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66Y1 -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66Y1
KR200199566Y1 KR2020000012630U KR20000012630U KR200199566Y1 KR 200199566 Y1 KR200199566 Y1 KR 200199566Y1 KR 2020000012630 U KR2020000012630 U KR 2020000012630U KR 20000012630 U KR20000012630 U KR 20000012630U KR 200199566 Y1 KR200199566 Y1 KR 200199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sleeve
outle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근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to KR2020000012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 사용되어지는 유출구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개구부에 장작되어지는 장착부
(10)를 가지고, 장착부(10)로부터 돌출되어서 평탄면 중앙으로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는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관부(20)로 이루어진 유출구에 있어서,상기 돌출관부(20)의 평탄면에 형성된 배출공(21)과 연장되어서 내캡(3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22)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22)의 내측단부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서서이 스며서 배출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구멍(24)들을 가지는 구멍판(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배출공과 연장되는 슬리브를 내측으로 형성함으로서 내캡의 장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중 용기가 넘어져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을 해소하였고; 슬리브상에 구멍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이 서서이 배출되어짐은 물론, 사용중에 용기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아 부주위에 의한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를 꺼꾸로 세웠을때 내용물이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구멍판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분사식 순간 배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출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structure of the outlet for outflowing the case contents}
본 고안은,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 사용되어지는 유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어제품이 충진되어지는 용기의 개구부에 주로 장착되어지는 유출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내용물이 서서이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한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출구는,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10)를 가지고, 장착부로부터 인발되어서 형성된 돌출관부(20)의 평탄면 중앙에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유출구를 액상의 내용물이 충전되어진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부(10)를 결합하여서 장착한후, 용기를 꺼꾸를 세워 돌출관부(20)의 평탄면으로 형성되 배출공(21)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출구는 통상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구멍과 같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를 꺼꾸로 세웠을때, 내용물의 구멍에 바로 도달하여 분사식 순간 배출이 이루어져 내용물이 과다하게 배출되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 내용물의 낭비가 많아 구매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고
, 구조적으로 내캡을 씌울수가 없어 내용물 사용후 용기보관시 용기가 넘어졌을때 내용물이 흘러나오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용기에 충진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통상의 유출구의 돌출관부로 형성된 배출공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슬리브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 내용물이 서서이 배출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구멍들을 가지는 구멍판을 형성한 것으로, 첫째, 배출공과 연장되는 슬리브를 내측으로 형성함으로서 내캡의 장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중 용기가 넘어져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을 해소하였고; 둘째, 슬리브상에 구멍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이 서서이 배출되어짐은 물론, 사용중에 용기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아 부주위에 의한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용기를 꺼꾸로 세웠을때 내용물이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구멍판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분사식 순간 배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출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개구부에 장작되어지는 장착부를 가지고, 장착부로부터 돌출되어서 평탄면의 중앙으로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관부로 이루어진 유출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부의 평탄면에 형성된 배출공과 연장되어서 내캡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의 내측단부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서서이 스며서 배출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구멍들을 가지는 구멍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종래 사용되어지던 유출구의 단면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의 단면 사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착부 20 : 돌출관부
21 : 배출공 22 : 슬리브
23 : 구멍판 24 : 구멍
30 : 내캡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용기의 개구부에 장작되어지는 장착부(10)를 가지고, 장착부(10)로부터 돌출되어서 평탄면 중앙으로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는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관부(20)로 이루어진 유출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부(20)의 평탄면에 형성된 배출공(21)과 연장되어서 내캡(3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22)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22)의 내측단부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서서이 스며서 배출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구멍(24)들을 가지는 구멍판(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의 단면 사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의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가 장착되어진 용기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유출구의 돌출관부(2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21)에 끼워져 있는 내캡(30)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내캡을 분리한 후, 용기를 꺼꾸로 세워 내용물을 배출공(21)을 통해 배출 사용하게 되는데, 배출공(21)으로 배출되어지는 내용물은 배출공(21)과 연장 형성되어진 슬리브(2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판(23)의 구멍들(24)을 통해 서서해 배출되어진다.
한편, 용기를 꺼구로 세웠을때 내용물이 슬리브(22)에 의해 형성된 공간 사이에 먼저 위치한 후, 배출되어지기 때문에, 배출 초기단계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분사배출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내용물의 배출 사용이 완료되어지면, 배출공(21)에 내캡(30)을 끼워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내캡(30)은 배출공(21)과 연장형성되어 있는 슬리브(22)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끼움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는, 배출공과 연장되는 슬리브를 내측으로 형성함으로서 내캡의 장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중 용기가 넘어져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을 해소하였고; 슬리브상에 구멍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이 서서이 배출되어짐은 물론, 사용중에 용기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아 부주위에 의한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를 꺼꾸로 세웠을때 내용물이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구멍판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분사식 순간 배출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출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용기의 개구부에 장작되어지는 장착부(10)를 가지고, 장착부(10)로부터 돌출되어서 평탄면 중앙으로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는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관부(20)로 이루어진 유출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부(20)의 평탄면에 형성된 배출공(21)과 연장되어서 내캡(3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슬리브(22)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22)의 내측단부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서서이 스며서 배출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구멍(24)들을 가지는 구멍판(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KR2020000012630U 2000-05-03 2000-05-03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KR200199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630U KR200199566Y1 (ko) 2000-05-03 2000-05-03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630U KR200199566Y1 (ko) 2000-05-03 2000-05-03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66Y1 true KR200199566Y1 (ko) 2000-10-02

Family

ID=1965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630U KR200199566Y1 (ko) 2000-05-03 2000-05-03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7729B2 (en) Sprayer with changeable volume
ES2192250T3 (es) Cierre dispensador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KR200199566Y1 (ko)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JP2000177767A (ja) 塗布容器
JP3787049B2 (ja) ポンプ付き容器用ストッパー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0356848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0195552Y1 (ko) 액상제품용 이중 배출구형 용기
KR200209781Y1 (ko) 겔 상태의 내용물 배출장치
JPH10147356A (ja) 容器用中栓構造
KR200230169Y1 (ko) 화장수 분사용기의 분사버튼 구조
JPH0811957A (ja) 液体噴出容器
KR200238093Y1 (ko) 샴푸용기의펌프구조
KR100659786B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JPH0940046A (ja) 残ガス排出機構付きのエアゾール式液体噴出容器
KR0126599Y1 (ko)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분무노즐구조
KR20220100298A (ko) 분리형 용기
KR810000401Y1 (ko) 용기내의 액체를 주출할 수 있는 병마개
KR970001373Y1 (ko) 무스통의 무스 분출뚜껑
KR200341619Y1 (ko) 디스펜서용 노즐
KR20040068904A (ko) 펌프디스펜서에 채용되는 캐릭터 및 그 구조
KR200403825Y1 (ko) 배출펌프의 펌프토출구 마개
KR200164778Y1 (ko) 물 토출기
KR19980068979U (ko) 액체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