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184B1 -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184B1
KR101399184B1 KR1020097011553A KR20097011553A KR101399184B1 KR 101399184 B1 KR101399184 B1 KR 101399184B1 KR 1020097011553 A KR1020097011553 A KR 1020097011553A KR 20097011553 A KR20097011553 A KR 20097011553A KR 101399184 B1 KR101399184 B1 KR 101399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criteria
location based
data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672A (ko
Inventor
토미 에이 라인
페트리 오 라우할라
파시 카타자이넨
자모 루티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치 기반 트리거링 시스템 및 방법은 위치 기반 트리거가 생성되어 POI, 랜드마크, 및/또는 복수의 POI, 랜드마크로 이루어진 위치 기반 정보 카테고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서브카테고리, 및 POI, 랜드마크 및 위치 기반 정보 탐색과 관련될 수 있게 한다. 트리거가 생성되고, 여기서 트리거는 트리거 기준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OI, 랜드마크, 및/또는 복수의 POI,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는 트리거 기준과 적어도 하나의 POI, 랜드마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카테고리 사이의 매칭에 대해 감시된다. 매칭이 존재하면, 트리거가 활성화되어, 관련 동작 또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또한, 부가적인 탐색 기준이 트리거 기준과 결합되어 LBT 프로세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ANAGING GROUP OF LOCATION BASED TRIGGE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위치 기반 트리거의 그룹을 범주화하고(categorizing)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청구범위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대한 배경 또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어 있는 내용은 추구될 수 있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전에 착안되었거나 또는 추구되었던 개념들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섹션에 개시되어 있는 사항은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 대한 종래기술은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종래기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기반 트리거링(LBT; location based triggering)은, 다양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객체, 사람 또는 임의의 다른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트리거링되는 동작들을 정의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트리거는 일반적으로 그 트리거와 관련된 소정의 기준이 충족될 때 활성화되며, 위치 기반의 트리거가 기초하는 다양한 유형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중심 좌표 및 적어도 하나의 중심 좌표에 대한 반경에 의해 정의된다. 영역은 특정 도시 내의 소정 수의 블록과 같은 보다 큰 지리적 영역의 사전 결정된 부분들의 그룹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트리거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진입하거나 또는 특정 영역을 빠져 나올 때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트리거의 활성화는 소정의 트리거 관련 기준이 만족될 때 발생한다. 트리거의 활성화 시에, 일부 다른 동작 또는 이벤트가 트리거링된다. 예를 들면, LBT는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보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화점에 들어갈 때, 사용자가 새 우산을 구매할 것을 상기시키는 통지를 사용자에게 보내거나 또는 보여준다.
POI는 사용자 및/또는 다른 부류가 유용하다고 생각하거나 관심을 갖는 특정 위치 지점이다. 랜드마크는 개인의 POI 또는 일부 다른 인기있는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POI와 랜드마크는 모두 맵핑 및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 및 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POI는 웹/이동 비즈니스 리스팅, 도시 가이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맵 데이터와 관련된다. POI 및 랜드마크는 범주화될 수 있는데, 여기서 범주화(categorization)는 "식당" 및 "공용 서비스"와 같이 넓을 수도 있고, "중국 식당" 및 "DIY 상점(Do-It-Yourself shop)"과 같이 보다 구체적일 수도 있다. POI 및 랜드마크는 또한 특정 POI의 상세한 설명, 특정 POI와 관련된 웹 주소 등과 같이 위치 관련 정보 외에 다른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들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위치 기반 트리거는 하나 이상의 특정 좌표 및 주변 영역에 결합된다. 따라서, 위치 기반 트리거는 특정 장소를 찾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단순히 특정 장소에는 관심이 없고 오히려 트리거가 관련될 수 있는 특정 유형의 장소에 관심이 있는 경우, 많은 예측가능한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주유소보다는 사용자의 현 위치 근방에 있는 임의의 주유소를 찾는데 관심이 있을 수 있다. 단일 트리거를 생성하고 수동으로 그 트리거를 여러 개별 장소와 관련시키는 것은 번거롭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개별 트리거 세트 내의 각각의 개별 트리거는 별개로 다루어져야 하므로, 심지어 개별 트리거 세트의 생성은 성능 최적화(즉, 메모리 및 처리)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특정 POI, 랜드마크 또는 위치만이 트리거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될 경우, LBT 자체의 유용성 및 범위가 제한되는데, 이는 트리거링 기준을 충족하는 POI가 트리거의 수명 동안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LBT의 동적 특성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위치 기반 트리거를 생성하고, POI, 랜드마크, 및/또는 복수의 POI, 랜드마크로 이루어진 위치 기반 정보 카테고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서브카테고리, 및 POI, 랜드마크 및 위치 기반 정보 탐색과 관련될 수 있게 한다. 트리거가 생성되고, 여기서 트리거는 트리거 기준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POI, 랜드마크, 및/또는 복수의 POI,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 및/또는 다른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는 트리거 기준과 적어도 하나의 POI 및/또는 랜드마크 카테고리 사이의 매칭에 대해 감시된다. 매칭이 존재하면, 트리거가 활성화되어, 관련 동작 또는 이벤트를 실행한다. 또한, 부가적인 탐색 기준이 트리거 기준과 결합되어 LBT 프로세스를 강화시킬 수 있다. 트리거를 하나의 특정 POI, 랜드마크 또는 객체 대신에 복수의 카테고리에 결합하는 이 능력은 트리거 기준이 충족될 기회를 증가시킨다. LBT의 가용성 또한 증가한다. 또한, 다수의 개별 위치 기반 트리거를 생성하는 것에 비해, 위치 기반 트리거에 대한 복수의 적절한 장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보다 빠르고 보다 편리하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동작 방식과 함께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요소들은 후술하는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전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 전화의 전화 회로의 개략도.
삭제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위치 기반의 트리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이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10)은 이동 전화망, 무선 로컬 에이리어 네트워크(LAN), 블루투스 퍼스널 에이리어 네트워크(Bluetooth personal area network), 이더넷 LAN, 토큰 링 LAN, 와이드 에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유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이동 전화망(11) 및 인터넷(28)을 포함한다. 인터넷(28)에 대한 접속은 긴 범위의 무선 접속, 짧은 범위의 무선 접속 및 전화선, 케이블선, 전력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는 이동 전화(12), 조합형 PDA 및 이동 전화(14), PDA(16), IMD(integrated messaging device)(18), 데스크탑 컴퓨터(20) 및 노트북 컴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정적일 수도 있고 또는 이동 중인 개인이 휴대할 때와 같이 동적일 수도 있다. 통신 장치는 또한 자동차, 트럭, 택시, 버스, 보트, 비행기,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포함하는 수송 모드에 위치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콜 및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고 기지국(24)으로의 무선 접속(25)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한다. 기지국(24)은 이동 전화망(11)과 인터넷(28) 사이의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서버(26)에 접속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추가적인 통신 장치 및 다른 유형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SMS(Short Messaging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메일, IMS(Instant Messaging Service), 블루투스, IEEE 802.11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라디오, 적외선, 레이저, 케이블 접속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이동 장치(12)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특정 유형의 이동 전화(12) 또는 다른 전화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3의 이동 장치(12)는 하우징(30), 액정 디스플레이 형태의 디스플레이(32), 키패드(34), 마이크로폰(36), 이어피스(38), 배터리(40), 적외선 포트(42), 안테나(4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ICC 형태의 스마트 카드(46), 카드 판독기(48),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52), 코덱 회로(54), 제어기(56) 및 메모리(58)을 포함한다. 개별 회로 및 요소들은 모두 예를 들어 노키아계 이동 전화와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위치 기반 트리거가 생성되어 POI, 랜드마크, 및/또는 복수의 POI, 랜드마크로 이루어진 위치 기반 정보 카테고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POI, 랜드마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서브카테고리, 및 POI, 랜드마크 및 위치 기반 정보 탐색과 관련될 수 있게 한다. 트리거는 복수의 카테고리와 관련되어 동시에 이들을 지원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트리거는 카테고리 "쇼핑" 및 "DIY 상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기준 중 하나 또는 일부 또는 전부가 만족될 때 트리거에 의해 동작 또는 이벤트가 트리거될 수 있다. 트리거를 하나의 특정 POI, 랜드마크 또는 객체 대신에 복수의 카테고리에 결합하는 이 능력은 트리거 기준이 충족될 기회를 증가시킨다. LBT의 가용성 또한 증가한다. 또한, 복수의 개별 위치 기반 트리거를 생성하는 것에 비해, 위치 기반 트리거에 대한 복수의 적절한 장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보다 빠르고 보다 편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가 결합되는 객체는 종래의 POI 및 랜드마크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접촉(contact)과 관련된 위치 기반 정보는, 각각의 접촉이 위치 기반의 정보와 관련되는 접촉의 카테고리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카테고리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른 위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또는 위치 기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의 데이터, 또는 위치 또는 위치 기반의 정보와 관련된 임의의 데이터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탐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트리거 기준 달성은 자유 텍스트 탐색과 같은 정의된 탐색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텍스트 스트링을 입력하여 텍스트 스트링의 주제와 관련성을 갖는 특정 장소에 관련되는 트리거(예를 들면, 임의의 장소, POI, 랜드마크 또는 위치 기반 정보와 관련된 다른 객체에 대한 트리거, 여기서 "파워 툴(power tool)" 이란 단어는 장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된다)를 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사용 케이스는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가 우산을 구매할 필요가 있다면, 단순히 하나의 상점을 선택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여러개의 개별 상점들을 선택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쇼핑" 카테고리와 관련된 POI에 대한 트리거를 생성할 수 있다. 부가적인 기준으로서 용어 "액세서리(accessories)"를 표시하는 것과 같이, "쇼핑" 카테고리 POI 탐색과 함께 텍스트 탐색을 활용함으로써 탐색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트리거 기준이 정확하게 만족된다고 확신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사용 케이스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DVD/비디오를 구매하거나 또는 대여하기를 원하고, 사용자의 가정 가까이의 여러 영화 대여 위치가 그 DVD/비디오를 갖고 있다. 적절한 영화 대여 위치를 전부 선택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단순히 "DVD/비디오 대여점"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트리거 기준으로서 자신의 집 주위의 적절한 반경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사용 케이스는 보다 복잡한 탐색 기준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용의 새로운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매하기를 원하고, 특정 자동차 부품 가게에 대한 할인 카드를 갖고 있다면, 사용자는 원하는 카테고리가 "쇼핑"이 되도록 표시하는 탐색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탐색은 특정 자동차 부품 가게의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 탐색을, 예를 들어 PDA 또는 이동 장치와 같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치로 보내질 "새로운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를 살 것(Remember to buy new winshield wiper blade)"과 같은 트리거링 노트에 결합할 수 있다. 부가적인 정보는 트리거 기준과 관련될 수 있다. 위 예를 참조하면, 자동차 부품 가게의 개장 시간이 트리거가 시동하기 전에 충족되어야 하는 부가적인 탐색 기준/트리거링 조건으로서 추가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예컨대 트리거는 사용자가 동시에 개장하는 식별된 특정 자동차 가게들 중 하나에 물리적으로 가까이에 있을 때 트리거링 노트를 보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식별된 특정 자동차 가게에 가까이에 있지만, 그 가게가 영업을 하지 않으면, 트리거는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다.
부가적인 탐색 또는 탐색 기준은 부가적인 탐색 또는 탐색 기준이 수행되고/또는 입력될 때의 장치의 기능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유의하라. 제 3자의 서비스 제공자 및 소스로부터 이용가능한 다른 데이터 및 정보는 부가적인 트리거링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시맨틱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트리거 충족 데이터는 본래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며, 트리거링 충족 데이터는 사용자가 이미 특정 트리거를 설정한 후에 각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 내에 추가, 업데이트 및/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예컨대 트리거 기준이 이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후에 제 3자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추가되었거나 식별된 부가적인 트리거 충족 데이터에 의해 트리거링 기준이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원격 트리거링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원격 트리거링은 제 3자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들어가거나 또는 빠져나올 때 사용 자가 원하는 동작 또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리마인더를 수신하는 경우의 시나리오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제 2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집을 떠날 때 "쇼핑몰에 갈 때 새 프라이팬을 사도록 상기시킬 것(When you go to the shopping mall remember to buy me a new frying pan)"이란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지를 제 2 사용자에게 보내도록 트리거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LBT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가 500에서 생성된다. 생성된 트리거는 사용자 단말기/장치 또는 네트워크/네트워크 요소에 위치하는 트리거링 시스템에 유지된다. 530에서, 트리거링 시스템은 적절한 트리거 로케이션을 위해 모든 POI, 랜드마크 및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장치 또는 네트워크의 서버에 존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감시한다. 540에서, 트리거링 시스템은 적절한 POI 및/또는 랜드마크 카테고리와 트리거링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세트와의 매칭을 시도한다. 적어도 하나의 POI, 랜드마크 또는 위치 기반 정보 카테고리가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와 매칭되면, POI, 랜드마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POI,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정보,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가 트리거링 기준을 충족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550에서 트리거를 활성화하고, 결국 임의의 관련 동작 또는 이벤트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생성된 트리거가 탐색과 결합되면, 트리거의 생성 직후에 탐색이 1회 실행되어 510에서 현재의 트리거 기준을 얻을 수 있다. 특정 POI, 랜드마크에 대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 내의 다른 카테고리 정보가 수정되고/또는 추가되면, 업데이트 탐색이 실행되어 트리거 기준을 업데이트한다. 이 탐색은 수정된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 내의 수정된 데이터만이 캡처되도록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동작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트리거링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함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트리거링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는 PDA 또는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개인용 컴퓨터 상에 구현된 웹 브라우저가 트리거링 시스템에 대한 프론트 엔드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표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기반 문서에 액세스할 수 있고 또는 시맨틱 웹 브라우저는 시맨틱 웹 문서를 활용할 수 있고,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WOL(Web Ontology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 HTML 등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생성될 수 있는데, 트리거 카테고리 선택기는 하나 이상의 POI, 랜드마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에서 발견된 모든 카테고리에 대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테고리가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POI, 랜드마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 이상이 1회 액세스되고, 부가적인 기준이 트리거 카테고리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영역이 정의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중심 위치 및 실질적으로 그 중심 위치에 대한 반경), 여기서 그 지리적 영역 내의 장소들만이 트리거링에 이용가능하다. 또한, 트리 거는 탐색 기준(예를 들어 정의된 탐색) 또는 탐색 결과에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다 엔드 유저 친화적인 사용 케이스 및 사용자에 대한 작업 흐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다 동적인 방법으로 POI 및/또는 랜드마크 수명을 고려한다. 따라서, 트리거 기준과 매칭되는 새로 생성된 POI 및 랜드마크는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시도할 때 고려된다. 또한, 특정 POI, 랜드마크, 및/또는 위치 기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데이터 구조로부터 제거되거나 더 이상 유효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특정 POI 및/또는 랜드마크에 의해 정의된 트리거 기준은 반드시 무효로 되지는 않는다(트리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다른 POI 및/또는 랜드마크가 존재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이동 장치와 같이 제한된 전력원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특정 구현에 따라 보다 많은 처리 능력 또는 메모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장치가 지정된 트리거 기준 영역에 가까운 지정된 무선 네트워크 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때에만 GPS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근접 검출/맵핑이 이용될 수 있다. OMA SUPL(Open Mobile Alliance Secure User Plane Location) 2.0 표준은 그러한 프록시 맵핑을 포함한다(즉, 일부 정의된 지리적 영역을 대응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ns)/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셀 정보로 변환). 그러나, 그러한 근접 맵핑은 하나의 지리적 영역에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맵핑될 복수의 지리적 영역 및 특정 트리거의 수명 동 안 지리적 영역의 업데이트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SUPL 2.0 표준은 복수의 영역 정의 검색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킹된 환경에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일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 단계들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형(abstract data type)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구성요소,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의 예를 나타낸다. 그러한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 또는 관련 데이터 구조의 특정한 시퀀스는 그러한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는 대응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및 웹 구현은 규칙기반의 로직 및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탐색 단계, 상관 단계, 비교 단계 및 판정 단계를 성취하기 위한 다른 로직을 갖는 표준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component)" 및 "모듈"이란 단어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코드 라인 및/또는 하드웨어 구현 및/또는 수동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는 구현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그것은 본 발명을 정확히 개시된 형태로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으며, 그 실제 응용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 및 특정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예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7)

  1. 위치 기반 트리거링(location-based triggering)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trigger criteria)을 포함하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은 관심 지점, 랜드마크, 위치 기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포함함 - 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potential trigger criteria-fulfilling data)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동안에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 - 와,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된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분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는,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관심 지점 데이터 구조,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랜드마크 데이터 구조 및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 구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관심 지점 데이터 구조, 상기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랜드마크 데이터 구조 및 상기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 구조는,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통지(notification)를 전송하는 것, 통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트리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관련된 지리적 영역에 진입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관련된 지리적 영역을 나오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시에 수행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이 상기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충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관련된 부가적인 탐색 기준이 만족될 때 수행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탐색 기준은 시맨틱 기반의 웹 데이터(semantic-based web data) 및 제 3 자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방법.
  9.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을 포함하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컴퓨터 코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은 관심 지점, 랜드마크, 위치 기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포함함 - 와,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컴퓨터 코드 - 상기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동안에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 - 와,
    상기 모니터링된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비교하는 컴퓨터 코드와,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분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컴퓨터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0.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을 포함하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컴퓨터 코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은 관심 지점, 랜드마크, 위치 기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포함함 - 와,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컴퓨터 코드 - 상기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동안에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 - 와,
    상기 모니터링된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비교하는 컴퓨터 코드와,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분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컴퓨터 코드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는,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관심 지점 데이터 구조,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랜드마크 데이터 구조 및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위치 기반 정보 데이터 구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트리거의 활성화 시에, 통지를 전송하는 것, 통지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관련된 지리적 영역에 진입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관련된 지리적 영역을 나오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시에 상기 트리거와 관련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활성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이 상기 복수의 잠재적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충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과 관련된 부가적인 탐색 기준이 만족될 때 처리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장치.
  15.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메모리 유닛 및 상기 메모리 유닛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에 기초하여 트리거를 생성하는 것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은 관심 지점, 랜드마크, 위치 기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포함함 - 과,
    텍스트 스트링 검색 데이터(text string search data)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수신된 텍스트 스트링 검색 데이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기준을 업데이트하는 것과,
    복수의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 - 상기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동안에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 - 과,
    상기 모니터링된 잠재적인 트리거 기준 충족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된 트리거 기준과 비교하는 것과,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분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를 활성화하는 것
    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기반 트리거링 수행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7011553A 2006-11-06 2007-10-03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399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93,414 US8509411B2 (en) 2006-11-06 2006-11-06 Managing group of location based triggers
US11/593,414 2006-11-06
PCT/IB2007/054025 WO2008056283A2 (en) 2006-11-06 2007-10-03 Managing group of location based trigg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672A KR20090085672A (ko) 2009-08-07
KR101399184B1 true KR101399184B1 (ko) 2014-05-27

Family

ID=3936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553A KR101399184B1 (ko) 2006-11-06 2007-10-03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8509411B2 (ko)
EP (1) EP2087687B1 (ko)
JP (1) JP5346811B2 (ko)
KR (1) KR101399184B1 (ko)
CN (2) CN101536467A (ko)
CA (1) CA2668075C (ko)
IL (1) IL198556A0 (ko)
MX (1) MX2009004732A (ko)
RU (1) RU2429581C2 (ko)
WO (1) WO20080562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5625A1 (en) * 2008-02-13 2010-12-23 Osvaldo Diaz Managing electronic devices with different types of device location limited device management clients
WO2009102354A1 (en) * 2008-02-13 2009-08-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electronic devices using an electronic device as a root of trust
US8073590B1 (en) 2008-08-22 2011-12-06 Boadin Technology,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tilizing a communication channel of a mobile device by a vehicular assembly
US8078397B1 (en) 2008-08-22 2011-12-13 Boadin Technology,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ocial networking utilizing a vehicular assembly
US8892128B2 (en) * 2008-10-14 2014-11-1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Location based geo-reminders
CN102197664B (zh) * 2008-11-07 2014-07-16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在用户设备中触发基于位置的事件的方法
US20100306211A1 (en) * 2009-05-26 2010-12-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eo-location search learning
US9258408B2 (en) * 2009-06-04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hird-party control of device behavior
US9222798B2 (en) * 2009-12-22 2015-12-29 Modena Enterpris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 activity of a user based on a chronological order of detected movements of a computing device
US20120295639A1 (en) * 2011-05-18 2012-11-22 Microsoft Corporation Discovering nearby places based on automatic query
US8686852B2 (en) 2011-05-30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based notification services
CN103369462A (zh) 2012-04-11 2013-10-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lbs的提醒信息输出方法及系统
US9264500B2 (en) 2012-06-12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object searching
US10915926B2 (en) * 2012-06-29 2021-02-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dvertising
US11025521B1 (en) * 2013-03-15 2021-06-01 CSC Holdings, LLC Dynamic sample selection based on geospatial area and selection predicates
US9179257B2 (en) 2013-08-21 2015-11-03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igh precision geo-fencing using business property boundaries
US9930654B2 (en) * 2015-03-17 2018-03-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uplink transmissions on an unlicensed carr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49A (ko) * 1999-09-29 2001-04-06 전주범 이동통신 시스템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관광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03040A (ko) * 2000-06-30 2002-01-10 이계철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 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JP2003032721A (ja) 2001-07-03 2003-01-31 Nortel Networks Ltd 位置及びイベントトリガー型通知サービス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822A (en) * 1995-03-03 1997-03-11 Trimble Navigation, Ltd. Position-related multi-media presentation system
US6119014A (en) * 1998-04-01 2000-09-12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hort messages depending upon location, priority, and user-defined indicators
GB9930645D0 (en) * 1999-12-23 2000-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on alarm
US6311194B1 (en) * 2000-03-15 2001-10-30 Taalee,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semantic web and its applications in browsing, searching, profiling, personalization and advertising
JP2001339358A (ja) 2000-05-30 2001-12-07 Netyear Group Corp 移動通信端末に対する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6553310B1 (en) * 2000-11-14 2003-04-2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opologically based retrieval of information
US20080033595A1 (en) * 2000-11-16 2008-02-07 Packes John M Jr Method of outputting offers at a vending machine field
US20020067308A1 (en) * 2000-12-06 2002-06-06 Xerox Corporation Location/time-based reminder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6484092B2 (en) * 2001-03-28 2002-11-1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nd interactive route finding
US7437295B2 (en) * 2001-04-27 2008-10-14 Accenture L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a location-based services system
WO2003009605A2 (en) * 2001-07-16 2003-01-30 Wavemarket Inc. System for providing alert-based services to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016855B2 (en) * 2002-05-31 2006-03-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task list using location based filtering
US7096030B2 (en) 2002-06-28 2006-08-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location-dependent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US6691032B1 (en) * 2002-09-09 2004-02-10 Groundspeak, Inc.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user-definable events triggered through geolocational data describing zones of influence
JP2004102928A (ja) 2002-09-12 2004-04-02 Fuji Xerox Co Ltd 記憶補助装置及び方法
JP2004102927A (ja) * 2002-09-12 2004-04-02 Fuji Xerox Co Ltd 記憶補助装置及び方法
JP2004364076A (ja) 2003-06-06 2004-12-24 Nec Commun Syst Ltd 対象エリア認識システム及びサーバ並びに携帯機器
US6845322B1 (en) * 2003-07-15 2005-01-18 Televig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avigation
EP1526457B1 (en) 2003-10-22 2013-03-13 Sony Deutschland GmbH Context-aware automatic service discovery and execution engine in mobile ad-hoc networks
US7256732B2 (en) 2004-07-01 2007-08-14 Global Loc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triggering in an assisted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KR100623480B1 (ko) * 2004-07-13 200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보조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2006079419A (ja) 2004-09-10 2006-03-23 Nec Fielding Ltd 用件通知システム、サーバ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03747A (ja) 2005-04-19 2006-11-02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及び機能制御方法
US20070015495A1 (en) * 2005-07-15 2007-01-18 Agilis Systems, Inc. Mobile resource location-based customer contact methods
US20070136140A1 (en) * 2005-12-13 2007-06-14 Microsoft Corporation Provision of shopping information to mobile devices
US20070239352A1 (en) * 2006-04-10 2007-10-11 Microsoft Corporation Embedded dynamic map generation
US7680899B1 (en) * 2006-05-12 2010-03-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eamless retrieval of non-standard items for a mobile device
US8099105B2 (en) 2006-09-19 2012-01-1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Device based trigger for location push event
US7528713B2 (en) * 2006-09-28 2009-05-05 Ektimisi Semiotics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ask reminder based on travel history
US7619514B1 (en) * 2009-01-19 2009-11-17 Richard John Stone Method for providing a proximity ale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49A (ko) * 1999-09-29 2001-04-06 전주범 이동통신 시스템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관광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03040A (ko) * 2000-06-30 2002-01-10 이계철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단위를 기반으로공간검색기법을 응용한 위치 종속 생활정보 맞춤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JP2003032721A (ja) 2001-07-03 2003-01-31 Nortel Networks Ltd 位置及びイベントトリガー型通知サービ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9004732A (es) 2009-05-22
CA2668075C (en) 2015-06-23
US20080126334A1 (en) 2008-05-29
JP2010509796A (ja) 2010-03-25
EP2087687B1 (en) 2018-12-05
US20130281129A1 (en) 2013-10-24
US20150111605A1 (en) 2015-04-23
WO2008056283A3 (en) 2008-07-03
EP2087687A4 (en) 2015-01-14
KR20090085672A (ko) 2009-08-07
WO2008056283A2 (en) 2008-05-15
RU2429581C2 (ru) 2011-09-20
RU2009119285A (ru) 2010-12-20
US8953767B2 (en) 2015-02-10
EP2087687A2 (en) 2009-08-12
CA2668075A1 (en) 2008-05-15
IL198556A0 (en) 2010-02-17
US8509411B2 (en) 2013-08-13
CN101536467A (zh) 2009-09-16
JP5346811B2 (ja) 2013-11-20
CN105007334A (zh)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184B1 (ko) 위치 기반 트리거링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8737619B2 (en) Method of triggering location based events in a user equipment
US9218360B2 (en) User-selected tags for annotating geographic domains containing points-of-interest
KR101126032B1 (ko) 모바일 위치를 사용한 검색 리파인
US8117341B2 (en) Determining and presenting communication device proximity information
US10122845B2 (en) Location based personal organizer
US20070281716A1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for users of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US20080167796A1 (en) Navigational reference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reverse lookup location identifier
US20080070588A1 (en) Device based trigger for location push event
US201102520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in an address book
EP1805486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specific images on a mobile device
US9380436B2 (en) Contact entry population from call entity information
JP2013507711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および位置特定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EP2706496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gnizing places in a text
JP4335611B2 (ja) 場所情報提供方法及び場所情報提供プログラム
Thiga et al. An SMS and USSD Model for Location-based Mobile Advertising
KR102128641B1 (ko) 무선 디바이스에서 자동화된 정보 엔트리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02

Effective date: 2014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