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659Y1 -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 Google Patents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659Y1
KR200197659Y1 KR2020000009503U KR20000009503U KR200197659Y1 KR 200197659 Y1 KR200197659 Y1 KR 200197659Y1 KR 2020000009503 U KR2020000009503 U KR 2020000009503U KR 20000009503 U KR20000009503 U KR 20000009503U KR 200197659 Y1 KR200197659 Y1 KR 200197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coffee
container
st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노
Original Assignee
이경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노 filed Critical 이경노
Priority to KR2020000009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원두커피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원두커피세트의 부피를 최소화 되게한 목적으로서 용기(1)하단부를 관통하여 거름주머니(4)를 부착한 추출용기(2)를 접은 상태에서 원두커피(5)와 설탕(6)과 함께 비닐지(7)에 포장된 구성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A yuan tu coffee set throwaway.}
본 고안은 일회용 원두커피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 이외의 야외에서도 쉽게 원두커피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제안된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과 소비수준의 향상에 따라 원두커피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인스탄트 커피에 비하여 원두커피는 커피 본래의 맛과 향을 그대로 맛 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지만 이것을 마시려면 다음과 같은 불편이 따른다.
즉, 우선 볶은 커피원두를 분쇄기에 갈아야 하고 이 분말을 거름종이(여과장치)를 통하여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마셔야 하므로, 원두커피를 마시려면 커피전문점에 가거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소형 가전제품인 원두커피 추출기나, 여과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이 따르고 가정이나 사무실 및 야외에서 등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이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구비한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었던 원두커피의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해결할 양으로 원두커피도 인스탄트커피와 같이 실내에서나 야외등지에서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 종래의 원두커피세트 구성을 살펴보면 원두커피 분말을 포장한 원두커피(20)와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기(21)와 여과를 위한 여과지(22)및 추출되는 커피액을 수용하여 섭취하기 위한 컵(10)을 구비하여 이들을 세트화 하여 포장용기내에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세트는 부피가 크고, 아울러 부품의 증가와 전체적인 제작 공정수가 많이 소요 되므로써 생산성이 낮은 단점과, 또한 전체적인 부피가 커서 판매점의 매장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또한 부피가 커 운반비등을 감안할 때 전체적으로 원가상승요인으로 이어져 소비자의 구매력이 떨어진다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는 그 원두커피 섭취후 그 용기들은 쓰레기로 남게된다.
따라서 그 쓰레기 처리 문제등을 감안할 때도 처리비용등이 막대하여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큰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원두커피세트의 부피를 최소화 되게한 목적으로서 용기(1) 하단부를 관통하여 그 관통부에 거름주머니를 부착한 추출용기(2)를 제 3도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원두커피(5)와 설탕(6)과 함께 비닐지(7)에 포장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도와 제 2도와 제 3도는 본 고안의 거름주머니가 부착된 추출용기 사시도로서,
제 1도는 추출용기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 2도는 추출용기를 1단계 접은 상태이며
제 3도는 추출용기를 2단계 접은 상태이다.
제 4도와 제 5도는 본 고안의 일회용 원두커피세트의 포장된 상태로서,
제 4도는 본 고안의 원두커피 세트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포장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고
제 5도는 본 고안의 일회용 원두커피세트의 포장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6도는 본 고안의 추출용기 사용상태도.
제 7도는 종래의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결합상태(포장상태)단면도.
제 8도는 종래의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추출용기 3. 걸림수단
4. 거름주머니 5. 원두커피
6. 설탕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종이컵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종이컵을 1단계 접은 상태이며 도3은 본 고안의 거름주머니를 접은 2단계 접은 상태이다.
제 4도와 제 5도는 본 고안의 일회용 원두커피세트의 포장된 상태로서, 제 4도는 포장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이고, 제 5도는 본 고안의 원두커피세트의 포장된 상태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의 원두커피세트를 축소하기 위한, 도면 1도와 도 2도와 도 3의 용기(1)의 하단에 거름주머니(4)가 부착된 추출용기(2)을 설명한다.
용기(1)상단부는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컵 내부(10)바닥까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컵(10)의 상단부에 걸쳐 재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상단부위에는 걸림수단(3)을 강구한 추출용기(2) 상기 용기(1)는 하단부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는 거름주머니(4)를 부착하기 위함이다.
상기 거름주머니(4)는 원두커피 찌꺼기를 걸러주는 역활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는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과 유사하다.
그 일회용 종이컵 하단부를 관통되어 거름주머니를 부착시킨것과 같다.
제 2도에 도시한 1단계 접은 다음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단계 접어진 상태에서 원두커피분말을 포장한 원두커피(5)와 설탕을 포장한 설탕(6)과 이들이 제 4도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지(7)를 이용하여 진공수축포장하거나, 별도의 포장용기내에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두커피(5)와 설탕은 다양한 형상으로 비닐포장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원두커피(5)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닐지(7)를 개봉한 다음 거름주머니(4)가 부착된 추출용기(2)와 원두커피(5)와 설탕(6)을 분리한 다음 상기, 추출용기(2)를 손으로 잡고, 이때 엄지손가락은 일측 모서리를 잡고 타측 모서리는 검지손가락으로 잡고서 두손가락에 힘을 안쪽으로 가하면, 제 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 1도에 도시한 상태의 컵 모양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반적인컵(10)(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소지하고 있는 컵)에 추출용기(2)를 재치시키고 추출용기 내부에 원두커피(5)를 수용하여 더운물을 부으면 원두커피액이 추출되어 컵(10)에 수용된다.
그러면 섭취자는 원두커피(5)찌꺼기가 있는 추출용기(2)를 컵(10)으로부터 제거시킨후 이를 섭취하면 된다.
컵(10)의 상방에 추출용기(2)를 재치시키면 추출용기(2)의 하단부와 거름주머니(4)가 컵(10)내로 수용되고 상단부위의 걸림수단(3)에 컵(10)의 상단부위에 걸림상태 이므로써 추출용기는 컵(10)내로 수용되지 않고 재치 상태를 고수하게 되므로서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원두커피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별도의 분쇄장치나 추출장치 없이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야외등지에서도 인스탄트커피와 같이 더운물만을 구비함으로써 원두커피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회용 원두커피세트는 그 제작공정수와 부피를 최소화 되게 하므로서 판매점의 매장진열 공간을 최소화 하고 또한 운송비 등을 감안할 때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여행을 떠날때도 부피가 최소화되어 간편하게 여행가방에 수납할 수가 있으며, 그리고 부피가 최소화 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최소화 되어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원두커피를 분쇄장치나 여과장치의 구비없이 간단하게 원두커피를 섭취할 수있는 원두커피(5)와 설탕(6) 추출용기(2)가 진공포장으로 포장된 일회용 원두커피세트에 있어서, 원두커피 찌꺼기를 추출할 수 있는 거름주머니(4)가 용기(1)하단부에 부착된 추출용기(2)와, 상기 용기(1)의 상단부에 걸림수단(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원두커피세트.
KR2020000009503U 2000-03-27 2000-03-27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KR200197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503U KR200197659Y1 (ko) 2000-03-27 2000-03-27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503U KR200197659Y1 (ko) 2000-03-27 2000-03-27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659Y1 true KR200197659Y1 (ko) 2000-09-15

Family

ID=1965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503U KR200197659Y1 (ko) 2000-03-27 2000-03-27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53Y1 (ko) 2009-10-16 2012-07-12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53Y1 (ko) 2009-10-16 2012-07-12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US10932606B2 (en) Portable drip coffee apparatus
US4715271A (en) Disposable beverage brewer
US5620724A (en) Drink container with holder for used concentrate packet
US5771777A (en) Disposable beverage maker
US6298771B1 (en) Disposable coffee brewing unit for individual servings
US20100040740A1 (en) Tea bag cozy
KR200197659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세트.
CN208165738U (zh) 杯底封装冲饮品的多功能一次性方便杯
JP3234534U (ja) カップコーヒー
KR100277216B1 (ko) 휴대용원두커피섭취용기세트
GB2368333A (en) Infuser bag with foldable lid or holder for squeezing out liquid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CN216784149U (zh) 一种新型沱茶包装盒
CN2776224Y (zh) 折叠式磨粒咖啡过滤装置
JP3058907U (ja) 携帯用原豆コーヒー飲用容器セット
KR200173523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JP3238121U (ja) 紙製濃し具
JP5105565B1 (ja) 簡易コーヒーバッグ
JP3079403U (ja) 簡易ティーメーカー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20190070000A (ko)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20230130931A (ko) 리드 프레소 구조
JP2002209751A (ja) 簡易ティーメーカー
JP6798680B2 (ja) コーヒー抽出バッグ、コーヒー抽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