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040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 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 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040A
KR20020003040A KR1020000037429A KR20000037429A KR20020003040A KR 20020003040 A KR20020003040 A KR 20020003040A KR 1020000037429 A KR1020000037429 A KR 1020000037429A KR 20000037429 A KR20000037429 A KR 20000037429A KR 20020003040 A KR20020003040 A KR 2002000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terminal
user
im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489B1 (ko
Inventor
정기오
이운락
오상호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2000003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4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IMT-2000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지역분산형 생활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환경하에서 생활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에,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제 2 단계;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는 제 4 단계;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IMT-2000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ivehood information ordered service based on base station using GI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현재 사용중인 무선가입자망(WLL), 광대역무선가입자망(B-WLL), 주파수공용통신망(TRS), 이동전화망(Cellullar), 개인휴대통신망(PCS), 지능형교통망(ITS), 외국에서 사용중인 타 이동전화망, 현재 유럽방식과 북미방식으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IMT-2000 단말기 사용자에게 IMT-2000 무선 정보통신시스템의 전체 기지국(BS : Base Station)을 통하여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저장된 위치정보만을 가지고 단순히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는 별도의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비용을 낭비하고 있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구축된 시설물 관련 생활정보를 쉽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또는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GIS의 시설물검색에 의한 결과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에 제공하는 어떠한 방법이라도 알려진 것은 없다.
한편, 종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의한 위치정보서비스는 통신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고, 또한 IMT-2000 단말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하지도 않았고, 또한 IMT-2000 단말기 사용자 개인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치정보서비스의 효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IMT-2000의 서비스 개념은 "Voice Free & Always On"으로 음성통신료 대신에 새로운 수입원을 찾아야 하는데, 이는 위치정보서비스가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서비스를 단순히 위치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부가적인 서비스를 가미한 다른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은 위치정보에 생활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국 일일생활권과 개인화 사회인 21세기는 IMT-2000 무선 정보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한 지역분산형 생활정보서비스, IMT-2000 단말기 사용자의 현 위치와 개인의 특성에 따른 새로운 생활정보서비스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IMT-2000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지역분산형 생활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한 기지국(BS), 제어국(BSC) 단위별 생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생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가 연동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국(MS) 12 : 기지국(BS)
13 : 제어국(BSC) 14 : 교환국(MSC)
15 : IMT-2000 데이터 센터
20 :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환경하에서 생활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가입자 검색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맞춤정보 추출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으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망 정합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기 위한 지리정보 공간검색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지리정보 공간검색수단의 지리정보 공간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통신망 정합수단으로 전달하는 생활정보 검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환경하에서 생활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에,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제 2 단계;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는 제 4 단계;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에,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1 기능;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제2 기능;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제3 기능;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는 제4 기능;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제5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는 제6 기능; 상기 제6 기능의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7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IMT-2000망의 기지국(BS) 단위를 기반으로 전자지도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전자지도(GIS) 시설물 검색결과로 사용자의 맞춤정보에 의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다수의 IMT-2000 단말기가 각각 다른 기지국(BS)에 의하여 사용될 때 기지국별로 다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IMT-2000 단말기를 통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IMT-2000 단말기로부터 특정 시설물에 관한 생활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IMT-2000 단말기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시설물들중 IMT-2000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으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또는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들을 검색하여, 그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IMT-2000망의 기지국(BS)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전자지도(GIS)의 시설물검색 결과로 사용자의 맞춤정보에 의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에 제공한다.
여기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로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지역분산형 생활정보서비스 또는 IMT-2000 단말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한 기지국 단위의 기지국(BS)형, 제어국 단위의 제어국(BSC)형 생활정보서비스 또는 IMT-2000 단말기 사용자 개인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등의 생활정보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IMT-2000 단말기 사용자에게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로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는 IMT-2000망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IMT-2000 단말기로부터 특정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받고, 검색한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주체로서, IMT-200 단말기로부터 특정 시설물에 관한 생활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이 신호는 IMT-2000망을 통해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로 전해지고, 이때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는 IMT-2000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시설물들중에서 IMT-2000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시설물을 전자지도(GIS)를 통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는 검색된 특정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IMT-2000망을 통하여 IMT-2000 단말기로 전송해 주며, 사용자는 IMT-2000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알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IMT-2000 단말기의 성능이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내용에 따라 전자지도(GIS) 기반으로 시설물 등을 표시하여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생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MT-2000 단말기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주변에 있는 또는 IMT-2000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학교, 은행 등) 등에 관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므로 IMT-2000 단말기의 편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IMT-2000 단말기의 실생활에서 효용성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서 기지국을 기반하는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업범위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이동국(MS : Mobile Station), "12"는 기지국(BS : Base Station), "13"은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 "14"는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그리고 "15"는 IMT-2000 데이터 센터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시스템은, IMT-2000망과 인터넷 등과 같은 정보통신망이 연동된 유무선 통신시스템에서 IMT-2000 단말기(11)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라 함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지역분산형 생활정보서비스 또는 IMT-2000 단말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한 기지국 단위의 기지국(BS)형, 제어국 단위의 제어국(BSC)형 생활정보서비스 또는 IMT-2000 단말기 사용자 개인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등의 생활정보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동국(MS)(11)은 임의의 기지국(12)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국(11)의 정보는 기지국(12)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국(13)을 거쳐 교환국(14)에 전송되며, 교환국(14)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12) 및 제어국(13)을 거쳐 이동국(11)으로 전송된다.
이동국(MS)(11)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특히 IMT-2000 단말기이다.
이동국(11)에서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처리를 위한 기지국(12) 및 제어국(13)을 통해 교환국(14)으로 접속된다.
기지국(BS)(12)은 이동국(11)과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제어국(13)과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국(BSC)(13)은 기지국(12)을 교환국(14)에 접속시켜 기지국(12)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12)과 교환국(14)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국(MSC)(14)은 제어국(13)과 접속하여 이동국(11)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IMT-2000 데이터 센터(15)는 IMT-2000망의 기지국(BS)(12) 단위를 기반으로 전자지도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하는 시설물 검색방법에 의한 위치종속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11)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IMT-2000 데이터 센터(15)내에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전자지도 관리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서버, 시스템 관리 서버를 구비한다.
특히, IMT-2000 데이터 센터(15)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도 2의 20)를 통해 다수의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각각 다른 기지국(12)에 의하여 사용될 때 기지국(12)별로 다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11)에 제공한다. 그리고, IMT-2000 단말기(11)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해 있는 학교, 은행, 병원, 관공서 등 특정 시설물들의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관련 시설물의 위치(주소)나 연락처(전화번호) 등과 같은 생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IMT-2000망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단에는 교환국(14)이 위치하여 교환국(14) 하단에 연결된 모든 제어국(13)을 제어하고 있다. 이 제어국(13) 하단에는 IMT-2000 단말기(11)와 통신하는 기지국(12)이 위치하고, 제어국(13)이 기지국(12)을 제어한다.
IMT-2000 데이터 센터(15)는 생활정보의 속성 및 서비스 범위를 결정하여 저장한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의 21)를 소유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도 2의 20)와 IMT-2000망을 통하여 기지국(12) 단계까지 생활정보를 송출하여 기지국(12) 하단에 위치한 IMT-2000 단말기(11)의 화면에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에 의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IMT-2000 단말기(11)와, IMT-2000 단말기(11)와 IMT-2000망과의 무선통신을 연결시키는 기지국(12)과, 기지국(12)과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도 2의 20)를 연결하는 IMT-2000망과,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생활정보를 송수신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 구성된다.
한편, 유선에 의한 생활정보는 인터넷에 접속된 PC 단말기와, PC 단말기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도 2의 20)를 연결하는 인터넷과, PC 단말기로부터 생활정보를 송수신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도 2의 20)로 구성되고, 인터넷과 IMT-2000망의 연결은 두 네트워크 중간에 무선 데이터(WAP)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정보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IMT-2000망은 IMT-2000 단말기(11)와 IMT-2000망을 연결하는 기지국(12)과, 여러 개의 기지국(12)을 제어하는 제어국(13)과, 몇 개의 제어국(13)을 관장하는 교환국(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무선통신망과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은 PC 단말기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일반 회선망(PSTN, PSDN,ISDN)과 인터넷에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도 2의 20)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모듈(38)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가입자 검색모듈(31)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모듈(33)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특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맞춤정보 관리모듈(35)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추출된 맞춤정보의 특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하고, IMT-2000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으며,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로 제공하는 IMT-2000 인터페이스 모듈(37)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IMT-2000 단말기(11)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검색모듈(32)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기 위한 지리정보(GIS) 데이터 처리모듈(34)과, 중앙제어모듈(38)의 제어하에, 지리정보(GIS) 데이터 처리모듈(34)의 지리정보 공간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생활정보를 IMT-2000 인터페이스 모듈(37)로 전달하는 생활정보 검색모듈(36)을 포함한다.
생활정보 검색모듈(36)은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등)(21)를 활용하여 위치정보 이외의 부가적인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광고비용을 광고주로 받고 관련 시설물을 플래쉬 처리하거나 뉴마크를 하여 IMT-2000 인터페이스 모듈(37)을 통해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이는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눈에 띄게 처리하고자 함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IMT-2000 단말기(11)의 사용자에게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IMT-2000망과 접속하여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특정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받고, 검색한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한편, 어떤 특정 시설물(주유소, 시청 등)에 관련된 생활정보를 얻고자 하는 IMT-2000 단말기(11)의 사용자는 어떤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찾고자 하는지, 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도 있지만, 음성인식 등에 의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현재 자신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주유소를 찾고자 한다면, 주유소를 찾고자 한다는 것을 IMT-2000 단말기(11)에 입력한다. 이때,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입력하지 않고,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IMT-2000 단말기(11)로 제공한다.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주체로서,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특정 시설물에 관한 생활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이 신호는 IMT-2000망을 통해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 전해지고,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시설물들중에서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시설물을 전자지도(GIS)를 통하여 추출한다.
이때,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기지국(12)내에서 또는 전자지도(GIS) 공간검색을 통하여 가장 가까운 거리의 시설물을 찾도록 한다. 즉,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주유소 생활정보를 요구한 경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유소를 검색할 것이다.
그리고,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검색된 특정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IMT-2000망을 통하여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해 주며, 사용자는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알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IMT-2000 단말기(11)의 성능이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의 서비스 내용에 따라 전자지도(GIS) 기반으로 시설물 등을 표시하여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생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같은 단순히 위치정보만 제공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해 있는 관공서, 학교, 은행, 병원 등 특정 시설물의 생활정보를 제공하여,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특정 시설물에 관한 생활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받으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시설물들중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기지국(12)으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또는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들을 검색하여, 그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IMT-2000망의 기지국(12)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전자지도(GIS)의 시설물검색 결과로 사용자의 맞춤정보에 의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11)에 제공한다.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시설물분류 항목이 많은 관계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개인에게 적합한 또는 개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물분류 항목을 미리 선택하여 저장해 두고,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접속할 때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저장한 시설물분류 항목을 제공한다.
전국적으로 시설물 명칭은 국가기관(도청, 시청, 군청 등), 공원(동물원, 식물원 등), 산(국립공원, 도립공원 등), 교육(종합대학, 전문대학 등), 언론(TV 방송국, 신문사 등), 은행(본점 및 지점 등), 증권/보험(본점, 지점 등), 문화(박물관, 미술관 등), 종교(교회, 성당 등), 관광지(공원, 명승지 등), 스포츠(운동장, 스포츠센터 등) 레저(해수욕장, 스키장 등), 숙박(호텔, 여관 등), 음식점(한식, 중식 등), 패스트 푸드(맥도널드, 버거킹 등), 주거시설(연립, 아파트 등), 상업시설(시장, 백화점 등), 주요건물(그룹사옥 등), 수자원시설, 농공시설, 의료, 복지, 도로, 교량, 터널, 도로편의시설, 자동차관련시설, 철도, 지하철 등 무수히 많은 정보를 가지고 시설물분류 항목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 개인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등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자주 쓰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하여 설정해 놓고, 평상시에는 상기의 시설물 분류항목만 사용하므로 몇몇의 분류항목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한편,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MT-2000망을 통해 IMT-2000 단말기(11)와 접속하여 IMT-2000 단말기(11)로 생활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구성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시스템(도 2)을 통하여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IMT-2000 데이터 센터(15)내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를 확인하고,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며,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특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고, 특정 시설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IMT-2000 단말기(11)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시설물 분류항목중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현재의 위치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5)로부터 추출하고, 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23)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관한 특정 시설물들중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시설물들중 하나 이상에 관한 지리정보를 찾아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하며, 지리정보를 공간검색한 결과에 따라서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할 생활정보(주소, 전화번호 등) 등을 생성하여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이때, IMT-2000 단말기(11)에서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생활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는 IMT-2000망의 기지국(12)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전자지도(GIS)의 시설물검색 결과로 사용자의 맞춤정보에 의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11)로 제공한다.
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의 특징은 첫째 개인형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맞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지향하는 고객기반 서비스이며, 둘째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전자지도(GIS)의 시설물검색 결과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지향하는 서비스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며, 셋째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등)를 활용하여 위치정보 이외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또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한 기지국(12) 단위의 기지국(12)형, 제어국(13) 단위의 제어국(13)형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또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 개인의 특성(연령,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등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IMT-2000망을 이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4),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HLR)(25),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등)(21), 맞춤정보 데이터베이스(22), 지리정보(GIS) 데이터베이스(23), 서비스 데이터베이스(26)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IMT-2000망과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IMT-2000망은 전술한 바와 같이 IMT-2000 단말기(11)에게 IMT-2000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4)는 IMT-2000 단말기(11) 가입자에 대한 프로파일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서비스 데이터베이스(26)는 과금 등을 목적으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사용내역인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며, 맞춤정보 데이터베이스(22)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 개개인이 정의한 시설물 분류항목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HLR)(25)는 IMT-2000 단말기(11)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지리정보(GIS) 데이터베이스(23)는 특정 시설물(관공서, 은행, 주유소, 음식점 등)의 위치정보를 저장해 두는 구성요소로서 각 시설물 들은 검색을 위하여 속성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21)는 특정 시설물(관공서, 은행, 주유소, 음식점 등)의 생활정보를 저장해두는 구성요소로서, 각 생활정보들은 검색을 위하여 우편번호, 주소 등에 의한 인덱스 방법으로 전화번호, 관련 시설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와 생활정보의 교류를 담당하는 WAP 서버로서, 무선 WAP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IMT-2000망에 접속하여 생활정보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중앙제어모듈(38)과 가입자 검색모듈(31), 서비스 관리모듈(33), 맞춤정보 관리모듈(35), 위치정보 검색모듈(32), 지리정보(GIS) 데이터 처리모듈(34), 시설물 생활정보 검색모듈(36) 등으로 구성되어, 하기의 도 3과 같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절차에 의해 IMT-2000 단말기(11)가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여 결과(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이러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로부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받는 서비스 요청 수신 기능(도 3의 302),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를 확인하는 가입자 확인 기능(도 3의 303),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로그파일 저장 기능(도 3의 304),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특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 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맞춤정보 추출 기능(도 3의 305), 추출된 맞춤정보의 특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하는 시설물 분류항목 제공 기능(도 3의 306), 시설물 분류 항목중에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받는 시설물 분류 항목 수신 기능(도 3의 307),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HLR)(25)로부터 추출하는 위치정보 검출 기능(도 3의 308), 지리정보(GIS)가 저장되어 있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23)를 검색하여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선택한 시설물분류항목에 관한 특정 시설물들중에서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지리정보 공간검색 기능(도 3의 309), 지리정보를 공간검색한 결과에 따라서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할 생활정보(주소, 전화번호 등) 등을 생성하는 생활정보 생성 기능(도 3의 310), 생성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하는 생활정보 전송 기능(도 3의 311) 등을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서비스 요청 수신 단계(302)에서는 사용자가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IMT-2000 데이터 센터(15)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구한다. 이때, IMT-2000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를 통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 메뉴를 통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항목을 선택한다. 즉, IMT-2000 단말기(11)상에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항목으로 규정된 기능을 조작하여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절차이다. 이 신호는 IMT-2000 데이터 센터(15)를 통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 전해지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상기한 바와 같이 IMT-2000 단말기(11)에 규정된 항목을 이용하여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으나, IMT-2000 데이터 센터(15)는 주소를 IMT-2000 단말기(11)에 직접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IMT-2000 단말기(11)에 제공하는 연결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있다.
가입자 확인 단계(303)에서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 IMT-2000 단말기(11)사용자를 인증한다.
로그파일 저장 단계(304)에서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과금 등을 목적으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사용 내역인 서비스 로그파일을 생성한다.
맞춤정보 추출 단계(305)에서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청하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특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 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한다.
시설물 분류항목 제공 단계(306)에서는 특정 시설물들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해당 지역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시설물이 어떤 것인지를 알기 위하여 특정 시설물들로 이루어진 분류항목을 전송한다.
시설물 분류항목 수신 단계(307)에서는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IMT-2000 단말기(11)를 통해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 제공 단계(306)에서 제공된 시설물 분류항목중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사용자로부터 수신받는다. 즉, 현재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주유소를 검색하는 경우라면, IMT-2000 단말기(11)상에 나타나는 시설물 분류항목중에서 "주유소" 항목을 선택한다.
위치정보 검출 단계(308)에서는 상기 서비스 요청 수신 단계(302)에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에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5)를 검색하여 IMT-2000 단말기(11)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한다. 또한, 위치파악의 정밀도를 높이기위하여 GPS가 내장된 IMT-2000 단말기(11)를 사용하여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리정보 공간검색 단계(309)에서는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25)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관한 특정 시설물들중에서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또는 기지국(12)내에 있는 장소들중에서 하나 이상에 관한 시설물들의 위치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일정 거리내에 있는 또는 IMT-2000 단말기(11)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들을 검색하는 방법으로는 공간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전자지도(GIS)의 일정한 지역내에 들어 오는 시설물들을 전부 검색할 수 있다.
생활정보 생성 단계(310)에서는 지리정보를 공간검색한 결과에 따라서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하는 생활정보(주소, 전화번호 등) 등을 생성한다.
생활정보 전송 단계(311)에서는 생성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이때, IMT-2000 단말기(11)에서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생활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화면에 문자 또는 전자지도상에 시설물들의 생활정보를 출력한다.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는 IMT-2000 단말기(11)로 제공된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숙지하거나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된 특정 시설물(예 학교, 은행 등)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특정 시설물에 관한 생활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받으면,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시설물들중에서 IMT-2000 단말기(11)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또는 IMT-2000 단말기(11)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들을 검색하여, 그 중에서 하나 이상에 관한 시설물들의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11)로 전송한다.
이제, IMT-2000 단말기(11)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가입자(Client)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항상 온(On)된 상태의 단말을 소지하고 있다. IMT-2000 단말기(11)에는 광고방송 멀티미디어 영상정보가 수신되어 액정화면이 출력(display)되고 있다가,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받고 싶으면, IMT-2000 단말기(11)를 조작하여 IMT-2000 포털 메뉴로 전환한다.
따라서, IMT-2000 단말기(11) 사용자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에 접속하여 개인계정에 의한 시설물 분류항목을 개인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IMT-2000 단말기(11)로부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접속할 때 무수히 많은 시설물 분류항목으로부터 해방되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인형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IMT-2000 단말기(11) 서비스 가입자의 맞춤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IMT-2000 단말기(11) 가입자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생활정보 관련 맞춤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IMT-2000 서비스는 "Voice Free & Always On" 슬로건으로 음성통신은 무료인 대신에 항상 IMT-2000 단말기는 전원이 온(On)되어 있어, 광고서비스 수입이 음성통신 비용을 대처할 수단이며, 또한 기지국(BS)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수입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게는 기지국(BS) 단위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송출할 수 있고, 좀더 크게는 몇몇의 기지국을 묶은 제어국(BSC) 단위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MT-2000 단말기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주변에 있는 또는 IMT-2000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학교, 은행 등) 등에 관한 생활정보를 IMT-2000 단말기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므로 IMT-2000 단말기의 편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IMT-2000 단말기의 실생활에서 효용성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서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업범위가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규 사업범위 확대는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전자상거래 및 신규 기업군 사업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IMT-2000 단말기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하여 사용될 때 기지국별로 다른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IMT-2000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고, 가입자의 특성(연령, 신분 등)과 개성을 고려한 생활정보 관련 맞춤정보를 제공하여 가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지국 혹은 제어국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를 창출하여 IMT-2000 서비스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유무선 통신 환경하에서 생활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가입자 검색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맞춤정보 추출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으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망 정합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기 위한 지리정보 공간검색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지리정보 공간검색수단의 지리정보 공간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통신망 정합수단으로 전달하는 생활정보 검색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지역분산형 생활정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한 기지국 단위의 기지국(BS)형 혹은 제어국 단위의 제어국(BSC)형 생활정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사용자 개인의 특성(바람직하게는 연령, 신분)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맞춤 생활정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는,
    상기 해당 시설물의 위치정보 및 상기 해당 시설물의 위치(주소)나 연락처(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설물에 관한 생활정보(시설물 검색)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혹은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들을 검색하여 그 중에서 적어도하나의 시설물들의 생활정보(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주소)를 상기 단말기로 관련 전자지도와 함께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실질적으로,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상기 시설물 분류 항목이 많은 관계로 사용자 개인에게 적합한 혹은 개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물 분류 항목을 유무선 포탈 서비스를 통해서 미리 선택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단말기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접속할 때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 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기지국(BS) 단위나 제어국(BSC) 단위를 기반으로 구축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HLR)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 공간검색수단은,
    지리정보(GIS)가 저장되어 있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시설물분류항목에 관한 소정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혹은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을 검색하되, 공간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전자지도(GIS)의 소정의 지역내에 들어 오는 시설물들을 전부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 검색수단은,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위치정보 이외의 부가적인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부가적인 생활정보를 상기 통신망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 검색수단은,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위치정보 이외의 부가적인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광고비용을 광고주로 받고 관련 시설물을 플래쉬 처리하거나 뉴마크를 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눈에 띄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13. 유무선 통신 환경하에서 생활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에,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제 2 단계;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는 제 4 단계;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지역분산형 생활정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사용자의 현 위치를 고려한 기지국 단위의 기지국(BS)형 혹은 제어국 단위의 제어국(BSC)형 생활정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사용자 개인의 특성(바람직하게는 연령, 신분)과 개성을 고려한 개인형 맞춤 생활정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는,
    상기 해당 시설물의 위치정보 및 상기 해당 시설물의 위치(주소)나 연락처(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는,
    상기 시설물 분류 항목이 많은 관계로 사용자 개인에게 적합한 혹은 개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물 분류 항목을 유무선 포탈 서비스를 통해서 미리 선택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단말기가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접속할 때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 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19. 제 13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기지국(BS) 단위나 제어국(BSC) 단위를 기반으로 구축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HLR)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지리정보(GIS)가 저장되어 있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시설물분류항목에 관한 소정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규정된 거리내에 있는 혹은 단말기 화면내에 있는 시설물을 검색하되, 공간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전자지도(GIS)의 소정의 지역내에 들어 오는 시설물들을 전부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위치정보 이외의 부가적인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부가적인 생활정보를상기 통신망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시설물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위치정보 이외의 부가적인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광고비용을 광고주로 받고 관련 시설물을 플래쉬 처리하거나 뉴마크를 하여 상기 통신망 정합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눈에 띄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방법.
  23.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자의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요청시에,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제1 기능;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파일을 저장하는 제2 기능;
    사용자가 소정 시설물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분류항목을 선택해서 저장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을 추출하는 제3 기능;
    상기 추출된 맞춤정보의 소정 시설물들의 시설물 분류항목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설물 분류항목을 입력받는 제4 기능;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제5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시설물 분류항목에 관한 시설물들중에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현재의 장소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해당 시설물을 검색하는 제6 기능;
    상기 제6 기능의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시설물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생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7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37429A 2000-06-30 2000-06-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의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6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429A KR100786489B1 (ko) 2000-06-30 2000-06-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의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429A KR100786489B1 (ko) 2000-06-30 2000-06-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의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040A true KR20020003040A (ko) 2002-01-10
KR100786489B1 KR100786489B1 (ko) 2007-12-18

Family

ID=1967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429A KR100786489B1 (ko) 2000-06-30 2000-06-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의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4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22A (ko) * 2002-03-28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432579B1 (ko) * 2002-03-19 2004-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기반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06945B1 (ko) * 2005-06-08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현재위치에 따른 이미지 패턴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101399184B1 (ko) * 2006-11-06 2014-05-27 노키아 코포레이션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8588B2 (en) 2010-09-01 2014-08-0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outside of service zone
WO2012030001A1 (ko) * 2010-09-0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135B1 (ko) * 1997-12-09 2000-10-16 윤종용 지리정보서비스장치및그방법
JPH11178066A (ja) * 1997-12-12 1999-07-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方法
KR20010029049A (ko) * 1999-09-29 2001-04-06 전주범 이동통신 시스템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관광정보 서비스 방법
KR100340199B1 (ko) * 1999-10-13 2002-06-12 이계철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KR20000006760A (ko) * 1999-11-01 2000-02-07 노권형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79B1 (ko) * 2002-03-19 2004-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기반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78222A (ko) * 2002-03-28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706945B1 (ko) * 2005-06-08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현재위치에 따른 이미지 패턴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101399184B1 (ko) * 2006-11-06 2014-05-27 노키아 코포레이션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489B1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0699A (en) Address retrieval system
JP5945797B2 (ja) クライアントの旅行者を地理的に関連するデータに接続するインターネットシステム
US662545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location associated messages
CN100552666C (zh) 在移动终端中提供基于移动博客的区域社区服务的系统和方法
US71812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wireless device users by location
JP3950355B2 (ja) 情報提供サービス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WO2001049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3502999A (zh) 用于使用可视数据流标记和增强地理特定位置的系统
KR10078648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의 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N103248671A (zh) 一种服务提供方法、服务提供装置和服务器
CN102664897B (zh) 基于移动平台的手机旅游信息查询系统
KR100726075B1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4581888B (zh) 基于无线接入点的上网引导系统及方法
KR100578147B1 (ko) 위치추적을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KR20000006760A (ko)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JP2002359877A (ja) 位置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用サーバ、通信装置及び情報発信媒体
KR101094063B1 (ko) 위치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WO2006040807A1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端末およ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空間情報サーバ並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情報提供方法
KR101037463B1 (ko) 임시 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9676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50081576A (ko)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정보 제공 및 질의 처리 서비스 방법
CN103313184A (zh) 用户信息提供方法及装置
CN101384002B (zh) 实现移动拍客的方法及系统
KR100402535B1 (ko) 지역 정보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8480B1 (ko) Imt - 200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프로파일 서비스제공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