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531A -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531A
KR20020001531A KR1020010033185A KR20010033185A KR20020001531A KR 20020001531 A KR20020001531 A KR 20020001531A KR 1020010033185 A KR1020010033185 A KR 1020010033185A KR 20010033185 A KR20010033185 A KR 20010033185A KR 20020001531 A KR20020001531 A KR 20020001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er
organic fertilizer
producers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아끼오
스미다도시오
쯔다시게노리
Original Assignee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사이 아끼오
Publication of KR2002000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농업생산자 등과 조정관리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회수된 젖은 쓰레기 등을 발효시킴으로써 유기비료 생산자가 비료를 생산하고, 이 비료는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어 이 농업생산자가 이 비료를 사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고, 이 농산물이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되는 리사이클 시스템으로서,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또는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리사이클 가능한 젖은 쓰레기를 유기비료로서 재생시켜,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배출되는 젖은 쓰레기에 관한 문제와 농업생산자 등이 필요로 하는 농산물에 관한 정보 등의 입수가 곤란했던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SUPPORTING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전 삼자사이의 조정관리자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나오는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 유기비료 생산자가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에서 생산하는 비료 및 농업생산자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유통을 조정관리자가 조정함과 동시에, 이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 대하여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또는 조정관리자가 비료생산자에게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쓰레기의 증가에 쓰레기 처리가 뒤쫓아가지 못하는 것에서, 리사이클이 가능한 쓰레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한편 종래로부터 국가, 지방 공공단체 또는 이들의 인증을 받은 기관이 농작물의 품질을 보증하는 제도가 존재하여, 최근 이러한 제도가 서서히 확충되어 가고 있다.
본 발명은, 리사이클이 가능한 젖은 쓰레기를 유기비료로서 재생시킴으로써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경우에 따라 다량으로 배출되는 젖은 쓰레기의 처리에 관한 문제와, 농업생산자에게 자신들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규격의 취득이 반드시 용이하다고 말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전 삼자사이의 조정관리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회수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유기비료 생산자가 비료를 생산하고, 생산된 비료는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고, 이 농업생산자가 생산한 농산물이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되는 리사이클 시스템으로서,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 대하여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또는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이하, 본 발명 (1) 이라고 한다)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 (이하, 젖은 쓰레기 등이라고 한다) 이 회수되고, 회수된 젖은 쓰레기 등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공급되고, 유기비료 생산자가 젖은 쓰레기 등을 발효시켜 얻은 비료는 농업생산자에게 공급되며, 이 농업생산자가 생산한 농산물이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시스템 (이하, 본 발명 (2) 라고 한다), 및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조정관리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게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또는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정보제공 시스템 (이하, 본 발명 (3) 이라고 한다) 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 (1) ∼ (3) (이하, 본 발명이라고 총칭한다) 에 공통인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농업생산자란, 일반 농가, 농업생산법인 등을 들 수 있다. 농산물 구입자는, 일반소비자, 농산물 가공업자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식품가공업자, 식당, 식품판매업자 등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식품가공업자로서 식품공장, 반찬가게 등, 식당으로서 마을의 레스토랑, 호텔내의 레스토랑 등, 식품판매업자로서 슈퍼마켓, 편의점, 백화점, 야채가게, 과일가게, 정육점, 생선가게, 청과물 어시장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비료 생산자는 천연물을 발효 등의 수법에 의해 유기비료를 생산하는 사람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젖은 쓰레기 처리물이란 젖은 쓰레기에 처리를 실시한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젖은 쓰레기의 전(前) 발효물 (농산물 구입자가 배출한 젖은 쓰레기를 소형 발효장치에서 부분 발효시킨 것 등), 젖은 쓰레기를 분쇄 및/또는 압축한 것을 들 수 있다. 운송시의 편의의 관점에서 이러한 젖은 쓰레기 처리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 (2)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2) 에 의하면, (Ⅰ)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나오는 젖은 쓰레기 등이 회수되고, (Ⅱ) 회수된 젖은 쓰레기 등은 유기비료 생산자에 의해 콤포스터(composter) 등에서 필요에 의해 미생물이 첨가되어 발효함으로써 퇴비화되어 비료가 되며, (Ⅲ) 얻어진 비료는 농업생산자, 특히 유기 농산물 또는 특별배양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어, (Ⅳ) 이 농업생산자가 생산한 농산물이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된다고 하는 리사이클 시스템이 확립된다.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및 유기비료 생산자의 사이에 거래에 있어서는 방문 또는 전화 및 팩시밀리에 의한 수주·발주일 수도 있지만, 인터넷이나 퍼스널컴퓨터 통신을 통한 수발주에 의해 고효율로 본 발명의 리사이클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사이클 시스템에 있어서, 조정관리자는 각각의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및 유기비료 생산자와의 거래에 관하여, 젖은 쓰레기 등, 비료 및 농산물에 대한 입하일, 입하량, 입하원, 출하일, 출하량 및/또는 출하처를 포함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리사이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각 거래처와의 입출하를관리함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Ⅰ) ∼ (Ⅳ) 의 각 수단의 진척상황을 컴퓨터로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리사이클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 리사이클정보 데이터베이스 중에 입하원과 출하처의 소재지에 관한 데이터도 함께 지니게 함으로써, 실제의 입하 및 출하작업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입하원 또는 출하처를 돌 수 있도록 된다.
또, 예를 들면 젖은 쓰레기 등의 회수에 있어서는, 각각의 식품가공업자, 식당, 식품판매업자 등의 농산물 구입자로부터의 입하량 (회수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회수빈도를 설정할 수 있다.
회수한 젖은 쓰레기 등을 비료로 하는 수단에 대해서도, 유기비료 생산자인 퇴비화를 실시하는 업자를 미리 등록시켜 두고 이 등록업자에게 발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사이클 시스템은, 조정관리자를 사이에 두고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의 3 자가 폐쇄 시스템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리사이클 시스템 내에서 생산된 농산물 등의 일부를 리사이클 시스템 밖의 제 3 자에게 판매하거나, 본 발명의 리사이클 시스템 밖에서 생산된 비료 등을 제 3 자로부터도 구입할 수 있다. 즉, 비료생산자가 생산한 비료의 농업생산자 외로의 판매, 농업생산자가 생산한 농산물의 본 발명 리사이클 시스템 외의 일반소비자로의 판매, 본 발명 리사이클 시스템에 참가하고 있지않은 자로부터의 농업생산자에 의한 비료의 구입 등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 (3)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3) 에서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 제공하는 정보로는, 농업생산자가 소정 품질을 갖는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라면 어느 것도 한정되지 않지만, 특별히 국가, 지방 공공단체 또는 이들 인증을 받은 기관이 농작물의 품질을 보증하는 규격의 인증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국가 또는 지방 공공단체가 농작물의 품질을 보증하는 규격으로는 농산물의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농산물 또는 특별 배양농산물에 관한 각종 법률, 법령, 가이드라인 등을 들 수 있다.
농업생산자에 제공되는 정보에는, 예를 들면 비료에 관한 정보, 농약에 관한 정보, 농업 자재에 관한 정보, 토양에 관한 정보, 기후에 관한 정보, 농업기술에 관한 정보, 농작물 상장에 관한 정보, 농업기계에 관한 정보, 지금조달에 관한 정보, 법규제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조정관리자는 각 농업생산자에게 상기 정보를 각 농업생산자가 구하는 적절한 정보로 가공,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농업생산자는 자신들의 농업생산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조정관리자는, 각 농업생산자가 농업생산에 필요로 여겨지는 물품 등을 판매하거나 판매의 중개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농업생산에 필요로 여겨지는 물품으로는, 예를 들면 비료 (유기 비료, 질소 비료, 인산 비료, 칼리 비료 등), 농약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등), 농업 자재 (관수 호스, 비닐하우스, 종자 등), 농업 기계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 을 들 수 있다.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로는,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작물에 관한 정보라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농업생산자에게제공되는 정보 중, 국가, 지방 공공단체 또는 이들 인증을 받은 기관이 농산물의 품질을 보증하는 규격의 인정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로는,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라면 어느 것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기비료의 생산방법에 관한 정보,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법령에 의한 규제에 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3) 에 있어서,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및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공급되는 각 정보는 각각 단독으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여 각종 정보를 통일적으로 관리하고 보다 적절한 농작물 생산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제공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유효하게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3) 에는 조정관리자가 각 농업생산자에게 필요로 여겨지는 물품 등을 판매하거나 판매의 중개 등을 수행할 때의 수발주 시스템을 통합할 수도 있어, 통합함으로써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일원적인 정보 관리가 달성되어 본 발명의 유용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또는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은 방문 또는 전화나 팩시밀리로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퍼스널컴퓨터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본 발명 (3) 의 농산물 정보제공 시스템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 (1)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1) 은 본 발명 (2) 과 본 발명 (3) 의 통합 시스템으로 위치지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 (2) 과 본 발명 (3) 은 각각 독립의 시스템으로도 충분히 기능할 수 있지만, 이들을 통합한 본 발명 (1) 은 본 발명 (2) 과 본 발명 (3) 의 유리한 효과를 통합함으로써 종합적인 유기농산물의 생산 시스템으로 보다 상승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즉, 농업생산자는 유기농작물, 감(減)화학비료 농작물 등의 소정 품질의 인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함께, 그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유기비료도 입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누릴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전체가 본 발명 (1) 의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조정관리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젖은 쓰레기가 회수되고, 유기비료 생산자가 회수한 젖은 쓰레기 등을 발효시킴으로써 비료를 얻고, 얻어진 비료는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고, 이 농업생산자가 생산한 농작물은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된다는 리사이클 시스템과,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 대하여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및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농작물 생산 지원 시스템의 전체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중 (2) 로 나타내는 부분은, 본 발명 (2) 의 리사이클 시스템의 개념을나타내는 도로서, 조정관리자의 전제 조정 하, 식당, 슈퍼마켓 등의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회수된 젖은 쓰레기가 유기비료 생산자에 의해 퇴비화되고, 얻어진 비료는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며, 생산된 농작물은 젖은 쓰레기의 회수처인 농산물 구입자에 판매된다는 사이클이 형성된다.
도 1 중 (3) 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본 발명 (3) 의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조정관리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 대하여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및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농산물 정보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로서, 조정관리자에 의해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 등이 수행되어, 농업생산자에 의해 생산되는 농작물의 부가가치가 향상된다.
본 발명 (2) 에 의하면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나오는 젖은 쓰레기 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본 발명 (3) 에 의하면 소정 규격이 부여된 고부가가치의 농작물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 (1) 에 의하면 본 발명 (2) 과 본 발명 (3) 을 통합하여, 농산물 구입자는 소정 규격이 부여된 부가가치가 높은 농작물을 얻을 수 있고, 유기비료 생산자는 안정적으로 유기비료의 원료가 되는 젖은 쓰레기 등을 입수할 수 있으며, 농업생산자는 유기비료를 안정적으로 입수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소정 규격의 농업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상기 3 자 사이의 조정관리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는 상기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회수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을 발효시킴으로써 비료를 생산하고, 상기 비료는 상기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고, 상기 농업생산자는 상기 비료를 사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고, 상기 농산물은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되는 리사이클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정관리자가 상기 농업 생산자에게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조정관리자가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또는 상기 조정관리자가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에게는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2.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상기 3 자 사이의 조정관리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는 상기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회수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을 발효시킴으로써 비료를 생산하고, 상기 비료는 상기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고, 상기 농업생산자는 상기 비료를 사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고, 상기 농산물은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되는 리사이클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정관리자는 상기 농업생산자에게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리자는 각각의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및 유기비료 생산자의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 비료 및 농산물에 대한 입하일, 입하원, 출하일 및/또는 출하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사이클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상기 조정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생산자, 상기 농산물 구입자 및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는 상기 조정관리자가 중개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리사이클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집적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구입자는 식품가공업자, 식당 또는 식품판매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6.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이 회수되고, 회수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공급되며,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가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을 발효시켜 얻은 비료는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고, 상기 농업생산자는 생산한 농산물이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되는 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수단은 조정관리자에 의해 관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생산자, 상기 농산물 구입자 및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에 관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 비료 및 농산물에 대한 입하일, 입하원, 출하일 및/또는 출하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사이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상기 조정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 비료 및 농산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리사이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구입자는 식품가공업자, 식당 또는 식품판매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시스템.
  10.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상기 3 자 사이의 조정관리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게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또는 상기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는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정보제공 시스템.
  11.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상기 3 자 사이의 조정관리자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리자는 상기 농업생산자에게는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정보제공 시스템.
  12. 농업생산자, 농산물 구입자, 유기비료 생산자 및 상기 3 자 사이의 조정관리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 생산자는 상기 농산물 구입자로부터 회수된 젖은 쓰레기 또는 젖은 쓰레기 처리물을 발효시킴으로써 비료를 생산하고, 상기 비료는 상기 농업생산자에게 판매되어 이 농업생산자가 상기 비료를 사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고, 상기 농산물은 상기 농산물 구입자에게 판매되는 리사이클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정관리자가 농업생산자에게 소정 규격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정관리자가 농산물 구입자에게 소정 규격에 적합한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또는 조정관리자가 유기비료 생산자에게 유기비료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생산 지원 방법.
KR1020010033185A 2000-06-21 2001-06-13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1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5961 2000-06-21
JP2001-049822 2001-02-26
JP2000-185961 2001-02-26
JP2001049822 2001-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31A true KR20020001531A (ko) 2002-01-09

Family

ID=3746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185A KR20020001531A (ko) 2000-06-21 2001-06-13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153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05A (ja) * 1993-05-10 1994-11-22 Tokyu Car Corp 廃棄物物流vanシステム
JPH10312419A (ja) * 1997-05-14 1998-11-24 Hitachi Ltd リサイク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11165159A (ja) * 1997-12-05 1999-06-22 Hitachi Ltd 廃棄物処理支援システム
KR20000030318A (ko) * 2000-02-22 2000-06-05 이영선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283577B1 (ko) * 1998-03-26 2001-03-02 김학로 음식물쓰레기및유기성폐기물의퇴비화,사료화방법과속성발효방법
JP2001321760A (ja) * 2000-05-19 2001-11-20 Matsushita Seiko Co Ltd 生ゴミリサイクル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05A (ja) * 1993-05-10 1994-11-22 Tokyu Car Corp 廃棄物物流vanシステム
JPH10312419A (ja) * 1997-05-14 1998-11-24 Hitachi Ltd リサイク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11165159A (ja) * 1997-12-05 1999-06-22 Hitachi Ltd 廃棄物処理支援システム
KR100283577B1 (ko) * 1998-03-26 2001-03-02 김학로 음식물쓰레기및유기성폐기물의퇴비화,사료화방법과속성발효방법
KR20000030318A (ko) * 2000-02-22 2000-06-05 이영선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1321760A (ja) * 2000-05-19 2001-11-20 Matsushita Seiko Co Ltd 生ゴミリサイクル管理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저널(월간폐기물)1998년 1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ghouti et al. Agricultural diversification for the poor guidelines for practitioners
Ozerova et al. The development level and economic efficiency of vegetable production in the Krasnoyarsk region
Alemu et al. Situation and outlook of maize in Ethiopia
Perry et al. Growing discipline through total quality management in a New Zealand horticulture region
Emmanuel Enhancing cassava marketing and processing in Cameroon: drivers, constraints, and prospects of the value chain
KR20020001531A (ko) 농산물 생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ollins et al. The impact of coupled‐consolidation: experiences from the Irish food industry
MacPherson et al. Village technology for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innovation in Tanzania
Islamova et al. The relevance of potato farming in the agricultural economy (on the exampl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Evdokimova Digitalization and automation of the agricultural sector
de Piñeres Externalities in the agricultural export sector and economic growth: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Drechsler et al. Horticultural supply chain network desig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ussema et al. Soybean value chain analysis in Ethiopia: a qualitative study research
Ulisido et al. Analysis of Wheat Value Chain in Denaba Kebele, Dodola Districts West Arsi Zone, Oromia Region, Ethiopia
Mussema et al. Soybean Value Chain Analysis in Ethiopia: A Qualitative Study
JP2002320953A (ja) 農産物生産支援システム
Widowati et al. Food Logistic System Policy in Central Java
JP2002073904A (ja) 一般廃棄物リサイクル支援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一般廃棄物リサイクル方法
Hodges et al. Economic impact of Florida's environmental horticulture industry
Mohammed REVIEW OF FRUIT VALUE CHAIN IN ETHIOPIA
Ravikishorea et al. Frontiers in agricultural marketing: role, challenges and way forward
Imran et al. An economic prognostic study to examine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SMEs of Central Europe during the COVID-19 crisis
Hobbs Agricultural research in the private sector in Africa: The case of Kenya
Wauters et al. The potato value chain in Uganda, its actors, and the status of their business linkages. Research Brief 04
Batov Development of Rural Industrial Enterprises:(The Example of Kabardino-Balka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