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713Y1 - 필름 수정대 - Google Patents

필름 수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713Y1
KR200197713Y1 KR2020000011336U KR20000011336U KR200197713Y1 KR 200197713 Y1 KR200197713 Y1 KR 200197713Y1 KR 2020000011336 U KR2020000011336 U KR 2020000011336U KR 20000011336 U KR20000011336 U KR 20000011336U KR 200197713 Y1 KR200197713 Y1 KR 200197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film
central
back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진
Original Assignee
신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봉진 filed Critical 신봉진
Priority to KR2020000011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함체(1)내에 반사경(10)(10')을 부착한 반사대(9)(9')와 형광램프(11)를 장착하고 상면체(2)에는 설합(3)과 돌출면(5)을 구성한 경사판(4)과 중앙통공(6)을 형성하고 이면의 지지판(7)(8)에는 스위치(15)(16), 진동조절기(17), 광조절기(18)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한 다음 상단부에는 협지대(12)(12')로서 확대경(13)(14)을 장착하며, 하단 후측에는 팔받침(19)을 형성한 후 중앙통공(6)에 주역턱(20)을 일체로한 내통(21)을 반투명판(22)을 단부에 부착하여 회전용과 진동용스프링(23)(24)을 구성한 후 투시공(26)이 구성된 압지판(25)을 회전탄성판(27)(28)으로 탄지하고 턱(20) 주연면과 반투명판(22)과의 거리(K)를 4.5∼5cm 간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필름수정대

Description

필름 수정대{.}
본 고안은 사진을 촬영한 후 원판 필름에 찍혀진 인물 등의 형상을 수정할 때 사용하는 수정 판의 조명 거리를 수정하여 대전기, 정전기 등의 발생으로 인한 필름에 먼지나 오물이 부착되어도 필름에 수정하고자 하는 부위를 혼동시키지 않도록 선명하게 투시되어 보이게 함으로서 필름 수정이 용이하도록 개량함에 목적이 있는 필름 수정 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경사판에 통공을 뚫고 반투명 판을 부착한 뒤에 램프를 켜고 반투명판 위에 필름을 놓고 한 손으로 필름을 잡은 상태에서 수정을 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수정 작업을 할 수 없었으며, 이것을 개량시켜서 진보, 발전시킨 것으로서는 외국에서 상품화되고 있는 수정대가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중앙공에 1.5cm 정도의 깊이의 구멍에다가 반투명 판을 부착한 후 필름을 끼워서 수정공 위에 압지토록하여 전원 동작으로 약간의 진동을 가하면서 수정하거나, 회전탄성판을 돌려서 회전시켜 가면서 수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구성한 것으로서 단지, 반투명판을 통하여 투시되는 광선이 필름을 끼운 위치에서 볼 때, 먼지나 오물 등이 부착되었을 경우 상당히 큰 그림자로 투시되어 수정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을 뿐 아니라 선명하게 비춰지지 않아서 필름 수정 작업을 정확, 신속하게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 이유는 반투명판과 필름 접속 면과의 거리가 1.5cm의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이였으며, 지금까지 그 이유를 알 수 없었으며 문제점이 위와 같이 있었으나 그대로 사용되어 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및 보완하고자 장기간 동안 각종 실험과 연구를 거듭한 결과, 중앙공의 반투명판과 필름을 끼우는 주입 면과의 간격 거리가 4∼5cm 정도 깊어야만 수정하고자 하는 필름에 묻은 먼지나 오물이 무시되어 보이고 동시에 선명도가 종래 것에 비하여 2배 이상 선명하여 수정 작업을 정확, 신속하게 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면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요부의 확대 단면도
함체(1)내에 반사경(10)(10')을 부착한 반사대(9)(9')와 형광램프(11)를 장착하고 상면체(2)에는 설합(3)과 돌출면(5)을 구성한 경사판(4)과 중앙통공(6)을 형성하고 이면의 지지판(7)(8)에는 스위치(15)(16), 진동조절기(17), 광조절기(18)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한 다음, 상단부에는 협지대(12)(12')로서 확대경(13)(14)을 장착하며, 하단 우측에는 팔받침(19)을 형성 한 후 중앙통공(6)에 주역턱(20)을 일체로 한 내통(21)을 반투명판(22)을 단부에 부착하여 회전용과 진동용 스프링(23)(24)을 구성 한 후 투시공(26)이 구성된 압지판(25)을 회전탄성판(27)(28)으로 탄지하고 턱(20)주연면과 반투명판(22)과의 거리(K)를 4.5∼5cm 간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인물 사진을 촬영한 필름을 도3의 일점선 도시와 같이 압지판(25)을 벌려서 턱(20)의 표면에 끼운 다음, 압지판(25)을 놓게되면 필름을 눌러 준다. 이것은 회전탄성판(27)(28)의 탄성으로 압지되는데 탄성판(27)은 턱(20)에 선단이 고정되고, 탄성판(28)은 선단이 압지판(25)에 고정되어 후단은 리베팅 되므로 압지력을 갖게 된다. 이렇게 필름을 끼운 후 스위치(15)(16)를 조작하고 진동조절기(17)나 광조절기(18)로서 조절 후 필름을 수정하는데 움직임을 정확히 하기 위해 우측 팔을 팔받침(19)에 걸쳐서 작업하며, 필름을 회전시켜서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탄성판(27)(28)을 잡고 시계 방향, 반대 방향 등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작업 할 수 있으며 특히, 반투명판(22)을 우유빛 불투명판으로서 필름을 끼운 위치와의 거리(K)가 4.5∼5cm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서 필름에 묻은 대전 또는 정전기 현상의 오물, 먼지 등은 무시되고 선명하게 비쳐져서 수정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확대경(13)(14)은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불필요 할 경우에는 제쳐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 것에 비하여 투명판과 필름 끼우는 면과의 거리를 4.5cm이상 거리를 유지케 함으로서 필름의 수정부위를 선명하게 투시해 볼 수 있어서 수정 작업을 정확,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1)

  1. 함체(1)내에 반사경(10)(10')을 부착한 반사대(9)(9')와 형광램프(11)를 장착하고 상면체(2)에는 설합(3)과 돌출면(5)을 구성한 경사판(4)과 중앙통공(6)을 형성하고 이면의 지지판(7)(8)에는 스위치(15)(16), 진동조절기(17), 광조절기(18)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한 다음 상단부에는 협지대(12)(12')로서 확대경(13)(14)을 장착하여 하단 후측에는 팔받침(19)을 형성 한 후, 중앙통공(6)에 주역턱(20)을 일체로 한 내통(21)을 반투명판(22)을 단부에 부착하여 회전용과 진동용스프링(23)(24)을 구성 한 후 투시공(26)이 구성된 압지판(25)을 회전탄성판(27)(28)으로 탄지하고 턱(20)주연면과 반투명판(22)과의 거리(K)를 4.5∼5cm 간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필름수정대.
KR2020000011336U 2000-04-17 2000-04-17 필름 수정대 KR200197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36U KR200197713Y1 (ko) 2000-04-17 2000-04-17 필름 수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36U KR200197713Y1 (ko) 2000-04-17 2000-04-17 필름 수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713Y1 true KR200197713Y1 (ko) 2000-09-15

Family

ID=1965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336U KR200197713Y1 (ko) 2000-04-17 2000-04-17 필름 수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7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416B2 (en) Lighting device
CN102621682B (zh) 瞄准镜
KR200197713Y1 (ko) 필름 수정대
CN208832192U (zh) 照明组件及照明灯具
CN201568909U (zh) 一种内置可旋转led灯具
CN102392941B (zh) 采用集成面阵型led灯芯可拆换电池扣板的便携式灯具
CN210950590U (zh) 一种防反光的光学触摸一体机
CN208867217U (zh) 一种机器人视觉装置
JP3023009U (ja) 額帯電灯
CN213065793U (zh) 一种便于对壳体进行拆卸和更换的夜灯
CN2341014Y (zh) 一种设于帽上的小型灯具
CN215072510U (zh) —种照明灯与手机支架一体结构
KR200308878Y1 (ko) 조명장치를 가지는 안경
CN219063137U (zh) 一种手电筒
CN212181223U (zh) 一种圆头机顶闪光灯
CN211902477U (zh) 一种眼科检查用辅助照明装置
CN211780889U (zh) 一种便于对透光度进行调节的灯具防护罩
CN215523096U (zh) 一种智能台灯
CN216243750U (zh) 一种具有缓解眼部疲劳的led灯
CN218154064U (zh) 一种计时电脑补光灯
CN208138915U (zh) 可旋转多光源的手电筒
CN212273740U (zh) 一种便携式led灯
JP2009032428A (ja) 照明装置
CN218567766U (zh) 一种具有调节结构的电筒眼镜
CN209370911U (zh) 一种上下发光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