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204A -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204A
KR20020001204A KR1020000035573A KR20000035573A KR20020001204A KR 20020001204 A KR20020001204 A KR 20020001204A KR 1020000035573 A KR1020000035573 A KR 1020000035573A KR 20000035573 A KR20000035573 A KR 20000035573A KR 20020001204 A KR20020001204 A KR 2002000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il
annealing furnace
inner diameter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238B1 (ko
Inventor
이재원
김언식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3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2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63Bell-type furnaces
    • C21D9/673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bell-type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63Bell-type furnaces
    • C21D9/667Multi-station furnaces
    • C21D9/67Multi-station furnaces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6Forming or maintaining special atmospheres or vacuum within heating cha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을 코일형태로 2차 소둔처리하는 소둔로에 사용되어지는 슬리브(sleeve)에 관한 것으로, 코일의 소둔작업시에 코일의 하단부가 짓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립의 모서리 평탄도를 배가시켜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둔로내에 코일을 수평으로 장입하기 위한 개선된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코일을 수평으로 장입하여 수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고온 소둔로에서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코일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코일의 내경부에 끼워지고, 중공원통형의 보디구조를 갖추며, 그 내부에는 상기 보디의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다수의 단열 내화재들이 삽입되는 제 1관부재;및 상기 제 1관부재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소둔작업시 상기 제 1관부재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관들을 구비한 제 2관부재;를 포함하는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SLEEVE FOR HOT BATCH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을 코일형태로 2차 소둔처리하는 소둔로에 사용되어지는 슬리브(sleev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코일의 소둔작업시에 코일의 하단부가 짓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립의 모서리 평탄도를 배가시켜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둔로내에 코일을 수평으로 장입하기 위한 개선된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을 열처리하는 소둔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의 내화 축조물로 이루어진 벽체(210)의 내부에 코일(220)을 수직으로 장입하고, 코일(220)을 커버(230)로 씌운 다음, 그 내부를 95-100%의 수소가스로 충진하여 최고온도 1,200℃까지 승온시켜 열처리하게 된다. 여기에서 수직식 소둔로(200)란 코일(220)의 폭방향이 소둔로(200)내에서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와는 다르게 코일(220)의 폭방향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방식은 수평식 소둔로라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둔로(200)는 수소(Hydrogen)를 분위기 가스로 하여 최고 1,200℃의 고온으로 코일(220)을 최소 24내지 최대 136시간에 걸쳐서 소둔처리를 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작업후에 코일제품의 품질 불량을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형 소둔로(200)는 장입 플레이트(240)상에 코일이 수직으로 올려져서 소둔로(200)의 내부로 장입되면, 열처리 후에 코일(220)의 하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짓눌리워짐으로서 변형 손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코일(220)은 후공정에서 이를 되풀기 작업하는 경우에, 해당 하단부측에서 판 붙음부를 형성하여 코일의 일부가 파단되거나, 상기 스트립을 절연 코팅하는 경우, 피복롤(미도시)을 손상시켜 피막상태를 불량하게 함으로써 스트립의 표면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이 스트립의 표면 품질이 열화되는 데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수직형의 구조로 코일을 배치하여 소둔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이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관 형상의 철제 슬리브(250)는 고온 소둔작업시 중앙부가 하부측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슬리브(250) 자체의 구조뿐만 아니라 코일(220)의 형상도 변형시킴으로서 코일(220) 자체의 스크랩 발생율이 크게 되어 실용화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온의 소둔시에 코일 지지력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소둔로내에 코일을 수평으로 장입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직형 고정식 소둔로 내부에 코일을 장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수직형 고정식 소둔로에서 코일의 흘러내림이 발생된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둔로용 슬리브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를 장착하여 수평식 소둔로에 코일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를 외측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관부재 12..... 보디
14..... 내화 단열재 30..... 제 2관부재
32..... 보강관 34..... 제 1슬리브부재
36..... 제 2슬리브부재 40..... 공간
200.... 소둔로 210.... 본체
220.... 코일 230.... 커버
240.... 장입 플레이트 260.... 대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코일을 수평으로 장입하여 수소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는 고온 소둔로에서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코일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코일의 내경부에 끼워지고, 중공원통형의 보디구조를 갖추며, 그 내부에는 상기 보디의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다수의 단열 내화재들이 삽입되는 제 1관부재;및 상기 제 1관부재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소둔작업시 상기 제 1관부재와 코일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관들을 구비한 제 2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1)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210)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코일(220)을 수평으로 장입하여 수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고온 소둔로(200)에서 코일(220)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코일(220)을 지지하되, 고온의 소둔시에 코일(220) 지지력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 및 코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20)을 수평식으로 소둔로(200)의 내부에 배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슬리브(1)는 코일(220)의 하중을 슬리브의 양단(1a)(1b)에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슬리브(1)의 양단(1a)(1b)은 소둔로(200) 내부의 대차(260)의 거치대(265)상에서 지지되어 코일(220)의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원통형의 보디(12)구조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상기 보디(12)의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다수의 단열 내화재(14)들이 삽입되는 제 1관부재(10)를 갖는다.
상기 제 1관부재(10)는 코일(220)의 내경부로 삽입되어 그 외주측에 소둔처리하고자 하는 코일이 위치되는 것으로, 소둔작업시에 코일로부터 전열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단열 내화재(14)들이 상기 보디(1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이들 단열 내화재(14)들은 상기 제 1관부재(10)의 보디(12)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단열 내화재(14)로서는 알루미나 계통의 세라믹 Al2O3,지르코니아 계통의 세라믹 ZrO2, 실리카 계통의 세라믹 SiO2들을 적의 선정하여 상기 제 1관부재(10)의 보디(12) 내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 내화재(14)들은 그 단열특성으로 인하여 열전달 계수를 현저히 저하시켜 상기 제 1관부재(10)의 보디(12)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그 중심 내측으로 향하는 열전도가 어렵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관부재(10)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소둔 작업시 상기 제 1관부재(1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관(32)들을 구비한 제 2관부재(30)를 갖는 바, 상기 제 2관부재(30)는 원통형의 제 1슬리브부재(34)와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 2슬리브부재(36)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슬리브부재(34)(36)의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관(32)들이 배치되는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 제 1관부재(10)의 내경부에는 제 2관부재(30)의 원통형 제 1슬리브부재(34)가 삽입되며, 제 1관부재(10)의 내경부 직경과 제 1슬리브부재(34)의 외경은 대략적으로 일치되며, 제 1관부재(10)내로 제 1슬리브부재(34)가 활주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의 내경으로 삽입되어지는 제 2슬리브부재(36)는 제 1슬리브부재(34)의 내경보다 적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와 제 2슬리브부재(36)사이에는 원형 고리형의 공간(4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40)으로 다수의 보강관(32)들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관(32)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조합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들 다수개의 보강관(32)들은 그들 외경의 총합이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와 제 2슬리브부재(36)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 공간(40)의 중앙 원주에 일치하게 됨으로서, 상기 고리형 공간(40)의 내부로 다수의 보강관(32)들이 삽입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보강관(32)들은 밀착되어 틈새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강관(32)들은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와 제 2슬리브부재(36)에 용접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단순 삽입될 수도 있다. 만일, 용접등으로 결합되는 경우는 보강관(32)과 제 1 및 2슬리브부재(34)(36)사이의 열팽창 차이로 인하여 이들 결합부에서 열응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합관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둔 조건에 따라서 충분히 변경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강관(32)들은 각각 내열 합금강으로 이루어짐으로서, 고온에서 지지내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내열 합금강으로는 니켈(Nickel) 베이스의 합금강이 있으며, 상기 보강관(32)은 각각 원통형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고온에서 양호하게 코일(22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는 상기 보강관(32)을 니켈 베이스의 내열 합금강으로 제작하였을 경우, 코일을 지지하는 능력을 실험하기 위한 일련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강관(32)은 그 재질이 Udimet 500(Nickel Base)로서, E(영 모듈계수)(Young's Modulus)는 161Gpa( 870℃ )이고, 녹는점은 1300-1395℃이며, 열팽창계수는 16.1 X 10(-6)/K(at 870℃)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강관(32)은 길이 1400mm, 내경(Di) 130mm, 외경(Do) 140mm, 두께(t) 5mm 인 것이었고, 대략 5ton의 코일(220)을 지지하는 경우를 설정하였다. 실제로 이러한 보강관(32)은 제 1슬리브부재(34)와 제 2슬리브부재(36)사이에 다수개가 삽입되므로 5 톤 코일의 하중은 분산되지만, 극한 조건을 설정하여 하나의 보강관(32)이 상기 코일(220)을 지지할 수 있는 지를 계산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보강관(32)의 굽힘강도 = E * (πd3t)/8( 여기서 d = (Do + Di)/2 )에 상기 각 수치를 대입하면, 97,222.6 Nm2를 얻는다.
그리고, 폭 1000mm의 5톤 코일을 소둔로에 장입하는 경우, 보강관(32)에 가해지는 분포하중은 5000Kg/1000mm = 49,050N/m이다. 여기서 1kg은 9.81 N이다.
따라서, 양단(1a)(1b)에서의 반발력 Ra = Rb = 2500Kg * (9.81N/1Kg) = 24,525 N 이며, 이들은 보강관(32)의 굽힘강도 내에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리브(1)는 코일(220)을 외주면에 감아서 소둔로(200)의내부로 삽입하고 소둔하는 경우, 고온에서 충분히 코일(220)을 지지할 수 있음으로서 소둔로(200)의 내부에 코일을 수평으로 장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220)의 소둔작업시에 코일을 수평으로 소둔로(200)내에 장입함으로서 코일의 하단부가 짓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립의 모서리 평탄도를 배가시켜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210)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코일(220)을 수평으로 장입하여 수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고온 소둔로(200)에서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코일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코일(200)의 내경부에 끼워지고, 중공 원통형의 보디(12)구조를 갖추며, 그 내부에는 상기 보디(12)의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다수의 단열 내화재(14)들이 삽입되는 제 1관부재(10);및
    상기 제 1관부재(10)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소둔작업시 상기 제 1관부재(10)와 코일(20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관(32)들을 구비한 제 2관부재(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부재(10)는 다수의 단열 내화재(14)들이 상기 보디(1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이들 단열 내화재(14)들은 상기 제 1관부재(10)의 보디(12)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단열 내화재(14)는 알루미나 계통의 세라믹 Al2O3,지르코니아 계통의 세라믹 ZrO2, 실리카 계통의 세라믹 SiO2들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부재(30)는 원통형의 제 1슬리브부재(34)와 상기 제1슬리브부재(34)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 2슬리브부재(36)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슬리브부재(36)의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관(32)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의 내경으로 삽입되어지는 제 2슬리브부재(36)는 제 1슬리브부재(34)의 내경보다 적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와 제 2슬리브부재(36)사이에는 원형 고리형의 공간(4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40)으로 다수의 보강관(32)들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보강관(32)들은 그들 외경의 총합이 상기 제 1슬리브부재(34)와 제 2슬리브부재(36)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 공간(40)의 중앙 원주에 일치하게 됨으로서 상기 고리형 공간(40)의 내부로 다수의 보강관(32)들이 삽입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보강관(32)들은 밀착되어 그들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KR10-2000-0035573A 2000-06-27 2000-06-27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KR10050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573A KR100502238B1 (ko) 2000-06-27 2000-06-27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573A KR100502238B1 (ko) 2000-06-27 2000-06-27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204A true KR20020001204A (ko) 2002-01-09
KR100502238B1 KR100502238B1 (ko) 2005-07-20

Family

ID=1967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573A KR100502238B1 (ko) 2000-06-27 2000-06-27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80A (ko)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열처리 장치
CN116837206A (zh) * 2023-08-03 2023-10-03 无锡晶龙华特电工有限公司 一种取向硅钢连续高温罩式退火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525A (en) * 1980-09-04 1982-03-18 Nippon Steel Corp Winding-up method of hot rolled coil
JPS60141828A (ja) * 1983-12-29 1985-07-26 Kawasaki Steel Corp 薄物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H01127117A (ja) * 1987-11-10 1989-05-19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圧延鋼帯の巻取り方法
JPH01266920A (ja) * 1988-04-19 1989-10-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イル巻き付用スリーブ
JPH06154856A (ja) * 1992-11-20 1994-06-03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巻き取り用ゴムスリーブ
JPH07178453A (ja) * 1993-12-22 1995-07-18 Sumitomo Metal Ind Ltd リール用スリーブ
JPH081239A (ja) * 1994-06-21 1996-01-09 Nippon Steel Corp 金属帯捲取り用ゴム製スリーブ
JPH09206830A (ja) * 1996-01-29 1997-08-12 Nippon Steel Corp 任意変形構造を有するリールマーク防止用ゴムスリーブ
JPH11277139A (ja) * 1998-03-27 1999-10-12 Kawasaki Steel Corp 断熱スリー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80A (ko)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열처리 장치
CN116837206A (zh) * 2023-08-03 2023-10-03 无锡晶龙华特电工有限公司 一种取向硅钢连续高温罩式退火炉
CN116837206B (zh) * 2023-08-03 2024-01-30 无锡晶龙华特电工有限公司 一种取向硅钢连续高温罩式退火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238B1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5789B2 (ja) 縦型電気炉
US41475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coils of strip
US4168013A (en) High temperature insulating container
KR100502238B1 (ko) 고온 소둔로용 슬리브
JP2006257486A (ja) 方向性電磁鋼板の焼鈍方法及び方向性電磁鋼板のバッチ焼鈍用インナーカバー
US4771166A (en) Electric furnace heater mounting
US4544142A (en) Rotary hearth finish annealing furnace
JP2016044322A (ja) 鋼板コイルのバッチ焼鈍方法
JP3628858B2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支持装置
JPS6032114B2 (ja) 冶金用取鍋
JPS5950127A (ja) 鋼板コイルの仕上焼鈍炉
JPH08278001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の取付構造
CN117091398B (zh) 管式感应加热烧结炉
JP4609149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最終仕上焼鈍用冶具
US3378248A (en) Coil support apparatus
US5616297A (en) Annealing base for hood-type annealing furnaces
JP2810428B2 (ja) 制御雰囲気における金属リールの焼なまし用ベル型炉
JPH08278003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の炉内支持構造
JPH04225780A (ja) 竪形炉
JPH08278002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の取付構造
CN108796178B (zh) 取向硅钢退火用套筒以及取向硅钢退火方法
JPS6256935B2 (ko)
JP2003166018A (ja) 方向性電磁鋼板の仕上焼鈍方法
JP2750251B2 (ja) 誘導加熱方法
JP3941209B2 (ja) 焼鈍炉の鋼帯コイル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