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793Y1 -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793Y1
KR200198793Y1 KR2020000011730U KR20000011730U KR200198793Y1 KR 200198793 Y1 KR200198793 Y1 KR 200198793Y1 KR 2020000011730 U KR2020000011730 U KR 2020000011730U KR 20000011730 U KR20000011730 U KR 20000011730U KR 200198793 Y1 KR200198793 Y1 KR 200198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ox
shaft
low speed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금
Original Assignee
황보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금 filed Critical 황보금
Priority to KR2020000011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방향으로 개구되며 일측면에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는 기어박스(120), 상기 기어박스(120)의 개구 부위를 덮으며 표면으로 상기 이송 회전축(112)과 상기 구동모터(110)가 설치되는 박스덮개(124)로 이루어진 박스부재; 상기 구동모터(110)와 직접 결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돌기(132a)가 돌출되는 주동축(132), 상기 주동축(132)에 슬라이딩되며 내경으로 제 1안내홈(134a)이 형성된 제 1단기어(134)와 제 2안내홈(136a)이 형성된 제 2단기어(136)가 이중 부착되어 이루어진 주동기어(130); 상기 이송 회전축(112)과 직접 결합되는 종동기어(140); 상기 박스덮개(124)의 이면으로 베어링 결합되는 중간축(152)과, 상기 중간축(152)에 설치되는 제 3단기어(154), 제 4단기어(156) 및 제 5단기어(158)가 구비되며, 상기 제 4단기어(156)는 상기 종동기어(140)와 서로 맞물려 회전되게 하는 중간기어(150); 및 상기 주동기어(130)의 상기 제 1단기어(134) 및 상기 제 2단기어(136)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어박스(120)에 설치되는 기어 조정구(160)를 포함한 것으로, 저속 회전시 구동모터에 과도하게 저항값이 전달되어 회전력이 크게 약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LOW SPEED CHANGING APPRATUS FOR PINE-RICE CAKE FORMING MACHINE}
본 고안은 송편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속 변환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어 조정구가 설치된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편 성형작업을 함에 있어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빗는 수동 작업에서 오는 불편 및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 작업으로 성형하기 위한 장치인 송편 성형기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송편 성형기의 대략적인 구성에 있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14121호(1999년 7월 16일자)(고안의 명칭; 송편 성형기의 통콩 주입장치)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송편 성형기의 일측에는 전원 스위치와 제 1스위치 및 제 2스위치 등이 설치된 콘스롤 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기어박스와 이송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구동부재가 설치된다. 기어박스에는 커버의 상면으로 설치되면서 내부로 정속기어부와 감속기어부가 각각 다른 기어비를 갖도록 설치된 다. 이송 회전축은 기어박스에 구동모터와 함께 설치되어 정속기어부로 회전 작동된다. 정속기어부는 구동모터의 하부에 설치된 주동기어와 이송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된 주동기어를 1 : 1의 기어비를 갖고 서로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감속기어부는 제1 기어와 4 : 1의 기어비를 갖고 서로 치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주동기어의 하부로 형성된 제2 기어로 이루어진다.
송편 성형기의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기어박스의 상면으로 설치된 구동모터가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모터의 주동기어는 이송회전축의 종동기어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주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비는 1 : 1로 배열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이송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에 이송회전축과 함께 회전 작동되는 이동구에 의해 고정구 및 환봉이 회전 작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감속기어부에 대한 설명으로, 주동기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2 기어는 혼합회전축에 돌출 형성된 제1 기어와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작동된다. 이때에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에 대한 기어비는 1 : 4로써 결과적으로는 제1 기어가 4회전할 때 제2 기어가 1회전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회전수가 감속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내용물 공급통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인 통콩을 상기 제1,2,3 혼합스크류에 의해 서서히 저어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1스위치와 제 2스위치는 외포재(밀가루 및 쌀가루 반죽물 등)와 내포재(고물, 콩 등)의 양을 조절한다. 다시말해, 각 기어의 회전 속도를 고속 및 저속으로 조절하게 되지만, 이중 제 1스위치 및 제 2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에 큰 저항값을 가하여 저속으로 할 경우, 혼합 회전축 및 이송 회전축은 저속 회전이 가능하지만, 회전력이 크게 떨어져 송편이나 꿀떡과 같은 기타 성형물의 정상작인 제작이 어려웠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저속 회전시 혼합 회전축 및 이송 회전축의 회전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송편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원 스위치와 제 1스위치 및 제 2스위치를 설치한 콘트롤 박스,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정속 또는 감속하는 기어수단 및 상기 기어수단에 의해 정속되고 감속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이송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송편 성형기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개구되며 일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개구 부위를 덮도록 구비되어 표면으로 상기 이송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박스덮개로 이루어진 박스부재; 상기 구동모터와 직접 결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돌기가 돌출되는 주동축, 상기 주동축에 슬라이딩되며 내경으로 제 1안내홈이 형성된 제 1단기어와 제 2안내홈이 형성된 제 2단기어가 이중 부착되어 이루어진 주동기어; 상기 이송 회전축과 직접 결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박스덮개의 이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는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제 3단기어, 제 4단기어 및 제 5단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 4단기어는 상기 종동기어와 서로 맞물려 회전되게 하는 중간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의 상기 제 1단기어 및 상기 제 2단기어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어박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기어 조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기어, 상기 종동기어 및 상기 중간기어는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변환장치가 설치된 송편 성형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 구동부재, 저속변환장치, 혼합부재 및 연동부재를 보인 도면으로, 도 2a는 이송스크류와 구동부재 및 저속변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송스크류와 연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속변환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도 3a는 제 2단기어와 제 4단기어가 맞물렸을 때이고, 도 3b는 제 1단기어와 제 3단기어가 맞물렸을 때이다.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로, 도 4a는 이송스크류가 하강된 상태이고, 도 4b는 이송스크류의 상승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성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절단성형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 도 6a는 성형날을 오므렸을 때이고, 도 6b는 성형날을 펼쳤을 때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내부모터에 의한 절단성형부재의 상,하 이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로, 도 7a는 절단성형부재가 상승했을 때, 도 7b는 절단성형부재가 하강했을 때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송편 성형기에 의해 만들어진 꿀떡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트롤 박스 102 : 전원 스위치
104 : 제 1스위치 106 : 제 2스위치
110 : 구동모터 112 : 이송회전축
112a : 고정홈 120 : 기어박스
122 : 가이드홈 124 : 박스덮개
130 : 주동기어 132 : 주동축
132a : 안내돌기 134 : 제 1단기어
134a : 제 1안내홈 136 : 제 2단기어
136a : 제 2안내홈 140 : 종동기어
150 : 중간기어 152 : 중간축
154 : 제 3단기어 156 : 제 4단기어
158 : 제 5단기어 160 : 기어 조정구
161 : 몸통 162 : 수납실
163 : 제 1받침부 163a : 제 1안착홈부
164 : 작동공 165 : 클램프
166 : 결합홈 167 : 안내공
168 : 작동봉 169 : 제 1스프링
170 : 조절핸들 171 : 제 2받침부
172 : 제 2안착홈부 173 ; 안내봉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8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편 성형기(1)는 몸체(10)의 상부로부터 내용물 공급통(11)과 통로부재(20)를 차례로 배열 설치하고, 상기 통로부재(20)의 일측에는 반죽물 공급통(12)을 설치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첨가된 반죽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통로부재(20) 아래 위치의 상기 몸체(10)에는 연동부재(30)에 의해 반복적으로 승,하강 작동되도록 절단성형부재(40)를 설치하여 상기 반죽물을 절단 성형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도 1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상기 송편 성형기(1)는 커버(50), 콘트롤 박스(100), 저속변환장치, 혼합부재(70), 이송스크류(80) 및 하강부재(90)를 포함한다.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는 내용물 공급통(11)의 개구된 상부가 덮여지며 표면으로 회전공(51)이 관통된다. 내용물 공급통(11)은 일부만이 개구된 상태로 되어 내용물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콘트롤 박스(100)는 커버(50)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고, 콘트롤 박스(100)에는 전원 스위치(102), 제 1스위치(104) 및 제 2스위치(106)를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102)는 구동모터(110)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한다. 제 1스위치(104)와 제 2스위치(106)는 외포제(밀가루 반죽물 등) 및 내포제(고물, 통콩 등)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2a,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저속변환장치는 구동모터(110), 기어박스(120), 박스덮개(124), 주동기어(130), 종동기어(140), 중간기어(150) 및 기어 조정구(160)를 포함한다. 참고로, 제 2스위치(106)는 내포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내부모터(34)와 접속된다.
구동모터(110)는 제 1스위치(104)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된다. 기어박스(120)는 상방향으로 개구되며 일측면에 가이드홈(122)이 형성된다. 박스덮개(124)는 기어박스(120)의 개구된 부위를 덮어주고, 상면에 이송 회전축(112)과 구동모터(110)가 설치된다.
주동기어(130)는 주동축(132), 제 1단기어, 제 2단기어(136)를 포함한다. 주동축(132)은 구동모터(110)와 직접 결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돌기(132a)가 길게 돌출된다. 제 1단기어(134)와 제 2단기어(136)는 서로 면접촉되고, 안내돌기(132a)로 슬라이딩되도록 제 1단기어(134)에는 제 1안내홈(134a)을, 제 2단기어(136)에는 제 2안내홈(136a)을 형성한다.
종동기어(140)는 이송 회전축(112)과 직접 결합하여 함께 회전된다.
중간기어(150)는 중간축(152)과 제 3단기어(154), 제 4단기어(156) 및 제 5단기어(158)가 구비된다. 중간축(152)은 박스덮개(124)의 이면으로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된다. 제 3단기어(154), 제 4단기어(156) 및 제 5단기어(158)는 중간축(152)에 동축적으로 설치된다. 제 4단기어(156)는 종동기어(140)와 직접 맞물려 회전된다.
구동모터(110)의 회전 작동시, 이와 결합된 주동기어(130)의 주동축(132)의 회전과 동시에 제 1단기어(134)와 제 2단기어(136)가 함께 회전한다. 제 2단기어(136)는 중간기어(150)의 제 4단기어(156)와 맞물려 회전하고, 제 4단기어(156)는 종동기어(140)와 맞물려 회전하고, 종동기어(140)와 맞물린 이송 회전축(112)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2단기어(136), 제 4단기어(156) 및 종동기어(140)의 직경은 서로 같기 때문에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정속 회전된다. 제 2단기어(136)와 제 4단기어(156)는 1 : 1의 기어비를 갖도록 한다. 제 2단기어(136)는 제 4단기어(156)와 직접 기어 결합되어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여 정속 회전된다.
기어 조정구(160)는 기어박스(12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몸통(161)과 클램프(165), 작동봉(168) 및 조절핸들(170)을 포함한다.
몸통(161)은 일측면에 수납실(162)을 형성한다. 몸통(161)의 상면에는 제 1안착홈부(163a)가 측면으로 형성된 제 1받침부(163)를 일체로 형성한다. 제 1안착홈부(163a)에는 수납실(162)까지 도달하도록 작동공(164)을 관통한다.
클램프(165)는 일단은 수납실(162)에 끼워져 슬라이딩 안내되고, 타단은 기어박스(120)의 가이드홈(122)을 통해 제 2단기어(136)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결합홈(166)이 형성된다.
작동봉(168)은 작동공(164)에 끼워져 하단이 클램프(165)에 고정된다. 수납실(162)측에 위치된 작동봉(168)의 부위에는 제 1스프링(169)이 끼워진다.
조절핸들(170)은 작동봉(168)의 상단에 고정된다. 하부에는 일측으로 제 2안착홈부(172)가 형성된 제 2받침부(171)를 일체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165)의 표면에는 안내공(167)을 관통하고, 상기 수납실(162)에는 상기 안내공(167)에 끼워지도록 안내봉(173)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안내봉(173)은 클램프(165)가 수납실(162)에서 슬라이딩될 때 안내한다.
상기 이송회전축(112)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ㄴ'자형의 고정홈(112a)을 형성한다.
기어 조정구(160)에 의해 저속 회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조절핸들(170)을 잡아 상측으로 최대한 잡아 당켜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핸들(170)과 일체로 형성된 제 2받침부(171)의 제 2안착홈부(172)는 제 1받침부(163)의 상면에 얹힌다. 이와 동시에, 제 2받침부(171)의 하부로 돌출된 작동봉(168)은 작동공(164)을 따라 상승되고, 그 하단이 고정된 클램프(165)는 수납실(162)내에서 상승된다. 이때, 수납실(162)내의 제 1스프링(169)은 압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램프(165)는 기어박스(120)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상승하면서 선단의 결합홈(166)에 제 2단기어(136)를 끼운 상태에서 상승시킨다. 이에, 제 2단기어(136)는 중간기어(150)의 제 4단기어(156)와 맞물린 상태에 있다가 떨어지는 동시에, 제 1단기어(134)는 중간기어(150)의 제 3단기어(154)와 맞물려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감속 회전한다. 즉, 제 1단기어(134)와 제 3단기어(154)는 1 : 2의 기어비를 갖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부재(70)는 상기 커버(50)의 회전공(51)으로 끼워져 상기 감속기어부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혼합회전축(71)과, 상기 혼합회전축(71)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기어(64a)와, 상기 혼합회전축(7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기어(64a)는 상기 커버(50)의 상면으로 위치되는 반면, 상기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는 상기 커버(50) 이면의 상기 내용물 공급통(11)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혼합스크류(71a)는 상기 혼합회전축(71)의 상단부와 상기 커버(50)의 이면으로 고정된 채 상기 내용물 공급통(11)내에 채워진 내용물이 이동될 때 저절로 저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 혼합스크류(71b)는 상기 제1 혼합스크류(71a)의 바로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는 상부 방향으로 꺽여진 날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내용물 공급통(11)의 상방향을 저어주는 것이고, 상기 제3 혼합스크류(71c)는 상기 제2 혼합스크류(71b)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3 혼합스크류(71c)는 하방으로 꺽여진 날개로써 상기 내용물 공급통(11)내의 하부를 저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스크류(80)는 상기 이송회전축(112)으로부터 커버(50), 혼합 회전축(71), 통로부재(20)로 끼워져 상승, 하강 및 회전 작동되면서 내용물을 아래로 공급한다.
도 2b에서처럼, 상기 하강부재(90)는 상기 연동부재(30)의 수직 이동구(31)에 하단이 결합되면서, 상단은 상기 이송스크류(80)의 환봉(81)을 눌러 승,하강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하강부재(90)는 상기 수직 이동구(31)의 하강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환봉(81)을 강제적으로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날(41)은 상기 절단성형부재(40)로서 첨단 부분에 송편이 아닌 꿀떡(C1)의 성형시 그 표면을 굴곡 성형하면서 반복 절단하도록 상부 성형홈(42)과 하부 성형홈(43) 및 절단날부(4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꿀떡(C1)은 원형의 볼 모양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이 꿀떡(C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 성형홈(42)과 하부 성형홈(43)으로 통과될 때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성형날(41)의 통과 이후에는 상기 절단날부(44)에 의해 절단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에 의한 주동기어(130)의 회전력은 중간기어(150)를 통해 종동기어(140)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는 상기 종동기어(140)는 상기 이송회전축(112)과 함께 이송스크류(8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제1 기어(64a)는 상기 혼합회전축(71)과 함께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에 의한 내용물의 이송량은 상기 이송스크류(80)에 의한 내용물의 이송량 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그 내용물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기어비의 차에 의한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스크류(80)는 하부 외주면으로 내용물의 이송코일(82)이 감겨진 일직선 상의 환봉(81)과, 상기 환봉(81)의 상단부에 제 2스프링(83)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고정구(85)와 이동구(84); 및 상기 고정구(85)의 상면에 위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85)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112a)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돌기(85a)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하강부재(90)는 상기 연동부재(30)의 수직 이동구(31)에 하단이 결합된 수직봉(91)과, 상기 수직봉(91)의 상단부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타단은 상기 환봉(81)에 끼워지는 수평 브라켓(9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도 3a와 도 3b 내지 도 7a와 도 7b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절단성형부재(40)에 있어, 원판덮개(45)로 덮여지고 원형의 받침원판(46)에 얹혀진 회전원판(47)이 회전 자재되도록 한 후 일측변으로 절단날부(44)가 상하로 형성된 다수개의 성형날(41)을 방사형으로 상치하고, 그 성형날(41)의 바깥 끝단은 회전 중심이 되도록 받침원판(46)에 고정 설치하면서, 중앙 부위는 회전원판(47)에 핀(48)으로 고정하여 평면상으로 볼 때 각 성형날(41)의 안쪽 끝단이 오므려지고 펴질 수 있도록 하고, 그 받침원판(46)에는 연결판(49)이 하부로부터 볼팅되어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장공(49a)을 서로 인접되게 관통한다.
상기 연동부재(30)에 있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정방형의 구획 입벽(32)을 돌출 고정하여 안쪽으로 작동실(33)이 형성되게 하고, 그 작동실(33)의 중앙에는 내부모터(34)의 구동력이 주기어(35)와 보조기어(36)로써 전달되도록 선단으로 보조회전축(37a)이 편심되게 돌출된 회전축(37)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회전축(37a)에는 한 쌍의 수평 안내봉(38)을 따라 좌우 안내되면서 상기 장공(49a)에 볼팅 고정된 연결판(49)이 끼워지도록 상부로 고정돌부(39)가 형성된 수평 이동구(84)가 축설되고, 상기 수평 안내봉(38)의 양단에는 구획 입벽(32)으로 양단이 고정 설치된 수직 안내봉(38a)에 끼워져 상하 안내되도록 수직 이동구(31)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수직 이동구(31)의 일측에는 수직봉(91)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수직봉(91)의 상단과 상기 이송스크류(80)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수평 브라켓(92)의 양단을 고정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수평 브라켓(92)의 좌측 단부는 상기 이송스크류(80)의 환봉(81)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로 있고, 우측 단부는 상기 수직봉(91)의 상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콘트롤 박스(100)의 전원 스위치(102)에 의해 송편 성형기(1)를 가동하면, 상기 기어박스(120)의 상면으로 설치된 상기 구동모터(110)가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모터(110)의 제 4단기어(156)는 종동기어(14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은 그대로 종동기어(140)와 축결합된 이송 회전축(12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이송회전축(112)과 함께 회전 작동되는 상기 이동구(84)에 의해 상기 고정구(85) 및 상기 환봉(81)이 회전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콘트롤 박스(100)의 제 1스위치(104)는 구동모터(110)에 저항값을 많고 적게 보내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제 1스위치(104)의 회전을 적게하면 구동모터(110)에 저항값이 낮게 인가되어 고속 회전하고, 제 1스위치(104)의 회전을 많게 하면 구동모터(110)에 저항값이 높게 저속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저속 회전시 저항값이 높아 구동모터(110)의 회전수가 감소되더라도 회전력이 저하된다.
이때, 작업자는 기어 조정구(160)의 조절핸들(170)을 잡아 상승시킨 후 이를 회전시켜 제 2받침부(171)의 제 2안착홈부(172)가 제 2받침부(171)에 얹혀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작동봉(168)의 상승에 따라 클램프(165)가 상승하여 제 4단기어(156)로부터 제 2단기어(136)가 이격되는 한편, 제 1단기어(134)는 제 3단기어(154)와 맞물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단기어(134)와 제 3단기어(154)의 기어비는 1 : 2이므로 구동모터(110)의 회전수가 제 3단기어(154), 즉 중간기어(150)에 감속 전달되고, 그 감속된 회전수는 종동기어(140) 및 이송 회전축(112)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이송 회전축(112)이 저속 회전된다 하더라도, 회전력은 감소되지 않고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속 회전되는 이송 회전축(1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 공급통(11)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인 통콩(S)을 상기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에 의해 서서히 저어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상기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가 위치된 상기 내용물 공급통(11)내에는 비교적 넓은 직경의 공간에서 통콩(S)이 다량으로 채워져 아래로 공급되는 반면, 이송스크류(80)가 위치된 통로부재(20)의 내부는 내용물 공급통(11)에 비해 좁은 직경의 공간에서 통콩(S)이 아래 방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와 이송스크류(80)에 의한 통콩(S)의 이송 작업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의 회전수를 저항값의 차이가 아닌 기어 조정구(160)에 의해 감속시킴에 따라 내용물을 아래 방향으로 서서히 공급하고, 상기 이송스크류(80)의 회전수는 기어 조정구(16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10)와 같은 회전수로 비교적 급격한 회전수를 갖게 함에 따라 상기 통콩(S)이 아래 방향으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2,3 혼합스크류(71a,71b,71c)와 이송스크류(80)의 회전비는 대략 1 : 4의 비율을 갖어야만 상기 내용물이 반죽물에 원활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30)의 수직 이동구(31)가 하강 작동되면서 이와 결합된 상기 하강부재(90)인 수직봉(91)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봉(91)에 결합된 상기 수평 브라켓(92)이 상기 이송스크류(80)의 상기 환봉(81)을 아래로 눌러주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상기 수평 브라켓(92)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86)과 함께 고정구(85)를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동구(84)는 상기 이송회전축(112)에 결합된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환봉(81)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강되면서, 상기 고정구(85)는 상기 환봉(81)과 함께 상기 제 2스프링(83)을 아래 방향으로 밀어 압축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환봉(81)의 하단 부분은 상기 통로부재(20)의 내부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환봉(81)의 하부 끝단은 상기 통로부재(2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환봉(81)은 상부로부터 힘이 가압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고 아래 방향으로만 하강한다.
그리하여, 상기 이송스크류(80)의 환봉(81)의 외주면에 설치된 이송코일(82)을 따라 상기 내용물인 통콩(S)이 하강한 결과, 상기 반죽물 내부의 빈 공간으로 상기 환봉(81)의 하부 끝단이 위치하게 된다.
반면, 상기 연동부재(30)의 수직 이동구(31)가 상승될 때에는 상기 수직봉(91)과 동시에 상기 수평 브라켓(92)이 상승되는 것이고, 앞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 2스프링(83)의 복원력으로 상기 고정구(85)와 함께 상기 환봉(81)이 상승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환봉(81)에는 이송코일(82)이 감겨진 상태에 있고, 상기 이송코일(82)을 따라 상기 내용물 공급통(11)내의 통콩(S)이 채워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환봉(81) 및 고정구(85)는 상승하면서 회전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85)와 상기 수평 브라켓(92) 사이에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86)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고정구(85)가 회전 작동되더라도 회전 동작에 장애를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이송스크류(80)인 환봉(81)이 회전하는 순간, 상기 반죽물의 빈공간에 하부 끝단이 위치된 환봉(81)의 이송코일(82)에 위치되어 있던 콩 등의 통콩(S)이 상기 반죽물의 빈 공간에 위치되고, 이후 상기 환봉(81)이 상기 반죽물의 빈공간으로 빠져 나감과 동시에, 내부에 통콩(S)이 투입된 반죽물은 상기 절단성형부재(40)의 성형날(41)에 의해 성형과 동시에 절단되는 것이다. 이렇게 통콩(S)은 상기 이송스크류(80)의 하강 및 회전에 의해 반죽물 내부로 원활히 공급됨으로써, 통콩(S)의 외부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주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도 8에서와 같이 필요한 경우 송편이 아닌 꿀떡(C1)의 성형시 상기 성형날(41)의 첨단에는 수직 방향의 절단날부(44)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절단날부(44)의 상,하부에는 상부 성형홈(42) 및 하부 성형홈(4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단성형부재(40)를 통과하는 반죽물이 상기 절단날부(44)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성형홈(42)과 하부 성형홈(43)을 통과할 때 반죽물의 상부 및 하부에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에 따르면, 고속 및 중속 회전시에는 콘트롤 박스의 제 1스위치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조정하고, 저속 회전시에는 제 1스위치를 과도하게 회전시켜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키지 않고, 기어 이송구에 의해 기어비가 1 : 2인 제 3단기어에 제 1단기어를 맞물려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토록 함으로써, 저속 회전시 구동모터에 과도하게 저항값이 전달되어 회전력이 크게 약화되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 원하는 성형물인 송편 및 꿀떡 등을 정상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실시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전원 스위치와 제 1스위치 및 제 2스위치를 설치한 콘트롤 박스,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정속 또는 감속하는 기어수단 및 상기 기어수단에 의해 정속되고 감속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이송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송편 성형기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개구되며 일측면에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는 기어박스(120), 상기 기어박스(120)의 개구 부위를 덮도록 구비되어 표면으로 상기 이송 회전축(112)과 상기 구동모터(110)가 설치되는 박스덮개(124)로 이루어진 박스부재;
    상기 구동모터(110)와 직접 결합되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돌기(132a)가 돌출되는 주동축(132), 상기 주동축(132)에 슬라이딩되며 내경으로 제 1안내홈(134a)이 형성된 제 1단기어(134)와 제 2안내홈(136a)이 형성된 제 2단기어(136)가 이중 부착되어 이루어진 주동기어(130);
    상기 이송 회전축(112)과 직접 결합되는 종동기어(140);
    상기 박스덮개(124)의 이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는 중간축(152)과, 상기 중간축(152)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제 3단기어(154), 제 4단기어(156) 및 제 5단기어(158)가 구비되며, 상기 제 4단기어(156)는 상기 종동기어(140)와 서로 맞물려 회전되게 하는 중간기어(150); 및
    상기 주동기어(130)의 상기 제 1단기어(134) 및 상기 제 2단기어(136)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어박스(1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기어 조정구(160)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기어(130), 상기 종동기어(140) 및 상기 중간기어(150)는 상기 기어박스(12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기어(136)와 상기 제 4단기어(156)는 1 : 1의 기어비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기어(134)와 상기 제 3단기어(154)는 1 : 2의 기어비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조정구(160)는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실(162), 상면으로 돌출되어 일측면에 제 1안착홈부(163a)가 형성된 제 1받침부(163), 상기 제 1안착홈부(163a)로부터 상기 수납실(162)까지 수직으로 관통된 작동공(164)이 구비되는 몸통(161);
    일단은 상기 수납실(162)에 슬라이딩 안내되며,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홈(122)을 통해 상기 제 2단기어(136)의 일측으로 끼워지도록 결합홈(166)이 형성되는 클램프(165);
    상기 작동공(164)에 끼워져 하단이 제 1스프링(169)과 함께 상기 클램프(165)에 고정되는 작동봉(168); 및
    상기 작동봉(168)의 상단이 고정되며 일측면으로 제 2안착홈부(172)가 형성된 제 2받침부(171)가 구비된 조절핸들(17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65)의 표면에는 안내공(167)을 관통하고, 상기 수납실(162)에는 상기 안내공(167)에 끼워지도록 안내봉(173)을 수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KR2020000011730U 2000-04-25 2000-04-25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KR200198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30U KR200198793Y1 (ko) 2000-04-25 2000-04-25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30U KR200198793Y1 (ko) 2000-04-25 2000-04-25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793Y1 true KR200198793Y1 (ko) 2000-10-02

Family

ID=1965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30U KR200198793Y1 (ko) 2000-04-25 2000-04-25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54Y1 (ko) * 2015-06-23 2016-09-20 황보금 떡 성형기의 내용물 주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54Y1 (ko) * 2015-06-23 2016-09-20 황보금 떡 성형기의 내용물 주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7722B (zh) 对立式搅拌器所作改进
US4435143A (en) Small blank feeder and tray former
KR200198793Y1 (ko) 송편 성형기의 저속변환장치
KR200166790Y1 (ko) 송편성형기의통콩주입장치
KR200166789Y1 (ko) 송편송형기의통콩주입장치
JP4794044B2 (ja) 複数成分よりなる混合物を処理する装置
CN115644200B (zh) 一种叠加充填装置、成型系统和成型方法
US6623263B2 (en) Powder compacting press with variable frequency drive
KR200166788Y1 (ko) 송편성형기
CN214051258U (zh) 可加热强力搅拌装置
CN217829634U (zh) 一种玻璃胶生产用的多色调色机
US4193753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flower-shaped decorations
CN219505176U (zh) 一种硅胶捏合机螺旋出料装置
JPH0418388Y2 (ko)
CN109910128A (zh) 木质合成板材的冲压成型机
CN220756436U (zh) 一种冰淇淋机
CN220571434U (zh) 多功能压面机
KR19980021194U (ko) 강정재료 혼합장치
CN219563271U (zh) 一种全自动冰淇淋机
CN220343402U (zh) 一种高效型揉面压皮机
CN219515095U (zh) 一种可调节转速的面粉搅拌机
CN208988615U (zh) 一种传动控制结构和杯具
CN215968929U (zh) 一种薄片自动均匀切割机
CN213766179U (zh) 一种模切机
CN218573564U (zh) 一种具有升降倒料功能的橡胶纳米增强剂混合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