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755Y1 -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755Y1
KR200197755Y1 KR2020000011733U KR20000011733U KR200197755Y1 KR 200197755 Y1 KR200197755 Y1 KR 200197755Y1 KR 2020000011733 U KR2020000011733 U KR 2020000011733U KR 20000011733 U KR20000011733 U KR 20000011733U KR 200197755 Y1 KR200197755 Y1 KR 200197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late
rail
lower rubber
railroad cross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철
Original Assignee
신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철 filed Critical 신기철
Priority to KR2020000011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4Pavings for railroad level-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와 도로가 교차하는 철도건널목에 설치되어 차량이 원활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보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무보판을 상하 다단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교체시 상부고무판만을 교체함으로써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교체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Setting Structure of Prefabric Rubber Panel on the Railroad Crossing}
본 고안은 철도와 도로가 교차하는 철도건널목에 설치되어 차량이 원활하게 지나갈 수 하는 것으로, 특히, 상부판과 하부판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교체시 상부판만 교체시켜 줌으로써 원자재 절감은 물론 교체 작업시간을 기대할 수 있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도건널목의 보판설치구조로서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5-4900호 및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4863호를 통하여 공지된 바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5-4900호에는 콘크리트보호벽 사이의 도상은 콘크리트도상으로 하고 이의 상부면에는 탄성패드와 하부보판을 순차적으로 중첩하며 그 위에는 기존의 레일을 설치하되 레일과 레일 사이 및 레일과 콘크리트 보호벽 사이에는 도상 길이와 일치되게 상부보판과 측면보판을 연속설치하고, 요설부에는 지지판을 삽입설치하며 저판은 각각의 공간부를 이용 고정판과 보강판 사이에 끼워 고정설치하는 한편 상부보판의 연접면과 측면보판의 연접면은 레일의 하측 지지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별도의 체결장치나 부품없이 레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열차나 자동차로부터 받는 모든 하중을 도상전체에 고루 분산시켜 줌으로써 구성품이 이완되거나 상부 및 측면보판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므로 상부 및 측면보판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해체작업을 할 때에도 별도의 체결부품들을 사용하지 않고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해체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것은 금속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지니갈 때 소음이 심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부품들이 적다고 하나 하부보판, 상부보판, 고정판, 보강판, 지지판 탄성패드 등 비교적 부품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탄성패드 및 하부보판이 레일 밑에 설치되므로 설치 및 해체시 또는 개보수시에 레일을 반드시 철거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4863호에서는 상기한 단점들을 어느 정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침목 상에 기차가 지나갈 수 있는 거리를 두고 레일이 설치된 철도 상에 건널목을 형성하는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로서 건널목이 설치된 레일 사이와 상기 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고무보판과, 상기 고무보판에 마주보는 양측의 침목상에 체결되고 상기 고무보판에 마주보는 양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고무보판을 고정하는 고무보판 고정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한 종래 것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재로 되는 복수개의 고무보판이 설치되므로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시 또는 개보수시에 레일을 철거하지 아니하고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것은 고무재로 만들기 때문에 자동차가 닿는 상면이 닳을 수 있다. 상면이 닳으면 고무보판을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데, 교체시 고무보판을 통체로 모두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것은 교체시 고무보판 전체를 교체하여 주어야 하므로 원자재의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고무보판이 통체로 만들어지므로 단위무게(300kg)가 무거워 취급이 어려워 대형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교체 작업비용이 증가되며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시 차량을 통제하는 시간이 길어져 교통체증 등의 불편한 점이 따른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가 지나가면서 접촉되는 상면이 닳아 교체할 시 닳은 상면 부분만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가 지나갈 때 자체내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판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또는 개보수할 때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보판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1 'A'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1 'B'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1 'B'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1 'B'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측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레일 11:웨브
20:PC레일지지대 30:하부고무판
40:제1체결부 41,47,61:볼트
42,62:탭 43:고무재
44:앙카볼트 45,48:너트
46:브라켓 46a:플랜지
50:상부고무판 51:양측판
51a:바퀴홈 52:중간판
53:외측판 60:제2체결부
g:요철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는 고무판을 상하 다단 분리형으로 설치하여 교체시 상부고무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레일(10)을 지지하고 그 레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PC레일지지대(20)와, 상기 PC레일지지대(20) 상부에 지지되고 레일(10)의 절반높이까지 설치되며 레일(10)의 웨브(11)의 측면에 밀착되는 하부고무판(30)과, 상기 하부고무판(30)을 상기 PC레일지지대(20)에 체결시켜 주는 제1체결부(40)와, 상기 하부고무판(30) 상면에 레일(10)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되고 레일(10)의 내측으로 열차 바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바퀴홈(51a)을 형성하는 상부고무판(50)과, 상기 상부고무판(50)을 상기 하부고무판(30)에 탭볼트로 체결시켜 주는 제2체결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PC레일지지대(20)는 목재로된 기존의 침목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체결부(40)(60)를 견고하게 체결시키기 위해서 기성콘크리트(Precast Concrete)로 만든다. 체결구조에 따라 PC레일지지대(20)는 3종류의 형태를 갖는다. 도3에서와 같이 탭(42)과 충격흡수재인 고무재(43)가 삽입된 것이 있고, 도4에서와 같이 앙카볼트(44)가 삽입된 것이 있으며, 도5에서와 같이 기존의 침목형태를 갖는 레일지지대가 있다.
하부고무판(30) 및 상부고무판(50)들은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 고무재로 만든 것이고, 도1에서와 같이, 상호 접착되는 면에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톱니모양의 요철(g)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결합시킨다. 이는 상,하고무판들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자동차가 지나 갈때 체결부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켜 준다.
도1에서와 같이, 하부고무판(30)은 제1체결부(40)로 PC레일지지대(20)에 체결되고, 레일(10)의 양외측에는 각기 1장씩 설치되어 바닥콘크리트에 지지되거나, 제1체결부(40)로 체결할 수도 있다. 하부고무판(30)은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해서 폐고무 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하부고무판(30)은 특별한 문제가 없는한 교체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설치해 두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상부고무판(50)은 레일(10) 사이에는 그 레일에 밀착되는 양측판(51)과, 가운데 단턱으로 결합되는 중간판(52) 및 레일(10)의 양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판(53)으로 설치되어 각기 제2체결부(60)로 하부고무판(30)에 체결된다. 양측판(51)에는 기차바퀴가 통과할 있도록 레일(10)의 플랜지 내측 하부로 바퀴홈(5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고무판(50)의 상면에 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도 있다. 이 같은 상부고무판(50)은 자동차 타이어가 직접 접착되는 구조부이므로 오래 사용하면 닳게 되므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교체시 하부고무판(30)은 반영구적으로 설치해 두고 상부고무판(50)만을 분리하여 교체시켜 주게 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원자재 등이 종래에 비하여 절반 이상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을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하부고무판(30)을 제1체결부(40)로 PC레일지지대(20)에 체결하고, 상부고무판(50)을 제2체결부(60)로 하부고무판(30)에 체결하되, 레일(10) 사이에는 양측판(51)을 먼저 설치한 후 중간판(52)을 설치하면 된다.
체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부고무판(30)과 상부고무판(50)간을 체결시켜 주는 제2체결구조부(60)는 도2에서와 같이, 하부고무판(30)에 그 내주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금속재의 탭(62)을 삽입시키고 상부고무판(50)에는 볼트홈을 형성하여 볼트(61)로 체결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고무판(30)과 PC레일지지대(20)를 제1체결부(40)로 체결하는 것은 크게 3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는 도3에서와 같이, PC레일지지대(20)에 충격흡수재인 고무재(43)와 금속재인 탭(42)을 삽입시키고 하부고무판(30)에는 볼트홈을 형성하여 볼트(41)로 체결한 것이다.
둘째는, 도4에서와 같이, PC레일지지대(20)에 미리 앙카볼트(44)를 형성시키고 하부고무판(30)에는 볼트홈 및 너트홈을 형성하여 앙카볼트(44)를 끼운후 너트(45)로 체결한 것이다.
셋째는, 도5에서와 같이, 레일지지대(20)를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지지대(20) 하부에서 브라켓(46)으로 감싸서 그 브라켓(46)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46a)에 볼트(47) 및 너트(48)로 하부고무판(30)을 체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는 고무된 하부고무판(30)과 상부고무판(50)을 조립 가능하게 하여 하부고무판(30)은 제1체결부(40)로 PC레일지지대(20)에 체결시키고, 상부고무판(50)은 제2체결부(60)로 하부고무판(30)에 체결되는 다단 분리형으로써, 자동차가 지나가면서 접촉되는 상면이 닳아 교체할 시 상부고무판(50)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상,하부고무판(30)(50)을 고무로 만든 제품이므로 차량이 지나갈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구조부가 상,하부고무판 및 체결부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구성요소의 수가 적고 이에 따라 설치 해체작업도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레일(10)을 지지하고 그 레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PC레일지지대(20)와, 상기 PC레일지지대(20) 상부에 지지되고 레일(10)의 절반높이까지 설치되며 레일(10)의 웨브(11)의 측면에 밀착되는 하부고무판(30)과, 상기 하부고무판(30)을 상기 PC레일지지대(20)에 체결시켜 주는 제1체결부(40)와, 상기 하부고무판(30) 상면에 레일(10)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되고 레일(10)의 내측으로 열차 바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바퀴홈(51a)을 형성하는 상부고무판(50)과, 상기 상부고무판(50)을 상기 하부고무판(30)에 볼트로 체결시켜 주는 제2체결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하부고무판(30)과 상부고무판(50)간의 상호 접착되는 면에 톱니모양의 요철(g) 형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40)는 PC레일지지대(20)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절연재로 사용되는 수지조성물(43)과 금속재인 탭(42)을 삽입시키고 하부고무판(30)에는 볼트홈을 형성하여 볼트(41)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40)는 PC레일지지대(20)에 미리 앙카된 앙카볼트(44)를 하부고무판(30)에 끼운후 너트(45)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40)는 레일지지대(20) 하부에서 브라켓(46)으로 감싸서 그 브라켓(46)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46a)에 볼트(47) 및 너트(48)로 하부고무판(30)을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KR2020000011733U 2000-04-25 2000-04-25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KR200197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33U KR200197755Y1 (ko) 2000-04-25 2000-04-25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33U KR200197755Y1 (ko) 2000-04-25 2000-04-25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755Y1 true KR200197755Y1 (ko) 2000-09-15

Family

ID=1965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33U KR200197755Y1 (ko) 2000-04-25 2000-04-25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5482B1 (fr) * 2014-04-15 2019-03-13 Etablissements Simonis S. Assemblage d'elements de construction pour un passage a niveau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5482B1 (fr) * 2014-04-15 2019-03-13 Etablissements Simonis S. Assemblage d'elements de construction pour un passage a nivea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69865U (zh) 轨道弹性固定装置
CN103088723A (zh) 轨道弹性固定装置
US6079630A (en) Railway grade cro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3088727B (zh) 一种轨道抗偏摆定距装置
KR200197755Y1 (ko)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CN107805977A (zh) 用于无砟轨道的弹性套靴和弹性垫板组件和无砟轨道
CN202000222U (zh) 一种纵梁式轨枕系统
CN114182580A (zh) 一种可拆卸式铁路轨道路面结构
KR100844965B1 (ko) 레일 지지 구조
KR20020090845A (ko) 궤도 방진장치
RU2682156C1 (ru) Ремонт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анкер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арс и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анкерного скрепления
CZ145497A3 (en) Track
KR100396349B1 (ko) 철도 레일 받침
CN104264534A (zh) 梯形轨枕
JP2887720B2 (ja) 踏切舗装板
KR100593194B1 (ko) 합성 수지를 이용한 철도 침목
CN206692974U (zh) 一种可拆卸铁路平交道口板支撑结构
KR100349055B1 (ko)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KR200168731Y1 (ko)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KR19990064863A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KR950004900Y1 (ko) 철도건널목의 조립식 보판
KR100389562B1 (ko) 철도 분기 구간에 사용되는 레일 가조립장치 및 그 방법
EP1196658A1 (en) Track slab for a rail track, and method for attaching it
RU2805596C1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CN211872415U (zh) 轨道结构及铁路钢桁梁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