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2075A -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2075A
KR20020002075A KR1020000036516A KR20000036516A KR20020002075A KR 20020002075 A KR20020002075 A KR 20020002075A KR 1020000036516 A KR1020000036516 A KR 1020000036516A KR 20000036516 A KR20000036516 A KR 20000036516A KR 20020002075 A KR20020002075 A KR 20020002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all
ocher
horizontal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361B1 (ko
Inventor
박태근
Original Assignee
박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근 filed Critical 박태근
Priority to KR10-2000-003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361B1/ko
Priority to KR2020000018591U priority patent/KR200204049Y1/ko
Publication of KR2002000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지게차로 이동 가능한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포크 리프트의 포트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일측에 2개 이상 형성되는 파렛트와, 상기한 파렛트의 상부에 놓여지며 다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연결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와, 몸체의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방음재와, 상기한 방음재가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몸체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와, 몸체의 내부와 내부에 고정되는 벽체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A wall structure of movable house using yellow earth}
본 발명은 차량이나 지게차로 이동 가능한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황토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온조조절능력이 뛰어나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효과와 습도조절 및 통풍이 잘되며, 분해력, 자정력, 흡수력이 뛰어나고, 황토자체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간에 유익한 약성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의 복원에도 큰 영양을 끼친다는 사실이 많이 알려져 여러분야에서 골고루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주거를 위한 주택 등의 도료나 벽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토를 이용한 주택 등은 이동을 할 수 없는 고정식으로 한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동식 주택에 황토를 사용하면 이동시에 약한 미동에도 황토벽돌이 부서지기 때문에 공사현장 등에서 사용되고 공사가 마무리되면 해체시키는 간이 사무실이나 공원 및 휴양지 등에 설치되어 야영이나 숙박을 하는 방갈로는 필요에 따라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황토를 사용하지 못하고, 철판으로 형성된 패널 또는 목재로 재작하거나 콘테이너등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워 난방비와 냉방비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황토벽돌로 축조되는 주택은 황토벽돌이 서로 붙어서 고정되도록 수분을 함유한 황토를 황토벽돌 사이에 도포하고 쌓기 때문에 황토가 굳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황토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한번에 여러단으로 쌓으면 수분을 함유한 황토에 의해서 미끄러져 황토벽돌이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어 몇일에 거쳐 나누어 황토가 굳은 다음 다시 황토벽돌을 쌓는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황토벽돌을 다수개의 받침부재로 고정하여 이동시 발생하는 미동에 의해 벽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토벽돌을 다수개의 받침부재로 고정하기 때문에 응고되는 시간이 필요없어 황토벽돌을 연속적으로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식 주택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의 일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포크 리프트의 포트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일측에 2개 이상 형성되는 파렛트와,
상기한 파렛트의 상부에 놓여지며 다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연결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와,
몸체의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방음재와,
상기한 방음재가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몸체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와,
몸체의 내부와 내부에 고정되는 벽체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를 포함한다.
몸체의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의 모서리에 코너 마감재를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벽체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의 상부에 제2 몰탈재를 도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벽체와 제1 몰탈재 사이에 메쉬를 삽입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몸체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는, 몸체를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의 내부와 외부에 제1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내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는 다수개의 가로 받침부재와,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되는 가로 받침부재의 사이에 가로 받침부재와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세로 받침부재와,
가로 받침부재와 세로 받침부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고정되는 황토벽돌과,
황토벽돌이 고정되는 세로 받침부재 사이에서 황토벽돌의 상부에 고정되는 보조 받침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의 일실시예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주택(1)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로 프레임(21)과 상기한 가로 프레임(21)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세로 프레임(22)으로 몸체(2)를 형성한다.
상기한 몸체(2)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정육면체나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것도 가능하다.
몸체(2)를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21)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 및 상기한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부와 하부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 사이에 1개 이상의 가로 프레임(2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가로 프레임(21)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22)은 가로 프레임(2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모서리 부분이 아닌 가로 프레임(21)의 중간에 다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몸체(2)를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은 목재(각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무게가 적은 경량의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으로 형성되는 몸체(2)의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의 사이에는 방음재(3)를 고정한다.
상기한 방음재(3)는 스치로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지만, 단열재 등으로 고정해도 된다.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한 몸체(2)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관통홈(91)이 일측에 2개 이상 형성되는 파렛트(9)의 상부에 놓여져 고정된다.
상기한 파렛트(9)는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몸체(2)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이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몸체(2)의 내부와 외부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21) 및 세로 프레임(22)과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가로 받침부재(41)를 가로 프레임(21)에 제1 고정부재(43)로 고정하고, 세로 프레임(22)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세로 받침부재(42)를 제1 고정부재(443)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한다.
상기한 몸체(2)의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에 세로 받침부재(42)와 가로 받침부재(41)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43)는 나선이 형성된 나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은 목재(각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연질을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가로 받침부재(41)와 세로 받침부재(42)는 서로 제2 고정부재(44)로 연결한다.
상기한 제2 고정부재(44)는 호치키스의 스테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목재(각재)를 고정하는 에어 테커(tacker)로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몸체(2)의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에 제1 고정부재(43)와 제2 고정부재(44)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는 가로 받침부재(41)와 세로 받침부재(42)의 사이에는 황토벽돌(5)를 고정한다.
다수개의 가로 받침부재(41)와 세로 받침부재(42)의 사이에 고정되는 황토벽돌(5)의 상부에는 세로 받침부재(42)와 고정되는 보조 받침부재(45)를 고정한다.
상기한 보조 받침부재(45)와 황토벽돌(5)및 가로 받침부재(41)와 세로 받침부재(42)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치키스의 스테플과 같은 제2 고정부재(44)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2)의 가로 프레임(21)과 세로 프레임(22)에 고정되는 가로 받침부재(41)와 세로 받침부재(42)의 사이에 황토벽돌(5)과 보조 받침부재(45)가 축조되면서 형성되는 벽체(4)가 몸체(2)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면 벽체(4)의 외면에 벽체(4)의 크기와 대응되는 메쉬(mash; 철망)(6)를 고정하고 상기한 메쉬(mash; 철망)(6)의 상부에 제1 몰탈재(7)를 도포한다.
상기한 몸체(2)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4)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7)는 황토를 개어 도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벽체(4)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7)의 상부에는 제2 몰탈재(8)를 도포한다.
상기한 제2 몰탈재(8)는 제1 몰탈재(7)아 같은 황토로 형성할 수 있지만, 기능성 도료나 페인트 및 시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벽체(4)가 몸체(2)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면 상기한 몸체(2)의 외부에 고정된 벽체(4)의 모서리에 직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14)를 고정한다.
이동식 주택(1)의 몸체(2)에 고정되는 벽체(4)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창문(13)과 출입문(12)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지붕(11)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는 황토벽돌(5)을 호치키스와 같은 스테플을 이용한 에어 못 테커(tacker)로 고정하기 때문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식 주택(1)은 하부에 형성되는 파렛트(9)의 관통홈(91)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여 이동시키거나 차량의 적제함에 실어 이동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황토벽돌을 다수개의 받침부재로 고정하여 차량이나 지게차 등으로 이동시에 발생하는 미동에 의해 벽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여러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토벽돌을 여러개의 받침부재로 고정하기 때문에 황토벽돌 사이에 도포되는 황토가 응고되는 시간이 필요없어 신속하게 건물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단으로 한번에 황토벽돌을 축조해도 황토벽돌 사이에 수분을 함유한 황토를 도포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단으로 적증해도 무너지지 않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6)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포크 리프트의 포트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일측에 2개 이상 형성되는 파렛트와,
    상기한 파렛트의 상부에 놓여지며 다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연결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와,
    몸체의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방음재와,
    상기한 방음재가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몸체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와,
    몸체의 내부와 내부에 고정되는 벽체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의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의 모서리에 코너 마감재를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벽체에 도포되는 제1 몰탈재의 상부에 제2 몰탈재를 도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벽체와 제1 몰탈재 사이에 메쉬를 삽입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몸체의 내부와 외부에 고정되는 벽체는, 몸체를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의 내부와 외부에 제1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내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는 다수개의 가로 받침부재와,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되는 가로 받침부재의 사이에 가로 받침부재와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세로 받침부재와,
    가로 받침부재와 세로 받침부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고정되는 황토벽돌과,
    황토벽돌이 고정되는 세로 받침부재 사이에서 황토벽돌의 상부에 고정되는 보조 받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가로 받침부재와 세로받침부재, 보조 받침부재, 황토벽돌을 에어 못 테커(tacker)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KR10-2000-0036516A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KR10037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516A KR100378361B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KR2020000018591U KR200204049Y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516A KR100378361B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91U Division KR200204049Y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075A true KR20020002075A (ko) 2002-01-09
KR100378361B1 KR100378361B1 (ko) 2003-03-31

Family

ID=196748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516A KR100378361B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KR2020000018591U KR200204049Y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91U KR200204049Y1 (ko) 2000-06-29 2000-06-29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783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338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절첩식 병풍이 장착된 유리벽천을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7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5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회전형 벽체가 구비된 이동주택
CN108951679A (zh) * 2017-05-23 2018-12-07 黄永嘉 活动式基座板
KR20200120248A (ko) * 2019-04-12 2020-10-21 ㈜성심건업 황토 세라믹을 이용한 이동식 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15B1 (ko) 2008-08-08 2011-10-05 김덕규 이동식 황토 집
KR101077743B1 (ko) 2008-12-01 2011-10-27 이관석 친환경 간이 이동식 주택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338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절첩식 병풍이 장착된 유리벽천을 구비한 이동주택
CN107956296A (zh) * 2016-10-14 2018-04-24 李英茂 包括安装有折叠式屏风的玻璃壁泉的移动房屋
KR20180041337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5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회전형 벽체가 구비된 이동주택
CN107956255A (zh) * 2016-10-14 2018-04-24 李英茂 设置有旋转型壁泉的移动房屋
CN108374569A (zh) * 2016-10-14 2018-08-07 李英茂 具备可实现植物生长的屋顶构造的移动住宅
CN107956296B (zh) * 2016-10-14 2019-10-18 李英茂 包括安装有折叠式屏风的玻璃壁泉的移动房屋
CN107956255B (zh) * 2016-10-14 2019-10-18 李英茂 设置有旋转型壁泉的移动房屋
CN108951679A (zh) * 2017-05-23 2018-12-07 黄永嘉 活动式基座板
KR20200120248A (ko) * 2019-04-12 2020-10-21 ㈜성심건업 황토 세라믹을 이용한 이동식 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361B1 (ko) 2003-03-31
KR200204049Y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8555A (en) Attic hatchway insulating cover
KR100378361B1 (ko) 황토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의 벽체구조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HU183339B (en) Variable building construction
US3841036A (en) Trailer deck
US4021976A (en)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buildings
KR102122395B1 (ko) 컨테이너 하우스
JP3972131B2 (ja) 住宅の通気工法
JPH07158164A (ja) 木造建築物
RU10193U1 (ru) Садовый домик
JP2009097224A (ja) 間仕切壁構造体と長手方向の四側面に側溝、上下木口面に十字の嵌合溝を有する柱、およびそれらの施工方法
KR200327306Y1 (ko) 황토를 이용한 주택 건축용 블록
JP4614874B2 (ja) 建物の壁構造
JP2003138663A (ja) 建物の躯体構造
JPS6326513Y2 (ko)
JP2607743B2 (ja) ユニット住宅
KR200321793Y1 (ko) 목조건축물의 조립구조
US4008546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9980069686A (ko) 목조주택건축공법
JP3867661B2 (ja) 吸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RU23173U1 (ru) Встроенное помещение
JP2003313885A (ja) コンクリート壁の防湿構造体
JPH0425843Y2 (ko)
KR950006782Y1 (ko) 주택의 외벽체용 판재
JP3315559B2 (ja) 通気用筋違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