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76Y1 -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 Google Patents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76Y1
KR200198076Y1 KR2020000012310U KR20000012310U KR200198076Y1 KR 200198076 Y1 KR200198076 Y1 KR 200198076Y1 KR 2020000012310 U KR2020000012310 U KR 2020000012310U KR 20000012310 U KR20000012310 U KR 20000012310U KR 200198076 Y1 KR200198076 Y1 KR 200198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irectory information
voice message
directo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헌
Original Assignee
김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298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99567A/ko
Application filed by 김성헌 filed Critical 김성헌
Priority to KR2020000012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17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using directory or table look-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의 녹음에 따른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의 저장 상태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음성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여 재생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고, 출력 요구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성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변환되는 음성 메시지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 처리하는 음성 코덱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별도로 접속된 외부 컴퓨터에 있어 미리 편집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를 다운로딩 처리하여 저장 제어하며, 상기 압축 처리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다운로딩되어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를 참조로 저장 및 재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전송로를 형성하는 PC 연결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억세스되며, 입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억세스되며, 상기 다운로딩되는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정보 저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A PORTABLE VOICE MESSAGE RECORDING APPARATUS FOR STORING TO DIRECTORY STRUCTURE A VOICE MESSAGE}
본 고안은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의 녹음에 따른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의 저장 상태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음성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여 재생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는 이전의 테이프 레코더와 달리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하여 음성 메시지 형태로서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녹음 내용의 편집이나,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녹음 및 재생에 있어 사용자가 여러모로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그 외형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어 휴대 또한 간편할 뿐만 아니라, 메모리의 사이즈 및 음성 압축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저장될 수 있는 내용 또한 대용량이 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점을 통해 앞서와 같은 음성 녹음 장치의 보급은 급속화 될 수 있었고, 사용자들 또한 그에 따른 편리함을 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그 편리성 및 이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녹음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함에 시간순서에 따라 일련적으로 저장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메시지를 검색하여 재생함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처음부터 계속하여 재생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 문제이다. 다시 말하면, 녹음된 순서로 음성 메시지의 저장 순서가 결정되고, 재생 및 검색시에 저장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음성을 검색함에 처음부터 끝까지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며 확인할 수밖에 없어 그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는 동시에 시간의 낭비 문제 또한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며, 그러한 저장 상태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음성 메시지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고, 출력 요구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성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변환되는 음성 메시지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 처리하는 음성 코덱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별도로 접속된 외부 컴퓨터에 있어 미리 편집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를 다운로딩 처리하여 저장 제어하며, 상기 압축 처리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다운로딩되어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를 참조로 저장 및 재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전송로를 형성하는 PC 연결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억세스되며, 입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억세스되며, 상기 다운로딩되는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정보 저장부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정보 저장부 및 음성 저장부의 메모리 테이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도 5b,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표시 화면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참조 부호일 지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음성 코덱(CODEC) 20은 마이크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형태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음성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고, 이를 다시 미리 정해진 압축 방식으로 압축 처리한다. 통상 이는 DSP 칩으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출력 요구되는 디지털 형태의 음성 메시지의 압축 상태를 해제하고, 이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서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 저장부 80은 상기 음성 코덱 2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압축된 형태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는 통상 플래시 메모리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음성 저장부의 메모리 테이블 구조는 첨부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서 구현된다.
디렉토리 정보 저장부 90은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디렉토리 정보는 외부 컴퓨터에 의해 미리 편집 및 저장되며,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상기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딩 받아 이를 저장한다. 이의 메모리 테이블은 첨부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서 구현된다.
제어부 10은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디렉토리 정보의 다운로딩 제어, 설정된 디렉토리로의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 제어와 필요한 정보의 표시 제어 등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디렉토리 정보의 다운로딩 제어에 있어서는 다운로딩에 따른 외부 컴퓨터와의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통상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된다.
조작부 40은 사용자 인터페이싱 구성으로,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상기 제어부 10으로 전달한다. 이는 통상 키패드 형태로서 구현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 40을 통해 필요한 명령이나 조작을 행한다.
표시부 30은 상기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녹음 상태, 저장 상태, 전달 상태 등의 표시를 이룬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다운로딩된 디렉토리 정보의 표시를 소정 형태로서 이룬다. 상기 표시 형태는 실제 구현되는 표시화면의 크기 및 표시 정보 처리 능력에 따라 적절하게 실시된다. 이는 액정표시장치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ROM 70은 비휘발성메모리로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 10의 동작 및 제어 프로그램의 저장을 이룬다.
RAM 60은 휘발성메모리로서 구현되어, 상기 제어부 10의 동작 메모리로서 기능 한다. 실제 실시간 재생되는 음성 메시지는 상기 RAM 60의 처리로서 그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PC연결부 50은 유선으로서 상기 디렉토리 정보의 다운로딩에 있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싱을 행한다. 이는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와 유선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통상 병렬 및 직렬 방식으로 디렉토리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유선 연결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실시자의 의도 및 필요에 따라 적외선, 무선신호를 통한 다운로딩 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싱 동작을 무선으로서 행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적외선 인터페이싱 방식으로는 IrDA, 그리고 무선신호 방식으로는 불루투스(Blue Tooth)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210단계의 대기 상태에서, 2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은 구비된 조작부의 소정 키 입력 여부로서 판단된다.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입력이 있는 경우, 213단계에서 외부 컴퓨터와 디렉토리 정보의 데이터 전송로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는 상기 213단계의 동작 이전에 사용자가 미리 외부 컴퓨터를 구동하여 원하는 형태의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한 후 저장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부 컴퓨터에서 디렉토리 다운로딩에 따라 미리 구현된 소정 디렉토리 다운로딩 프로그램의 구동을 행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정 케이블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와 상기 외부 컴퓨터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 즉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와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213단계의 동작은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컴퓨터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로 형성이 이루어짐의 사실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있어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로 다운로딩될 수 있는 상호 동기 상태가 설정됨을 의미한다. 215단계에서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가 휴대용 녹음 음성 장치로 다운로딩 된다. 217단계에서 다운로딩 완료 상태가 확인되면, 219단계에서 다운로딩된 디렉토리 정보를 표시한다. 이는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 될 수 있다. 상기 디렉토리 정보의 표시에 있어, 221단계에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이 있으면 디렉토리 정보의 다운로딩 관련 동작의 종료가 행해진다.
상기 212단계에서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입력이 아닌 경우, 214단계에서 디렉토리 음성 저장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또한 미리 지정된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로서 확인한다. 디렉토리 음성 저장 입력이 있는 경우, 216단계에서 미리 등록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되는 디렉토리 정보는 앞서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동작을 통해 미리 다운로딩되어 저장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의 독출을 통해 표시된다. 이의 표시 상태는 첨부된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218단계에서는 상기 표시된 디렉토리 정보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해당되는 디렉토리 정보의 선택과 그에 따른 확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에 따른 확인 입력이 있는 경우, 220단계에서 상기 확인 입력된 디렉토리 정보를 음성 메시지의 저장 디렉토리로 설정한다. 이는 이후 녹음 저장되는 음성 메시지가 상기 선택 입력된 디렉토리에 매칭되는 음성 저장부의 저장 영역으로 저장되도록 함에 따른 동작이 된다. 222단계에서 음성 녹음 개시에 따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이 있는 경우 224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디렉토리에 매칭되는 음성 저장부의 저장 영역으로 녹음되는 음성 메시지 저장을 제어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렉토리로 녹음되는 음성 메시지의 저장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미리 편집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는 '아이디어', '회의', '강연', '기타' 등으로 그 디렉토리 항목이 분류됨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된 디렉토리의 해당 음성 저장부 저장 영역에 그에 적절한 음성 메시지 저장이 이루어진다. 실 예로, 사용자가 아이디어 관련 음성 메시지 저장을 이루는 경우, 상기 도 2에 있어 도시된 제어 흐름의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 디렉토리를 선택하고, 그 다음 음성 녹음 개시 입력을 행하면, 상기 선택된 디렉토리의 해당 음성 저장부 저장 영역으로 녹음되는 음성 메시지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정보 저장부 및 음성 저장부의 메모리 테이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도 3에 있어 도시된 구조의 디렉토리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테이블 구조도이다.
이를 보면, 디렉토리 정보의 '아이디어' 디렉토리에는 음성 저장부 메모리의 어드레스 '1', '3', '4'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 '1'은 음성 저장부 메모리 어드레스 1번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실제 내용은 녹음된 음성 메시지로서 '아이디어 데이터1'이 된다. 상기 어드레스 '3' 및 '4' 또한 마찬가지로 '아이디어 데이터2', '아이디어 데이터3'이 된다.
이의 저장 상태는 이후 사용자가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함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실 예로 아이디어 관련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아이디어 디렉토리를 선택할 것이며, 아이디어 디렉토리에 해당하는 음성 저장부의 어드레스 '1','3','4'에 해당되는 음성 메시지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 된다. 그리고 디렉토리 항목으로 '회의' 항목, '강연' 항목의 경우 음성 저장부 메모리의 어드레스 '2'와 '5', '6'의 해당 저장 영역이 할당된다. 이때에도 사용자가 회의 및 강연 관련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회의나 강연 디렉토리를 선택할 것이며, 회의나 강연 디렉토리에 해당하는 음성 저장부의 어드레스 '2','5','6'에 해당되는 음성 메시지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의 표시 화면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a의 경우, 디렉토리 다운로딩에 따른 표시화면 상태이며, 도 5b는 디렉토리 음성 저장에 따른 표시화면 상태, 도 5c는 디렉토리 검색에 따른 음성 메시지 재생시의 표시화면 상태를 보여준다.
도 5a에서는 사용자의 다운로딩 입력에 디렉토리 정보가 다운로딩 되어 등록되고, 다운로딩된 디렉토리 정보에 따른 디렉토리 상태가 표시됨을 보여준다.
도 5b에서는 사용자의 디렉토리 음성 저장 입력에 따라 저장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되는 디렉토리 항목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확인 입력을 행하면, 선택된 디렉토리의 해당 음성 저장부 저장 영역으로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가 설정됨의 상태, 그리고 그 상태에서 음성 녹음 개시 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영역으로 녹음되는 음성 메시지가 저장됨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5c에서는 사용자의 재생 입력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가 표시되고, 특정 디렉토리 항목의 선택에 따른 확인 입력이 있으면, 선택된 디렉토리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표시하고, 그 상태에서 원하는 음성 메시지 선택과 그에 따른 확인 입력이 있으면, 해당 음성 메시지를 재생함의 표시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로서, 음성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그러한 저장 상태를 통해 추후 필요한 음성 메시지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생한다.

Claims (4)

  1.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고, 출력 요구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성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변환되는 음성 메시지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 처리하는 음성 코덱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별도로 접속된 외부 컴퓨터에 있어 미리 편집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를 다운로딩 처리하여 저장 제어하며, 상기 압축 처리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다운로딩되어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를 참조로 저장 및 재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전송로를 형성하는 PC 연결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억세스되며, 입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억세스되며, 상기 다운로딩되는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정보 저장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렉토리의 구성 및 편집과 그 결과를 디렉토리 정보로서 저장 등록하며, 상기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로 형성에 따라 상기 저장 등록된 디렉토리 정보를 상기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로 전송 처리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처리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음성 녹음 재생 장치는,
    디렉토리 정보의 다운로딩 상태, 저장된 디렉토리 정보, 디렉토리 검색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 및 재생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 연결부는,
    상기 외부 컴퓨터와 디렉토리 정보 다운로딩 전송로를 무선 신호 및 적외선 형태, 그리고 유선 형태로서 선택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성 녹음 장치.
KR2020000012310U 2000-04-28 2000-04-29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KR200198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310U KR200198076Y1 (ko) 2000-04-28 2000-04-29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81A KR20010099567A (ko) 2000-04-28 2000-04-28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012310U KR200198076Y1 (ko) 2000-04-28 2000-04-29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981A Division KR20010099567A (ko) 2000-04-28 2000-04-28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76Y1 true KR200198076Y1 (ko) 2000-10-02

Family

ID=2663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310U KR200198076Y1 (ko) 2000-04-28 2000-04-29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90A (ko) * 2001-08-22 2003-03-03 주식회사 텔레게이트 차세대 이동 전화기용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90A (ko) * 2001-08-22 2003-03-03 주식회사 텔레게이트 차세대 이동 전화기용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84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producing digital audio data in a mobile terminal
US20120078400A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US20070192370A1 (en) Multi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
KR20090022087A (ko) 외부기기 연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100293158B1 (ko)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mp3 플레이어
US20060089736A1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mobile phone conversation apparatus, music reproduc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7096574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198076Y1 (ko)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US7400905B1 (en) Insertion of sound segments into a voice channel of a communication device
JP2000207874A (ja) 再生装置
KR20010099567A (ko) 디렉토리 구조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대용 음성녹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85863A (ko) 오디오파일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디오파일 편집방법
KR1006751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파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JP3743321B2 (ja) データ編集方法、情報処理装置、サーバ、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525777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배경음원과 외부 입력오디오신호의 믹싱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4343392A (ja) 議事録機能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議事録生成処理方法
JP5099170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3525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 출력 방법
KR200198057Y1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용 음성 녹음 재생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264375Y1 (ko) 빔플러스를 구비하는 보이스 리코더
KR100584164B1 (ko) 메모리형 레코딩 기기의 역레코딩 방법
KR200178254Y1 (ko) 비디오 메일 자판기
JP2005099107A (ja) データ再生装置
JPH0563842A (ja) 通信装置
KR2002006688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