색엔진이, 상기복수의 점포사이트의 상기 각 홈페이지 내에 기술된 상기 메타태그를 검출하고 또한 해당 메타태그에 포함되는 상기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검색엔진은, 추출된 상기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복수의 정보항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필드를 설치한 상품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다.
(2) 상기(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복수의 정보항목의 하나로서 상품 장르항목을 포함하고, 상기검색엔진이, 해당 상품 장르 항목의 메타태그에 기술된 각 점포 사이트 고유의 상품 장르를 해당 검색 엔진이 규정하는 통일 상품 장르로 변환하는 변환 테이블을 포함하여, 해당 검색 엔진은, 해당 변환 테이블을 참조해서 해당 점포사이트 고유의 상품 장르를 해당 통일 상품 장르로 변환한 후에 상기상품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다.
(3) 상기(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복수의 정보항목의 하나로서 상품 가격항목을 포함시키고, 상기검색엔진이, 상품 가격의 범위와 가격대 코드를 대응시킨 가격대 정의 테이블을 소유하고, 또한 해당 검색 엔진은, 해당 가격대 정의 테이블을 참조해서 상품 가격에 대응하는 가격대 코드를 작성, 해당 가격대 코드를 정보항목의 하나로서 상기상품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한다.
(4) 상기(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검색사이트가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점포사이트로의 링크를 구비한다.
(5) 상기(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검색사이트로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해당 검색 사이트로의 링크를 구비하는 대리점 사이트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상에서의 쇼핑용품검색시스템 10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상품 검색 시스템 10에 의한 검색서비스의 이용자가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등 14a 및 14b, 본 시스템의 중핵인 상품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엔진을 보유하는 검색사이트16, 인터넷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사이트 18a, 18b 및 18c, 또, 검색서비스의 이용자를 검색사이트 16으로 안내하는 대리점 사이트 20a, 20b 및 20c가, 인터넷 12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어 있다.
통상, 검색 사이트 16은 하나의 검색 서버에 의해 보유되지만, 이용자, 점포사이트 및 대리점 사이트는 어느 것이든 다수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그들의 몇 개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이용자의 퍼스널 컴퓨터등 14a,14b는, 통상,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를 사이에 두고 인터넷 12로 접속되지만, 도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점포 사이트 18a, 18b, 및 18c는, 각각이 한 점포의 경우도 복수점포의 집합체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통상 각각의 고유의 서버에 의해 보유되지만, 소규모점포에서는 ISP의 서버를 이용해서 운용되는 것도 있다. 각각 독자의 홈페이지 상에서의 상품 소개 및 주문의 접수를 행하고 있다. 각 점포 사이트는, 자기의 상품을 본 상품 검색 시스템의 검색대상으로 하고 싶은 경우, 검색 사이트 16을 운영하는 기업과 참가 계약을 체결한 위에, 상품 검색의 실시에 필요한 소정의 포맷을 자기의 홈페이지 내에 짜 넣는 작업을 행한다. 소정의 포맷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대리점 사이트 20a, 20b 및 20c는, 여기에서는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검색 사이트 16을 운영하는 기업과 대리점 계약하고, 자기 홈페이지에서 검색사이트로 점프하는 링크 기능을 자기 홈페이지 상에 설치하고 있는 사이트를 의미한다. 대리점 사이트의 존재에 의해, 보다 많은 상품 검색의 이용자를 효율적으로 검색 사이트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A)는, 대리점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한 화면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검색사이트로의 링크 버턴 22가 설치되어져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품 검색하려고 하는 이용자는, 자기의 퍼스널 컴퓨터 14a등을 인터넷 12로 접속해서, 직접적으로(점선화살표 40) 또는 대리점 사이트를 사이에 두고 (점선 화살표30), 검색 사이트 16의 홈페이지로 억세스(access)한다. 검색 사이트 16의 홈페이지에는 검색서비스 화면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품 검색 프로세스의 예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검색 결과가 검색 사이트의 16의 홈페이지에 표시되었다면, 이용자는 그 표시 중에서 희망하는 상품 또는 그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를 선택, 해당하는 점포 사이트 18a등으로 점프한다. 도 2(B)는, 검색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한 화면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검색결과가 표시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점포명, 상품명, 가격, 상품화상, 상품에 관한 코멘트, 상품을 구입함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결제 방법 등이 일람표로 나타나 있다. 일람표의 각 난은, 각각의 점포사이트의 홈페이지로의 링크버튼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검색결과표시의 적정한 곳을 클릭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점포사이트로 점프할 수 있다.
도 2(C)는,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의 한 화면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로 점프한 후, 이용자는, 희망하는 상품의 화상을 보기도 하고 설명을 읽기도 하여 검토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중핵인 검색 사이트 16은, 각 점포 사이트 18a등의 홈페이지에 짜 넣어진 소정의 포맷으로 기술 된 정보를 추출함에 의해, 상품 및 점포의 정보를 수집, 그 정보들에 기인하여 상품 검색용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 상품 등의 정보의 수집은 정기적으로 행해져 (도 1의 점선 화살표 50), 데이터베이스는 차례로 갱신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각 점포 사이트로부터 상품 및 점포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에 짜 넣어진 소정의 포맷을 예시한 그림이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정보 수집용의 소정의 포맷은, 인터넷의 홈페이지를 기술하는 언어 HTML의 태그 기호의 하나인 메타태그(META tag)를 이용한 것이다. 메타태그는, 말하자면 숨은 태그이고 즉 메타태그를 이용해서 기술된 정보는 홈페이지 상에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즉, 메타태그로 기술된 정보를 포함시킨 홈페이지는, 외견상으로는 메타태그정보를 포함시키기 이전과 아무 변함 없다. 그러나, 그 홈페이지를 다운 로드해서 메타태그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 부가적 정보를 취득 할 수 있다.
검색 사이트 16의 검색 엔진은, 다수의 홈페이지를 차례차례로 보며 돌고, 각 홈페이지를 다운 로드하는 것에 의해 정보 수집하고, 그 중에서 메타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그들에 대해서 색인 붙이기나 분류 처리를 시행한 후에 검색 서버 내의 기억장소에 격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검색엔진에 의한 정보수집은 정기적으로 행해져, 예를 들면 매일 1회, 참가하고 있는 점포 사이트 전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점포 사이트 측도 필요에 따라서 자기 점포의 홈페이지의 메타태그정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를 검색사이트에 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데이터베이스는, 최신 데이터로 갱신되게 된다.
도 3은, 점포 정보를 기술한 메타태그에 의한 소정의 포맷의 한 예이다. 예를 들면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중의 표지 페이지의 메타태그로서 기술된다. 하나의 정보항목은, 하나의 메타태그에 의해 기술할 수 있다. 하나의 메타태그의 형식은, 항목 명(name)과 항목의 구체적 내용(content)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대로, 검색용에 유용한 점포정보의 항목으로서는, 점포 명, 점포코드, 서비스내용, 송료, 결제 방법 등이 있고, 도면에 나타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효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빠뜨릴 수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필수」로서 반드시 항목의 구체적 내용을 기술할 필요가 있지만, 임의 항목에 대해서는 구체적 내용을 공란으로 두어도 된다. 도 3에서는, 13항목으로 이루어진 점포 정보가 각각 메타태그를 사용해서 기술되게 된다. 이 소정의 포맷을 사용해서, 전체의 참가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 내에 점포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어느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로부터도 공통형식으로 검색용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개별의 상품 정보를 기술한 메타태그에 의한 소정의 포맷의 한 예이다. 예를 들면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중의 그 상품을 소개하고 있는 페이지의 메타태그로서 기술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상품명, 상품화상, 상품 장르명, 판매가격 등의 9항목으로 이루어진 상품 정보가 기술된다. 이 경우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필수 항목은 반드시 구체적 내용을 기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개별 상품에 대해서는 점포의 사정에 의해 검색대상으로 할지 어떨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메타태그도 설치되어져 있다. 이 소정의 포맷을 사용해서, 모든 점포의 전 상품에 대해서 각각의 홈페이지 내에 상품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모든 상품에 대해 공통형식으로 검색용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상품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는, HTML언어를 사용해서 다양하게 기술된 원래의 홈페이지 내에, 메타태그를 사용한 공통형식으로 기술된 검색용 정보를 부가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모든 점포 및 모든 상품에 대해서 정리된 형태로 동등하게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이, 종래의 검색 시스템이, 각각 전혀 다른 독자적 형식으로 기술된 홈페이지로부터 산발적인 검색용 정보를 취득하는 점과 완전히 다르다.
도 5는, 본 시스템의 검색엔진에 의한 상품정보 수집 및 상품 검색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한 상품 정보를 기술한 메타태그를 포함하는 홈페이지로부터 정보 수집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101에 있어서, 검색엔진은 그 정보수집 기능을 가지고, 소정의 홈페이지를 다운로드한다.
다음으로, 스텝102에 있어서, 다운로드한 정보 중에서 메타태그 정보를 검출, 그것에 기인해서 우선 「해당 상품이 검색대상인지 아닌지(도 4의 예의 최후의 항목)」를 확인한다. 해당상품이 검색대상인 (Y)라면, 스텝103에 있어서, 해당 상품의 장르명(도 4의 예의 제4 항목)을 읽어낸다. 알맞은 예의 하나에 있어서는, 각 점포는, 각 점포 독자의 상품분류에 따른 장르명을 메타태그의 장르명으로서 기술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 의한 검색 엔진은, 각 점포가 본 시스템에 참가할 때에, 그 점포 독자의 상품 분류에 따른 장르명과, 본 시스템의 상품 분류에 따른 통일 장르명과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규정한 변환 테이블을 미리 작성한다. 이것이 도 5에 나타낸 장르 내외 변환 테이블 62이다. 스텝103에 있어서 검색엔진은, 이 장르 내외 변환 테이블 62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메타태그 정보로부터 얻은 점포 독자의 장르명을 본 시스템의 통일 장르명으로 변환한다. 이것에 의해, 어느 점포에 있어서 어느 상품에 대해서도 통일 장르명을 부여 할 수 있고, 모든 상품을 공통의 체계에 따라서 적확하게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텝104에 있어서 검색엔진은, 스텝103에서 결정된 통일 장르명에 기인해서, 해당상품이 속해야하는 대분류 및 중분류 등을 설정한다. 검색 엔진의 통일 장르명은, 체계적인 계층구성 안에 위치 지어진다. 검색 엔진은, 이 통일 장르명의 계층구성을 정의한 장르구성 정의 테이블 64를 미리 준비하고 있다. 이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특정의 장르명의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를 설정할 수 있다. 통일 장르명을 계층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고속이고 또한 효율적인 검색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텝105에 있어서 검색 엔진은, 메타태그정보에서 상품가격을 읽어내어, 그것에 기인해서 해당 상품의 가격대 정보를 설정한다. 검색 엔진은, 소정의 가격 범위마다 몇 개의 가격대를 규정한 가격대 정의 테이블 66을 미리 준비하고 있다. 가격대 정의 테이블에 기인해서, 해당 상품의 가격이 어느 가격대에 적합할 것인 가에 의해, 그 상품의 가격대 정보 즉 가격대 코드를 설정한다. 표 1은, 가격대 정의 테이블의 한 예를 나타낸다. 각 가격대에 대해서 가격대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품 가격이 3500엔 이라면, 이 테이블을 참조해서 「가격대 코드=D」라고 하는 인덱스 데이터가 작성된다. 가격대 코드도 또한 해당 상품의 정보 항목의 하나가 된다. 가격대 코드를 인덱스로 하는 것에 의해,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격대의 구분은, 보다 큰 범위로도 보다 자세하게도 할 수 있다.
가격대코드 가격대
A 0~1,000 엔
B 1,001~2,000 엔
C 2,001~3,000 엔
D 3,001~4,000 엔
E 4,001 엔 이상
다음으로 스텝 106에 있어서 검색 엔진은, 메타태그 정보의 항목내의 스페셜이벤트에 관한 항목(도 4의 예의 밑에서부터 2번째의 항목)을 확인한다. 이 항목은 메타태그 정보의 필수 요소가 아니라 임의 요소이다. 예를 들면, 검색 엔진의 부가적 서비스로서, 검색 사이트의 홈페이지 내에 특집 페이지를 만들어, 각 점포가 특히 주력하고 싶은 상품만을 모아서 게재하는 등의 일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페이지의 게재를 희망하는 경우, 점포는 메타태그의 스페셜 이벤트 항목에 그 취지를 기술 해 둔다. 스텝106에 있어서 스페셜 이벤트 상품으로 해야 할 취지의 기술이 되어 있으면, 스텝107에 있어서, 스페셜 이벤트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68로 상품 데이터를 격납한다. 스텝 106에 있어서 스페셜이벤트 상품으로 해야 할 취지의 기술이 없으면, 스텝108에 있어서 상품 데이터를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0으로 상품 데이터를 격납한다. 역시, 스페셜이벤트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68로 격납한 상품에 대해서는,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0으로도 격납한다(스텝107에서 스텝 108로). 따라서,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0에는 모든 상품이 격납된다.
하나의 상품데이터에는, 도 4에 예시한 각 상품에 대해서의 메타태그 정보로부터 얻은 정보 항목과 함께, 그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점포에 대한 정보 즉 도 3에 예시한 점포에 대한 메타태그 정보로부터 얻어진 정보 항목도 포함된다.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이들의 각 정보 항목에 대해서 각각 필드가 할당되어져 있고, 그 필드 내에 각 항목의 내용이 데이터로서 격납된다. 즉 데이터베이스 내의 하나의 상품 데이터는, 복수의 필드로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흐름도는 한 예로,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스페셜 이벤트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68과 같은 부가적 서비스용의 데이터베이스를 임의로 작성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상품의 상품 데이터가 상품 인덱스 데이터 베이스70에 격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상품 검색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201에 의해, 검색 엔진에 대해서 검색 요구가 이루어진다. 실제로는, 이용자가 자기의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억세스 한 검색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 화면상에 적당한 키워드를 입력함에 의해 개시된다. 가장 일반적인 키워드는 「상품명」이다. 그 밖의 검색용 키워드로서는,「상품 장르」, 게다가 상품 장르 중의「대분류」,「중분류」또는「소분류」,「가격대」,「대상점포 그룹」,「대상점포 명」등이 일반적이다. 데이터베이스내의 상품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 항목 필드이면, 어느 것이나 검색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색사이트의 검색 서비스 화면은, 검색용 키워드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가장 알맞다. 예를 들면, 상품 장르나 그 안의 분류 혹은 가격대 등에 대해서는, 그들 전부를 표시, 이용자는 그 중의 어느 것을 클릭 조작으로 선택하는 것만으로 입력이 완료되게 된다.
소정의 검색용 키워드에 대해서는, 그 적용범위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알맞다. 예를 들면, 상품명과 같은 물품명칭을 검색용 키워드로서 적용할 경우에,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품 데이터의 「상품명」필드 만을 검색대상으로 하는지, 「상품 코멘트(예를 들면, 도 4의 제 6 항목에서 얻어진 것)」필드를 검색대상으로 하는지, 혹은 양 필드를 검색대상으로 하는 지를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것을 우선시킬 경우는 「상품명」필드에 덧붙여서 「상품 코멘트」필드를 검색대상으로 하여, 게다가 키워드나 HTML소스 상에 기재되어 있는 본문 텍스트도 동시에 검색대상으로 해도 좋다.
도 6의 흐름도 에서는, 이용자가 검색용 키워드의 적용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스텝202에 있어서, 어떤 키워드 적용범위가 지정되었나를 판단한다. 키워드 적용범위가 「상품명」만일 경우, 스텝203에 있어서,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0의 「상품명」필드에 대해서 검색요구하고, 입력된 검색용 키워드에 기인해서 「상품명」필드의 전문검색을 실행한다.
스텝 202에 있어서, 키워드 적용범위가 「상품명」필드와 그 이외의 1또는 복수의 필드일 경우, 스텝204에 있어서 상품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70 내의 모든 필드에 대해서 전문검색을 실행한다.
또한, 검색 엔진이 실행하는 검색처리는, 기존의 어느 검색 로직을 이용해도 실시 가능하다.
스텝 203 및 스텝 204에 의해, 해당하는 몇 개의 상품의 상품 데이터가 추출된다. 스텝 205에 있어서, 추출된 상품 데이터 중의 「상품 장르 대분류」필드에대해서 검색요구를 행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입력한 상품 장르의 대분류를 키워드로서 해당 필드의 검색을 실행한다.
대분류 필드의 검색에 의해 해당하는 상품 데이터가 추출되면 ,그들 상품 데이터에 대해 스텝206에 있어서 「상품 장르 중분류」필드의 검색요구를 행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입력한 상품 장르의 중분류를 키워드로서 해당 필드의 검색을 실행한다.
중분류 필드의 검색에 의해 해당하는 상품 데이터가 추출되면, 그들 상품 데이터에 대해, 도 7의 스텝207에 있어서 「상품 장르 소분류」필드의 검색요구를 행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입력한 상품 장르의 소분류를 키워드로서 해당 필드의 검색을 실행한다.
소분류 필드의 검색에 의해 해당하는 상품 데이터가 추출되면, 그들 상품데이터에 대해, 스텝 208에 의해 「가격대」필드의 검색요구를 행한다. 이용자는, 상품 가격의 상한, 하한, 범위 등을 키워드로서 입력함에 의해 해당 필드의 검색을 실행한다. 이 때 앞에 서술한 표 1에서 나타낸 가격대 코드를 인덱스로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용자로부터 「1,000엔∼4,000엔」이라고 하는 검색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표1의 가격대 B 또는 C 또는 D 라고 하는 조건으로 검색하는 것에 의해, 요구를 채울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품 가격을 가격대 코드에 의해 인덱스화 함에 의해, 이용자가 상품 가격의 상한, 하한, 범위를 자유로 조건 설정해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209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력한 점포 그룹명에 기인해서 대상 점포 그룹 관리 테이블 72를 참조함에 의해, 그 점포 그룹명에 포함되는 모든 점포 코드를 취득한다. 대상점포 그룹관리 테이블 72는, 점포 그룹과 그것에 포함되는 점포의 점포코드를 대응시켜 격납한 테이블이다. 그 후 스텝 210에 있어서, 「점포 코드」필드에 대해서 검색요구를 하고, 취득한 점포 코드를 키워드로서 해당 필드의 검색을 실행한다.
다시, 스텝 211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력한 점포 명에 기인해서 대상점포관리 테이블 74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그 점포의 점포 코드를 취득한다. 대상점포 관리 테이블 74는, 점포와 그 점포 코드를 대응시켜서 격납한 테이블이다. 그 후 스텝 212에 의해, 「점포코드」필드에 대해서 검색요구를 하고, 취득한 점포 코드를 키워드로서 해당 필드의 검색을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스텝 213에 있어서, 상기의 검색프로세스를 거쳐서 추출된 상품 데이터를 검색결과로서 검색사이트의 검색서비스화면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2(B)에 나타낸 대로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검색 프로세스는 한 예이고, 이용자가 키워드 입력을 생략한 항목이 있는 경우는, 그 항목에 대해서는 검색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 검색 결과에 대해서는, 하나의 상품만으로 압축되어질 경우, 복수의 상품이 얻어질 경우, 또 전혀 얻어지지 않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 후, 이용자는, 검색결과 표시를 보고 그 중에서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도 2(C)에 나타낸 것처럼 해당 상품의 홈페이지로 점프한다.
이상 서술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한 상품검색 시스템에 의하면, 본래 각 점포 사이트의 홈페이지 상에 각각 독자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각 상품의 정보를, 하나의 검색엔진에 의해 통괄 또한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시스템에서는, 각 점포사이트의 홈페이지 내에 점포정보 및 각 상품 정보를 공통형식의 메타태그를 이용해서 기술시키는 것에 의해 검색용 정보를 포함시켜, 검색엔진이 이들 메타태그에 의한 검색용 정보를 수집한다. 게다가, 검색엔진은, 수집한 메타태그 정보에서 얻은 점포정보 및 상품정보를 하나의 상품검색 데이터 베이스 내에 격납한다. 이 때, 각 점포마다 다른 상품 장르 체계를 통일 장르 체계로 변환해서 격납한다. 이렇게 해서 통일적으로 정리된 형태로 구축된 상품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에 따라, 본 발명의 상품검색 시스템은, 복수 점포가 보유하는 다양한 상품을 효율적으로 또한 빠짐없이 적확하게 검색할 수 있다.  
점포 사이트가 홈페이지 내에 새로운 상품을 추가하는 경우도, 신상품에 대한 소정의 메타태그 정보를 기술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그 신상품이 상품검색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또, 기존 상품의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도 메타태그 정보를 고쳐 쓰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상품 검색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도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상품 검색 시스템은, 최신 정보의 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 대해서 항상 정확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시스템은, 온라인 쇼핑을 목적으로 한 상품검색전용 시스템이므로, 검색서비스의 화면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도 「상품명」,「상품 장르」, 혹은「가격대」라고 하는 쇼핑에 불가결한 항목을 입력함에 의해, 이용자는, 극히 높은 확률로 희망하는 검색결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인터넷상에 있어서의 복수 점포사이트가 판매하는 복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엔진에 의해 검색하는 상품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포사이트의 각각이, 복수의 정보항목으로 이루어지는 공통형식의 메타태그를 각 홈페이지 내에 기술하는 것에 의해 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해당하는 각 홈페이지 내에 포함시키고,
    상기 검색엔진이, 상기 복수 점포사이트의 상기 각 홈페이지 내에 기술된 상기 메타태그를 검출하고, 또한 해당 메타태그에 포함되는 상기 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검색엔진은, 추출된 상기 점포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정보 항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필드를 설치한 상품 검색 데이터베이스로 격납(格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검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항목의 하나로서 상품장르항목을 포함, 상기 검색엔진이, 해당 상품장르항목의 메타태그에 기술된 각 점포사이트 고유의 상품장르를 해당 검색 엔진이 규정하는 통일 상품 장르로 변환하는 변환 테이블을 소유하고, 또한 해당 검색 엔진은, 해당 변환테이블을 참조해서 해당 점포 사이트 고유의 상품 장르를 해당 통일 상품 장르로 변환 한 후에 상기 상품검색 데이터베이스로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검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항목의 하나로서 상품가격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엔진이, 상품가격의 범위와 가격대 코드를 대응시킨 가격대 정의 테이블을 포함하며, 해당 검색 엔진은 해당 가격대 정의 테이블을 참조해서 상품 가격에 대응하는 가격대 코드를 작성하여, 해당 가격대 코드를 정보항목의 하나로서 상기 상품검색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검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이트가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점포사이트로의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검색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사이트로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해당 검색 사이트로의 링크를 구비하는 대리점 사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검색 시스템.
KR1020000038704A 2000-07-06 2000-07-06 상품검색시스템 KR10073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704A KR100736903B1 (ko) 2000-07-06 2000-07-06 상품검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704A KR100736903B1 (ko) 2000-07-06 2000-07-06 상품검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635A true KR20020004635A (ko) 2002-01-16
KR100736903B1 KR100736903B1 (ko) 2007-07-10

Family

ID=3746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04A KR100736903B1 (ko) 2000-07-06 2000-07-06 상품검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250B1 (ko) * 2002-09-04 2005-05-25 차상영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101413436B1 (ko) * 2007-11-16 2014-07-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274A (ja) * 1996-02-26 1997-09-05 Fujitsu Ltd 検索サーバーシステム
JPH1063725A (ja) * 1996-08-19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買物支援装置
KR100289065B1 (ko) * 1997-10-14 2001-05-02 정선종 전자상거래상품정보검색용자연언어질의어처리방법
KR100427773B1 (ko) * 1999-08-05 2004-04-30 신종관 1회의 회원정보 입력으로 복수의 쇼핑몰 쇼핑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00037383A (ko) * 2000-04-21 2000-07-05 이충녕 인터넷 쇼핑몰(전자상거래) 가격,정보통합 검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250B1 (ko) * 2002-09-04 2005-05-25 차상영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101413436B1 (ko) * 2007-11-16 2014-07-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903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305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2041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ery recommendations based on search activity of a user base
US8046681B2 (en) Techniques for inducing high quality structural templates for electronic documents
US6381597B1 (en) Electronic shopping agent which is capable of operating with vendor sites which have disparate formats
US8707167B2 (en) High precision data extraction
US8407104B2 (en) Catalog based price search
JP4637969B1 (ja) ウェブページの主意,およびユーザの嗜好を適切に把握して,最善の情報をリアルタイムに推奨する方法
US20090125529A1 (en) Extracting information based on documen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ttributes
US20070078850A1 (en) Commerical web data extraction system
JPH10198706A (ja) 情報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3054755A (ja) 情報のシンボルによるリンクとインテリジェントな分類を行う方法及びシステム
US9330071B1 (en) Tag merging
US6553359B1 (en) Data mining for association rules and sequential patterns within data of inhomogeneous type
US84637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search results
CN101088082A (zh) 全文查询和搜索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1154739A (ja) 文書探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90055963A (ko)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Beheshti-Kashi et al. Trendfashion-a framework for the identification of fashion trends
WO2001027712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tructuring content from universal marked-up documents
JP2001229171A (ja) 商品検索システム
KR100736903B1 (ko) 상품검색시스템
JP6960553B2 (ja) ブランド辞書作成装置、商品等評価装置、ブランド辞書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12430B1 (ko) 인터넷 쇼핑몰 상품정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85087B2 (ja) 生活情報支援システム
Kong et al. An Internet‐based electronic product catalogue of construction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23

Effective date: 200802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