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298A - 분리형 용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298A
KR20220100298A KR1020210002588A KR20210002588A KR20220100298A KR 20220100298 A KR20220100298 A KR 20220100298A KR 1020210002588 A KR1020210002588 A KR 1020210002588A KR 20210002588 A KR20210002588 A KR 20210002588A KR 20220100298 A KR20220100298 A KR 2022010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present
contents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269B1 (ko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김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원 filed Critical 김도원
Priority to KR1020210002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97Means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304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프노즐과, 용기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감싸도록 용기몸체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부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분리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나 샴푸, 액체 비누 등을 담는 용기는 종류 및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용기는 일반적인 캡과 몸체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몸체 상부에 펌프노즐이 결합되어 펌핑으로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펌프노즐의 경우, 펌프노즐의 노즐부는 몸체의 바닥면까지 길게 형성되나, 점성을 갖는 내용물의 특성상 노즐부의 끝단부보다 내용물의 수위가 다소 높을 때에도 펌핑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정체되기도 하며, 이 경우 잔량을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거나, 샴푸의 경우에는 물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고가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펌프노즐이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제조되는 경우도 있어, 사용자의 눈에는 잔량이 확인되지만 어쩔 수 없이 화장품을 버릴 수밖에 없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용기에 금속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펌프노즐과, 외부로부터 열차단을 목적으로 제작 공정되어 일반적인 플라스틱이 아닌 재활용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이 무분별하게 재활용쓰레기에 섞여 나와 재분류작업을 추가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장된 내용물을 쉽게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용기몸체를 분리시켜 공간활용 및 보관이 용이한 분리형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펌핑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프노즐;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분리형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기몸체는,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잔량표시부와, 상기 하부캡과의 분리를 위한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용기에 의하면, 용기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용기에 의하면, 불필요한 용기몸체를 분리시켜 공간활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을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용기(100)는 용기몸체(200)와, 용기몸체(200) 상측의 제1 개구부(211)에 결합되며 펌핑에 의해 내용물(2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상의 액체용 펌프노즐(10)을 포함된다.
용기몸체(200)는 예컨대 원통형상으로서 상부용기(210)와 하부캡(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용기(210)와 하부캡(220)이 절단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분리부(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용기몸체(200)는 본 실시예에서 샴푸용기와 같은 대용량 용기로 도시하였으나, 저장되는 내용물(20)의 종류나 가격에 따라 용기몸체(200)를 비롯한 펌프노즐(10)은 다양한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부용기(210)의 외측면 일측에는 내용물의 잔량 확인을 위한 잔량표시부(213)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잔량표시부(213)는 몸체용기(200)의 상단부로부터 후술하는 내부용기(300)의 상단 높이까지 최대한 근접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잔량표시부(213)를 통해 용기몸체(20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2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용기(210)와 하부캡(220) 사이에 분리부(230)가 형성된다. 분리부(230)에는 용기몸체(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음부(231)가 형성되며, 이음부(231)를 제외한 부분은 관통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200)의 하측 내부에 내부용기(300)가 내장되며, 내부용기(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용기몸체(200)의 하단부에 하부캡(220)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용기몸체(200)의 하측 내주면에는 분리부(230)로부터 소정 간격 상부에 이격하여 제1 나사산(213)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용기(300) 상단의 제2개구부(310) 둘레를 따라 내부용기(300)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213)과 대응 결합하도록 제2 나사산(313)이 형성된다. 즉, 용기몸체(200)의 하단부 내측에 내부용기(300)가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내부용기(300)의 제2 나사산(313)은 하부캡(220)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용기(300)의 상단에 누설방지를 위한 오링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나사산(213)이 암나사산으로, 제2 나사산(313)이 숫나사산으로 도시되었으나, 제작공정에 따라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사산(313)의 하부에 단턱부(315)가 돌출 형성되는데, 단턱부(315)의 하부 끝단부(315a)는 이음부(231)의 내측과 하부캡(220)의 상단(221)에 밀착 지지된다.
또한, 내부용기(300)의 저면과 하부캡(220) 내부의 바닥면이 맞닿도록 이루어져 외부 충격으로 인한 하부캡(220)의 변형 및/또는 내부용기(3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내부용기(300)의 하단부 외경이 하부캡(2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내부용기(300)의 하단부와 하부캡(200) 사이에 공간부(250)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캡(220)을 회전시켜 이음부(231)를 파단시키면, 상부용기(210)로부터 하부캡(220)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몸체(200)로부터 내부용기(300)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하부캡(220)을 잡고 회전시켜 이음부(231)를 파단시킨 후, 용기몸체(200)의 상부용기(210)로부터 하부캡(220)을 분리한다. 다만, 내용물(20)의 누설 방지를 위해서는, 용기몸체(200)에 저장된 내용물(20)의 수위가 잔량표시부(213)의 최소범위보다 낮을 때 하부캡(220)을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내부용기(300)를 회전시켜 용기몸체(200)로부터 내부용기(300)를 분리한다. 이때, 앞서 분리한 하부캡(220)을 내부용기(300)에 뚜껑으로 덮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내부용기(300)와 하부캡(220)을 포함하는 제2 용기(4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된 상부용기(21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버리고 난 후, 내부용기(300)와 하부캡(220)을 포함하는 제2 용기(400)만 사용함으로써 용기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여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상부용기(210)를 뒤집어 세워 내용물(20)을 리필한 후, 내부용기(300)를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분리형 용기
200 : 용기몸체
210 : 상부용기
220 : 하부캡
230 : 분리부
300 : 내부용기
400 : 제2 용기

Claims (3)

  1.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펌핑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프노즐;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분리형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잔량표시부와, 상기 하부캡과의 분리를 위한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용기.
KR1020210002588A 2021-01-08 2021-01-08 분리형 용기 KR10247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588A KR102476269B1 (ko) 2021-01-08 2021-01-08 분리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588A KR102476269B1 (ko) 2021-01-08 2021-01-08 분리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98A true KR20220100298A (ko) 2022-07-15
KR102476269B1 KR102476269B1 (ko) 2022-12-12

Family

ID=8240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588A KR102476269B1 (ko) 2021-01-08 2021-01-08 분리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2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138A (ko) * 2016-10-19 2018-04-27 권민선 분리가 가능한 2중 샴푸통
WO2018236148A1 (ko) * 2017-06-24 2018-12-27 김선홍 절약형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138A (ko) * 2016-10-19 2018-04-27 권민선 분리가 가능한 2중 샴푸통
WO2018236148A1 (ko) * 2017-06-24 2018-12-27 김선홍 절약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69B1 (ko)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912B2 (ja) 二重容器
US3155281A (en) Container
US7249690B2 (en) Independent off-bottle dispensing closure
US3441179A (en) Mixing container
KR101141669B1 (ko) 분리용기
KR101798133B1 (ko) 리필 화장품 용기
KR20100119253A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US3847295A (en) Vessel and sealing member structures for sparkling wines
KR20220100298A (ko) 분리형 용기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KR200462617Y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CN213058271U (zh) 内容物容器
JP2007145352A (ja) キャップ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JP3830691B2 (ja) 液体収納容器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20100006436U (ko) 액체 저장 용기
KR100830410B1 (ko) 보조 캡
RU86934U1 (ru) Бутылка
JP3874953B2 (ja) 交換用ボトル付き容器
KR200494954Y1 (ko) 약액 도포 용기
JP7111578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203043Y1 (ko) 병 뚜껑
JP2011136719A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