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542A -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542A
KR20020004542A KR1020000038549A KR20000038549A KR20020004542A KR 20020004542 A KR20020004542 A KR 20020004542A KR 1020000038549 A KR1020000038549 A KR 1020000038549A KR 20000038549 A KR20000038549 A KR 20000038549A KR 20020004542 A KR20020004542 A KR 2002000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ion
information
fashion
consumer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광호
Original Assignee
엄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광호 filed Critical 엄광호
Priority to KR102000003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542A/ko
Publication of KR2002000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5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패션 코디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패션업체(24)가 상품정보를 코디업체(20)에 제공하는 단계(S100); 상기 코디업체(20)는 상기 상품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110); 상기 상품정보를 조합하여 코디를 창출하는 단계(S120); 상기 창출된 코디를 특정 소비자(22)의 개인 신상정보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S130); 상기 변화된 코디를 상기 소비자(22)에게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S140); 상기 소비자(22)가 상기 전송된 코디에 관한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소비자(22)가 상기 전송된 코디의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코디의 상품정보를 상기 소비자(22)에게 전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전문 코디네이터가 만든 코디 제안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접할 수 있고, 패션업체는 각 사의 제품을 가장 빠른 방법으로 수많은 고객들에게 선보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 Fashion Coordination Information Using Internet}
본 발명의 패션정보를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패션회사의 제품을 전문 코디회사가 조합하여 소비자 각각의 취향에 맞도록 코디한 뒤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의류등 패션제품에 관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션업체(14)는 자신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전자 상거래 또는 패션 포탈 사이트를 운영하는 홈페이지 운영업체(10)에 제공하였다. 그리고, 소비자(12)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찾아낸 뒤, 선택된 상품이 마음에 들면 구매신청을 하고, 신용카드등으로 대금을 결재하였다. 결재된 대금은 온라인을 통해 패션업체(14)에 전달되고, 패션업체(14)는 해당 상품을 소비자(12)에게 배송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상품의 배송은 홈페이지 운영업체(10)가 운영하는 택배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경우, 전자제품이나 생활용품등은 별다른 불편없이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의류, 장식구 등과 같은 패션제품은 개개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몸에 걸쳤을 때 전체적인 조화가 더욱 중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실물이 아닌 사이버 공간에서 이와 같은 패션제품을 구입하고자 할 경우 단순한 제품 사진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종래의 전자 상거래는 소비자의 취향이나 신체 사이즈 또는 특성 등을 무시한 채 일방적인 패션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는 패션제품이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자신의 취향에 맞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제품 구입을 망설이거나 제품의 구입 후 제품에 만족하지 못해 반품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또한 전자상거래 운영업체의 입장에서는 제품을 보관하고 배송하는 등의 공간과 인건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아지고, 관리의 부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의류, 장식구, 핸드백 등과 같은 패션제품 및 헤어스타일, 메이크 업(Make-Up) 등에 관하여 전문 코디네이터가 이를 종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전문 코디네이터가 코디한 패션을 소비자의 취향이나 사이즈 또는 특성등에 맞게 변형하여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전문 코디네이션 업체가 패션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와 패션업체 사이에 직접 상거래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문 코디업체는 인터넷 서비스와 코디네이션에 집중할 수 있고, 재고나 배송등의 부담이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패션업체가 상품정보를 코디업체에 제공하는 단계(S100); 상기 코디업체는 상기 상품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단계(S110); 상기 상품정보를 조합하여 코디를 창출하는 단계(S120); 상기 창출된 코디를 특정 소비자의 개인정보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S130); 상기 변화된 코디를 상기 소비자에게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S140); 상기 소비자가 상기 전송된 코디의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소비자가 상기 전송된 코디의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코디의 상품정보를 상기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품정보는 제조회사의 명칭, 상품코드, 성별, 원단, 종류 및 다수의 영상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비자의 개인정보는, 생년월일, 신장, 체중, 가슴둘레 사이즈, 허리 사이즈, 힙 사이즈, 피부색, 선호하는 컬러, 취향, 용도, 선호하는 상표명, 개략적인 신체유형의 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창출된 코디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창출된 코디를 상기 소비자의 신장, 가슴둘레 사이즈, 허리 사이즈, 힙 사이즈, 및 선택된 신체유형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인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송 및 표시단계(S140)는 상기 코디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을 스크롤 바아의 위치에 따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송 및 표시단계(S140)는 상기 코디를 복수개 전송하여 나열하고, 나열된 복수개의 코디중 선택된 코디를 나열된 코디보다 큰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이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특정 아이템만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의류등 패션제품에 관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을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3은 도 2에 설명된 상품정보중 헤더화일의 일부를 도시한 데이터 구성도,
도 4는 도 2에 설명된 소비자가 본인의 개인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개략적인 윈도우 구성도,
도 5는 도 2에 설명된 코디정보에 관한 개략적인 윈도우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특정 코디를 선택한 경우 상세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개략적인 윈도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을 실시예의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원발명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용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에서 패션제품이란 협의로는 의류(치마, 티셔츠 등), 신발, 핸드백, 악세사리(목거리, 귀거리, 스카프 등), 시계, 모자 등 신체에 걸치는 제품을 의미하며, 광의로는 화장품, 향수 등 멋을 내기 위한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코디란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의 약자로써, 상기와 같은 다수의 패션제품을 조합하여 전체적으로 균형감 또는 통일감 있는 외형을 표출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단순히 코디라 함은 몇가지 패션제품을 조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코디네이터란 패션제품을 조합하여 새로운 분위기나 미(美)를 창출하는 사람 또는 그러한 조언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을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션업체(24)는 특정 품목의 패션제품을 전문적으로 디자인 하고 양산하는 업체를 말한다. 이러한 패션업체(24)는 자사의 상품을 코드화(추후 설명)하고, 영상자료를 제작하여 전문 코디업체(20)에 제공한다
전문 코디업체(20)는 다수의 코디네이터가 모인 전문가 집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 사이트를 운영한다. 즉, 다수의 패션업체(24)로부터 구두, 의류, 악세서리 등 모든 상품정보를 취합한 뒤, 이를 전문 코이네이터로 하여금 조합하게 한다. 조합된 코디정보를 회원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22)들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한다.
소비자(22)는 홈페이지로부터 얻은 코디정보가 마음에 들어 구매의사가 생긴 경우, 사이트로부터 상세한 정보를 입수하여 해당 패션업체(24)와 직접 접촉하여 상품을 구매한다.
도 3은 도 2에 설명된 상품정보중 헤더화일의 일부를 도시한 데이터 구성도이다. 우선 패션업체(14)는 자사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도 3에 도시된 헤더화일의 형식으로 작성한다. 즉, "1"에는 자사의 회사명(31)을 기재하고, "2"에는 관리를 위해 상품의 일련번호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코드를 기재한다. "3"에는 해당 패션제품이 남성용인지, 여성용인지, 유니섹스용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4"에는 패션제품의 원단이나 소재 등을 "실크", "가죽", "폴리에스터" 등과 같이 기재한다. "5"에는 해당 패션제품의 일반적인 명칭(예를 들어, 치마, 브라우스, 구두, 귀걸이 등)을 기재한다. "6"에는 패션제품이 계절상품인 경우 해당 계절을 기재한다. "6", "7"에는 해당 패션제품의 영상자류가 덧붙여진다. 즉, 패션제품의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 등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Bitmap, JPG, TiFF 화일로 변환한 뒤 헤더화일에 첨부하여 함께 전송한다.
이러한 헤더화일의 형식은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제품의 가격)를 헤더화일에 포함시키는 등의 변형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설명된 소비자(22)가 본인의 개인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개략적인 윈도우 화면(50)의 구성도이다. 우선, 소비자(22)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도우 화면(50)을 모니터(미도시)에 띄운다. 그리고, 자신의 생년월일(51), 성별(53), 성명(55), 신장(57), 체중(59), 가슴둘레(60), 허리 사이즈(61), 힙 사이즈(63), 피부색(64), 용도(52), 선호하는 컬러(65), 취향(68), 선호하는 상표명(56)을 입력하고, 개략적인 신체유형(58)을 선택한다.
피부색(64)에는 자신의 피부색이 예를 들어 "갈색", "짙은 갈색", "흰색" 들중 해당되는 색깔을 입력한다.
용도(10)에는 소비자가 필요한 코디의 용도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외출복", "정장", "파티복", "미팅복", "결혼식 초대" 등이 될 수 있다.
선호하는 컬러(65)에는 "찾아보기(67)" 버튼을 눌러 컬러 팔레트(미도시)를 표시한 뒤 적당한 컬러를 마우스(미도시)로 클릭하면, 해당 컬러가 컬러 표시창 (66)에 그대로 표시된다. 취향(68)에는 소비자 본인이 평소 선호하는 취향을 입력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화려", "심플", "캐쥬얼", "원색", "파스텔 톤" 등이 있다.
선호 브랜드(56)에는 소비자가 특별히 선호하는 패션제품의 상표명을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상표명은 코디네이터가 코디를 제안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신체유형(58)은 체중(59), 가슴둘레(60) 등의 자료외에 자신의 개략적인 체형(신체의 아웃 라인)을 나열된 5개의 예시 가운데서 마우스로 클릭하여 선택한다.
도 5는 도 2에 설명된 코디정보에 관한 개략적인 윈도우 구성도(70)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70)의 좌측에는 6개의 코디예(71)가 작은 화면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러한 코디(71)는 전문 코디업체(20)에 속한 코디네이터들에 의해 소비자(22)의 취향등을 감안하여 전문적으로 선별되어진 것이다.
소비자(22)가 그 중 하나를 지정할 경우 지정된 코디(73)가 화면 우측에 선택된 코디(75)로서 보다 큰게 표시된다. 선택된 코디(75)의 하단에는 스크롤 바아(74)가 마련되어 있어서, 소비자(22)가 마우스(미도시)를 이용하여 좌우로 드래그할 경우, 선택된 코디(75)가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3차원의 영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소비자(22)자는 사무실이나 집에서 편리하게 코디된 패션제품의 3차원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된다.
화면의 하단에는 3개의 버튼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보기(77)" 버튼은 제시된 코디(71)가 6개 이상인 경우, 그 다음을 보기 위한 것이고, "상세정보(78)"는 선택된 코디(75)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필요로 하거나 구매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취소(79)" 버튼은 화면을 닫고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갈 때 사용된다.
도 6은 도 5에서 특정 코디를 선택한 경우 상세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개략적인 윈도우 화면(80)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상세정보(78)"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코디(75)에 관한 상세정보가 도 6의 윈도우 화면(80)으로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코디(75)가 한번 더 화면(80)의 좌측에 표시되고, 우측에는 선택된 코디(75)를 구성하는 각 패션 구성상품에 관한 정보(81, 83)가 지시선과 함께나열된다.
각 패션 구성상품에 관한 정보(81, 83)로는 제조회사명(31), 관리번호(33) 등 도 3에 표시된 헤더화일의 내용 일부가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션업체(24)는 자사의 상품을 도 3과 같이 코드화하고, 영상자료를 제작하여 전문 코디업체(20)에 제공한다(S100).
전문 코디업체(20)는 다수의 패션업체(24)로부터 구두, 의류, 악세서리 등 모든 상품정보를 취합한 뒤, 이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S110). 그 다음, 저장된 자료를 기초로 전문 코이네이터로 하여금 조합하여 새로운 코디를 창출하게 한다(S120). 이렇게 만들어진 코디는 각 소비자(22)의 체형, 취향 및 용도 등에 맞게 그래픽적으로 변환된다(S130). 즉, 몸매 사이즈에 맞게 외형을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코디정보는 회원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22)들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된다.(S140).
소비자(22)가 홈페이지로부터 얻은 코디정보가 마음에 들어 상세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S150), 홈페이지는 소비자(22)에게 패션업체와 상품코드등 상세한 정보를 전송한다(S160). 이러한 정보를 입수한 소비자(22)는 해당 패션업체(24)와 직접 접촉하여 상품을 구매한다(S170).
만약 코디네이터에 의하여 제공된 코디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코디업체 (20)는 계속해서 새로운 코디를 창출하여 소비자(22)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코디 제공은 매일 또는 매주마다 전자메일을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가 자신의 얼굴등을 사이트에 업 로드한 경우 코디에 이러한 얼굴 사진을 조합하여 원도우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자신의 모습을 3차원으로 볼 수 있어 더욱 현실감이 있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코디정보 제공방법에 따르면, 의류, 장식구, 핸드백 등과 같은 패션제품에 관하여 전문 코디네이터가 이를 조합하여 소비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서 편리하게 패션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패션정보는 전문 코디네이터에 의해 코디되고, 각 소비자의 신체 특성이나 취향 등을 최대한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고, 구매 의사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패션업체는 자사의 신제품 등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고 저렴하게 광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므로 유통단계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전문 코디업체는 패션정보를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므로, 물류, 배송, 재고, 입출하 등에 관리부담이 없고, 코디네이션에 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패션업체(24)가 상품정보를 코디업체(20)에 제공하는 단계(S100);
    상기 코디업체(20)는 상기 상품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10);
    상기 상품정보를 조합하여 코디를 창출하는 단계(S120);
    상기 창출된 코디를 특정 소비자(22)의 개인정보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 (S130);
    상기 변화된 코디를 상기 소비자(22)에게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S140);
    상기 소비자(22)가 상기 전송된 코디의 상세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소비자(22)가 상기 전송된 코디의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코디의 상품정보를 상기 소비자(22)에게 전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는 제조회사의 명칭(31), 상품코드(33), 성별(35), 원단(37), 종류(39) 및 다수의 영상정보(41, 4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22)의 개인정보는, 생년월일(51), 신장(57), 체중(59), 가슴둘레 사이즈(60), 허리 사이즈(61), 힙 사이즈(63), 패부색(64), 용도(52), 선호하는 컬러(65), 취향(68), 선호하는 상표명(56), 신체유형(58)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출된 코디를 변환하는 단계(S130)는, 상기 창출된 코디를 상기 소비자(22)의 신장(57), 가슴둘레 사이즈(60), 허리 사이즈(61), 힙 사이즈(63) 및 선택된 신체유형(58)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및 표시단계(S140)는 상기 코디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3차원 영상을 스크롤 바아(74)의 위치에 따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및 표시단계(S140)는 상기 코디를 복수개 전송하여 나열하고, 나열된 복수개의 코디(71)중 선택된 코디를 나열된 코디보다 큰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KR1020000038549A 2000-07-06 2000-07-06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KR20020004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549A KR20020004542A (ko) 2000-07-06 2000-07-06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549A KR20020004542A (ko) 2000-07-06 2000-07-06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542A true KR20020004542A (ko) 2002-01-16

Family

ID=1967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549A KR20020004542A (ko) 2000-07-06 2000-07-06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27A (ko) 2018-11-26 2020-06-03 송낙문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과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 운용방법
US10922376B2 (en) 2018-11-26 2021-02-16 Nag Mun Song Perfume package accessory desig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erfume package accessory desig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27A (ko) 2018-11-26 2020-06-03 송낙문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과 향수팩 액세서리 디자인 시스템 운용방법
US10922376B2 (en) 2018-11-26 2021-02-16 Nag Mun Song Perfume package accessory desig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perfume package accessory desig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839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sharing an image of a virtual try-on scene
US11615454B2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presenting dynamic content for articles of clothing
JP4447047B2 (ja) ファッションショッピ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ファッションショッピ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279289A1 (en)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for Virtual Dressing Room Visualization
US20100023426A1 (en) Distributed matching system for comparing garment information and buyer information embedded in object metadata at distributed computing locations
KR102223444B1 (ko) 개인 의류 코디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20030064834A (ko) 어패럴 제품의 판매지원방법 및 장치 및 시착실
WO2002017160A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commendation for a selection of a piece of clothing
EP2069977A1 (en) Computer system for rule-based clothing matching and filtering considering fit rules and fashion rules
CN111681070A (zh) 线上商品的购买方法、购买装置、存储装置及购买设备
KR20090095532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종합 코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H10293529A (ja) パーソナル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
US20020077922A1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ass customization of products
JP2003108593A (ja) 絞込検索装置
KR100934475B1 (ko) 가상 의류 착용 방법
KR20080041079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신을 꾸미는 방법, 코디미
JP2002183542A (ja) 仮想試着システム、仮想試着方法、仮想試着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916095B2 (ja) サーバ及び商品提供システム
KR20020004542A (ko)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 코디정보 제공방법
KR20090003507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스타일 코디 상품 추천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2123753A (ja) 衣類選択支援システム及び衣類選択支援方法
KR20050114020A (ko) 가상착용서비스를 이용한 의류관련 상품 판매시스템 및 방법
WO2024043088A1 (ja) 仮想試着システム、仮想試着方法及び記録媒体
CN111652988A (zh) 一种智能试衣系统
KR20190000329A (ko) 온라인 의류쇼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