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825Y1 -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 Google Patents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25Y1
KR200197825Y1 KR2019980013654U KR19980013654U KR200197825Y1 KR 200197825 Y1 KR200197825 Y1 KR 200197825Y1 KR 2019980013654 U KR2019980013654 U KR 2019980013654U KR 19980013654 U KR19980013654 U KR 19980013654U KR 200197825 Y1 KR200197825 Y1 KR 200197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xed
folded
shaft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472U (ko
Inventor
유일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석, 그랜틀리 마틴 앤더슨
주식회사브라이택스 풍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그랜틀리 마틴 앤더슨, 주식회사브라이택스 풍정 filed Critical 김재석, 그랜틀리 마틴 앤더슨
Priority to KR2019980013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2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에 관한 것으로, 아웃사이드뷰미러를 상,하 접이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한 상태에서도 후방의 물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 바디의 외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베드(4)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 내측에는 각종 부품이 고정되도록 메인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미러하우징(18)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에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된채 상기 미러하우징의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샤프트(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미러하우징(18)의 메인프레임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구동축에 고정된 제1웜기어(32)와, 상기 제1웜기어(32)에 치차결합된 웜휠(34)과, 상기 웜휠(34)에 일체로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36)와, 상기 제1헬리컬기어(36)에 치차결합된 제2헬리컬기어(38)와, 상기 제2헬리컬기어(38)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기어(40)로 구성된 감속기어군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어군의 제2웜기어(40)에 치차결합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0)에 중심이 끼워져 고정된 클러치기어(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감속기어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미러하우징(18)이 상기 샤프트(20)를 중심축으로하여 자동차의 높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하 접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Description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본 고안은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웃사이드뷰미러를 높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하 접이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한 상태에서도 후방의 물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필요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뷰미러는 주행중 운전자가 자동차 후방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웃사이드뷰미러는 통상 전동식 또는 수동으로 자동차의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접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주차시나 수출을 위한 선적시 차량의 적하면적을 최소로 하고 주행시 외부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아웃사이드뷰미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사이드뷰미러는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4-26273"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동식 사이드뷰미러의 주요 구조는 미러하우징과, 상기 미러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모터 및 이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웜기어와, 상기 윔기어에 치합된 웜휠 및 이 웜휠과 일체로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와, 상기 제1헬리컬기어와 치합된 제2헬리컬기어와, 상기 제2헬리컬기어에 결합된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미러하우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웜휠과 일체로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는 취부부에 안착되어 있고, 제2헬리컬기어는 플랜지부재에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아웃사이드뷰미러의 작동은 모터의 동력이 그 구동축에 형성된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된 웜휠 및 제1헬리컬기어, 상기 제1헬리컬기어와 치합된 제2헬리컬기어, 상기 제2헬리컬기어에 결합된 회전중심축의 순서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의 일단이 고정된 미러하우징이 자동차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 각도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및 작동을 하는 종래의 사이드뷰미러는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운행중 접이를 했을 경우 후방의 물체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아웃사이드뷰미러를 높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하 접이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한 상태에서도 후방의 물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요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의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의 감속기어군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의 작동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 ; 베이스플레이트 4 ; 베드
6 ; 요홈 8 ; 볼트
12 ; 감속기어군 14 ; 메인프레임
18 ; 미러하우징 20 ; 샤프트
24 ; 프레임커버A 26 ; 프레임커버B
28 ; 씰커버 30 ; 모터
32 ; 제1웜기어 34 ; 웜휠
36 ; 제1헬리컬기어 38 ; 제2헬리컬기어
40 ; 제2웜기어 42 ; 클러치기어
44 ; 캐치플레이트 46 ; 스프링
48 ; 와셔 플레이트 50 ; 후크 플레이트
100 ; 사이드뷰미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는 자동차 바디의 외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베드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베드 내측에는 각종 부품이 고정되도록 메인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미러하우징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베드에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된 채 상기 미러하우징의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미러하우징의 메인프레임에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치차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에 일체로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와, 상기 제1헬리컬기어에 치차결합된 제2헬리컬기어와, 상기 제2헬리컬기어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기어로 구성된 감속기어군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어군의 제2웜기어에 치차결합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중심이 끼워져 고정된 클러치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감속기어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미러하우징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축으로하여 자동차의 높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하 접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100)는 자동차의 바디 또는 도어의 외측면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에 아웃사이드뷰미러(100)의 한 구성요소인 미러하우징(18)이 샤프트(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4)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일단에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하며 상기 베드(4)에 수직으로 샤프트(20)가 고정되어 있음으로서 미러하우징(18)이 자동차의 높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하접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바디의 외부 또는 도어의 외측면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베드(4)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 내측에는 각종 부품이 고정되거나 설치되도록 메인프레임(14)이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미러하우징(18)이 결합되어 있다. 베드(4)의 일면에는 샤프트(20)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20)는 메인프레임(14)을 관통하여 미러하우징(18)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러하우징(18)의 메인프레임(14)에는 감속기어군(100)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를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프레임(14)의 일측에는 프레임커버A(24)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프레임커버A(24)에는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30)의 구동축에는 제1웜기어(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웜기어(32)에는 웜휠(34)이 치합되어 있으며 웜휠(34)에는 일체로 제1헬리컬기어(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헬리컬기어(36)에는 제2헬리컬기어(38)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헬리컬기어(38)에는 또한 제2웜기어(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웜기어(40)는 또한 클러치기어(42)에 치합되어 있으며 이 클러치기어(42)는 그 중심이 상기한 샤프트(2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모터(30)의 작동시 그 제2웜기어(40)가 상기 클러치기어(42)를 공전운동함으로서 결국 메인프레임(14) 및 미러하우징(18)이 자동차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접이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커버A(24)는 볼트(24a)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커버A(24)의 일측에는 프레임커버B(26)가 볼트(26a)에 의해 고정됨으로서 상기 웜휠(34), 제1헬리컬기어(36), 제2웜기어(40), 제2헬리컬기어(38)가 이탈되지 않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버A(24), 프레임커버B(26) 및 샤프트(20)의 외측에는 씰커버(28)가 위치되어 메인프레임(14)에 결합됨으로서 각종 기어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기어(42)의 일측에는 클러치기어(42)가 샤프트(2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토록 캐치플레이트(44), 스프링(46), 고정링(48)등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기 상기 메인프레임(14), 미러하우징(18) 및 감속기어군(100)이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접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100)의 작동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중 아웃사이드뷰미러(100)를 자동차 높이에 대하여 상, 하로 접이하기 위해 모터(30)에 연결된 소정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면 프레임커버A(24)에 결합된 모터(30)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모터(30)의 구동축에 일체로 형성된 제1웜기어(3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웜기어(32)에 치합된 웜휠(34)이 감속되어 회전하고 또한 이와 일체로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36)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헬리컬기어(36)에 치합된 제2헬리컬기어(38)가 회전하게 되며 또한 이와 일체로 형성된 제2웜기어(4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웜기어(40)에는 클러치기어(42)가 치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2웜기어(40)는 자전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클러치기어(42)주위를 공전운동하게 됨으로서 결국 메인프레임(14) 및 미러하우징(18)이 상기 클러치기어(42) 또는 이에 고정된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0)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에 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메인프레임(14) 및 미러하우징(18)이 자동차의 높이에 대하여 상,하로 접이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는 자동차의 높이 방향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운행중 접이를 했을 경우에도 후방의 물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 구성상 목적하는 감속비를 얻기 위해서 모터의 구동축에 일체로 형성된 제1웜기어 및 이와 결합되는 각종 기어의 갯수가 종래기술보다 적고 또한 잇수 및 외경이 작음으로서 가공이 용이하고 동시에 부품수가 적어짐으로서 조립성이 양호하고 각종 기어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짐으로서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바디의 외부에 자동차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베드(4)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 내측에는 각종 부품이 고정되도록 메인프레임(14)이 형성되어 있는 미러하우징(18)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베드(4)에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된채 상기 미러하우징의 메인프레임(14)을 관통하여 샤프트(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미러하우징(18)의 메인프레임(14)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구동축에 고정된 제1웜기어(32)와, 상기 제1웜기어(32)에 치차결합된 웜휠(34)과, 상기 웜휠(34)에 일체로 형성된 제1헬리컬기어(36)와, 상기 제1헬리컬기어(36)에 치차결합된 제2헬리컬기어(38)와, 상기 제2헬리컬기어(38)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기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감속기어군(10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어군(100)의 제2웜기어(40)에 치차결합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0)에 중심이 끼워져 고정된 클러치기어(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감속기어군(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미러하우징(18)이 상기 샤프트(20)를 중심축으로하여 자동차의 높이와 같은 방향으로 상하 접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KR2019980013654U 1998-07-24 1998-07-24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KR200197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54U KR200197825Y1 (ko) 1998-07-24 1998-07-24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54U KR200197825Y1 (ko) 1998-07-24 1998-07-24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72U KR20000003472U (ko) 2000-02-15
KR200197825Y1 true KR200197825Y1 (ko) 2000-11-01

Family

ID=1953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654U KR200197825Y1 (ko) 1998-07-24 1998-07-24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8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8B1 (ko) 2008-07-31 2009-02-06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접이식 델리네이터
CN108407721B (zh) * 2018-01-29 2024-02-06 上海干巷车镜实业有限公司 一种外后视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72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826B2 (en) Power retractable rocker board
US6811270B2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EP0587994B1 (en) Electrically powered foldable oute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US7008067B2 (en) Electrically operable pivoting actuator for door mirror of motor vehicle
US11479179B2 (en) Camera mirror assembly for vehicle
KR200197825Y1 (ko) 상하접이가 가능한 전동식 아웃사이드뷰미러
KR100976923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US20070063503A1 (en) Device For Mounting A Module On The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KR10260102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0149681Y1 (ko) 차량용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미러의 감속장치
KR100477556B1 (ko) 자동차 외부미러의 폴딩 유니트
CN216994116U (zh) 单机双折叠后视镜运行机构
KR200412006Y1 (ko) 전동접이식 백미러용 구동장치
JP4223691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9980052458U (ko) 차량용 스피커 팝업장치
KR102613408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CN219749670U (zh) 一种可旋转伸缩的后视镜
CN215474819U (zh) 一种卡车后视镜折叠器
JPH0536255B2 (ko)
JPS61115748A (ja) 電動可倒式ドアミラ−
KR19980026083U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리어 미러의 자동 절첩구조
KR19980045136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KR200412005Y1 (ko) 전동접이식 백미러용 구동장치
JP2000344020A (ja) 可動部を有する電子機器
KR100305557B1 (ko) 절곡형가스발생부재를갖는시트벨트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