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190Y1 -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190Y1
KR200197190Y1 KR2019960049211U KR19960049211U KR200197190Y1 KR 200197190 Y1 KR200197190 Y1 KR 200197190Y1 KR 2019960049211 U KR2019960049211 U KR 2019960049211U KR 19960049211 U KR19960049211 U KR 19960049211U KR 200197190 Y1 KR200197190 Y1 KR 200197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pressure
fuel supply
pipe
vapo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213U (ko
Inventor
류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9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1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화기측으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감지하고 설정된 공급압 이하일 경우에는 이를 경보하는 동시에 연료탱크로 리턴되는 연료를 바이패스시켜 기화기로 재차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화기측으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색인어]
자동차, 연료탱크, 연료펌프, 기화기, 리턴 파이프, 바이패스 파이프

Description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화기에 공 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감지하여 낮을 경우 이를 경보하고 그 공급압을 보상해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장치는 모든 운전조건 하에서 엔진에 필요한 혼합기를 가장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그 기능은 엔진의 성능, 특히 출력이나 경제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장치의 주요 부분은 기화기 또는 연료 분사장치이며 여기에서 연료와 공기를 적절히 혼합시켜 엔진에 공급한다.
첨부한 제1도는 연료장치에서 연료 공급라인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연료 공급라인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0),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여과기(20),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3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연료 파이프(50)를 통해 기화기(40)로 일정량의 연료를 공급하게 되고, 또한 기화기(40)에 필요 이상의 연료가 공급될 경우 리턴 파이프(60)를 통해 연료탱크(10)로 리턴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은 외부환경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특히 연료 파이프(50)의 내부에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사열을 적게 받는 곳을 선택하여 배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름철과 같이 외부온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복사열이 증가할 경우에는 연료 파이프 내에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면서 연료 공급압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주행중 시동이 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화기측으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감지하고 설정된 공급압 이하일 경우에는 이를 경보하는 동시에 연료탱크로 리턴되는 연료를 바이패스시켜 기화기로 재차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화기측으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자동차 연료장치의 연료 공급라인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라인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펌프 20 : 여과기
30 : 연료펌프 40 : 기화기
50 : 연료 파이프 60 : 리턴 파이프
70 : 마이컴 71 : 전자밸브
72 : 바이패스 파이프 73 : 압력센서
74 : 첵밸브 75 : 경보등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연료탱크(10), 여과기(20), 연료펌프(30), 기화기(40), 연료 파이프(50), 리턴 파이프(60)를 포함하는 연료장치에서, 상기 연료펌프(30)의 후단 연료 파이프(50)와 상기 리턴 파이프(60) 사이에 연결되며 마이컴(70)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밸브(71)를 구비한 바이패스 파이프(72)와, 연료펌프(30)와 기화기(40) 사이에 설치되며 기화기(40)측으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73)와, 상기 압력센서(73)로부터 입력된 압력값과 기 설정된 압력값을 비교 판단하며 상기 전자밸브(71)의 개폐신호를 출력하여 리턴 파이프(60) 내의 연료가 바이패스 파이프(72)를 통해 기화기(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컴(70)과, 상기 마이컴(70)에서 연료 공급압의 이상으로 인한 제어신호가 출력될 경우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경보등(7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연료탱크(10)와 기화기(40) 사이의 리턴 파이프(60)를 분기시켜 연료펌프(30)의 후단 연료 파이프(50에 연결되도록 바이패스 파이프(72)를 설치하고, 상기 바이패스 파이프(72)에는 연료의 흐름을 단속하는 전자밸브(71)와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첵밸브(74)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연료 파이프(50)에는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73)가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73)에서 감지된 신호를 마이컴(70)으로 인가되게 한다.
상기 마이컴(70)은 압력센서(73)로부터 입력되는 압력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압력값을 비교 판단하여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이 낮을 경우 바이패스 파이프(72)에 있는 전자밸브(71)를 열어준다.
이에 따라, 리턴 파이프(60)를 통해 리턴되던 연료가 바이패스 파이프(72)를 거쳐 기화기(40)로 재차 공급되어 연료 공급압이 보상될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경보등(75)을 제어하여 연료계통의 이상을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시동과 동시에 연료탱크(10)에 채워져 있는 연료가 연료펌프(30)의 가동과 함께 토출되어 연료 파이프(50)를 통해 기화기(40)로 공급되면서 소정의 방법에 의해 엔진이 지속적으로 운전되며, 기화기(40)에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이 과다할 경우 일부 연료는 리턴 파이프(60)를 통해 연료탱크(10)로 리턴된다.
이때,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은 압력센서(73)에 의해 감지되고 압력센서(73)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70)으로 인가된다.
한편, 베이퍼록 현상이나 연료 파이프(50)의 누유 등으로 인해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이 떨어지는 경우, 압력센서(73)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마이컴(70)에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게 되며, 이때 마이컴(70)에서 연료 공급압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경보등(75)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연료계통의 이상을 알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바이패스 파이프(72)의 전자밸브(71)를 열어서 연료탱크(10)로 리턴되는 연료를 기화기(40)로 재차 공급함으로써 떨어졌던 연료 공급압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이 설정된 공급압으로 보상되면 마이컴(70)은 전자밸브(71)를 닫아줌으로써 연료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바이패스 파이프(72)에는 첵밸브(7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화기(40)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이 리턴되는 연료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도 기화기(40)측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리턴 파이프(60)측으로 곧바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화기로 공급되는 연료 공급압을 감지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경보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연료계통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한편, 이와 동시에 연료 공급압이 낮은 경우에는 연료탱크로 리턴되는 연료를 바이패스 파이프를 통해 기화기로 재차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 공급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행중 연료 공급압의 이상으로 엔진이 정지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료탱크(10), 여과기(20), 연료펌프(30), 기화기(40), 연료 파이프(50), 리턴 파이프(60)를 포함하는 연료장치에서, 상기 연료펌프(30)의 후단 연료 파이프(50)와 상기 리턴 파이프(60) 사이에 연결되며 마이컴(70)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밸브(71)를 구비한 바이패스 파이프(72)와, 연료펌프(30)와 기화기(40) 사이에 설치되며 기화기(40)측으로 공급되는 연료공급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73)와, 상기 압력센서(73)로부터 입력된 압력값과 기 설정된 압력값을 비교 판단하며 상기 전자밸브(71)의 개폐신호를 출력하여 리턴 파이프(60) 내의 연료가 바이패스 파이프(72)를 통해 기화기(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컴(70)과, 상기 마이컴(70)에서 연료 공급압의 이상으로 인한 제어신호가 출력될 경우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경보등(7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KR2019960049211U 1996-12-14 1996-12-14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KR200197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211U KR200197190Y1 (ko) 1996-12-14 1996-12-14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211U KR200197190Y1 (ko) 1996-12-14 1996-12-14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13U KR19980036213U (ko) 1998-09-15
KR200197190Y1 true KR200197190Y1 (ko) 2000-10-02

Family

ID=1947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211U KR200197190Y1 (ko) 1996-12-14 1996-12-14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1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1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70480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100297294B1 (ko) Lng차량의연료장치
KR200197190Y1 (ko) 자동차 연료 공급압 보상장치
KR100650933B1 (ko) 엘피엘아이 시스템의 가스누출 모니터링장치
US7216028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engine system
KR100494589B1 (ko) Lpg차량용 자동 연료누출 감지 및 차단시스템과 그제어방법
KR100405108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7857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유출 방지장치
KR100346456B1 (ko) 자동차용 엘피지 연료장치의 타르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KR20070027923A (ko) 자동차의 lpi 엔진용 누설연료 재순환방법
KR100206424B1 (ko) Lpg차량의 시동오프시 lpg잔류가스제거장치
KR100285482B1 (ko) 연료분사제어방법
KR200141390Y1 (ko) 자동차 연료 공급관의 이상 압력 경보 장치
KR100428027B1 (ko) 커먼 레일 시스템의 연료 누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89107B1 (ko)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KR970004348Y1 (ko)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순환정화장치
KR200142151Y1 (ko) 자동차 연료공급장치
JPH09119335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KR200147155Y1 (ko) 라디에이터의 고장 감지장치
KR100192282B1 (ko) 냉 시동시 연료공급 제어 장치
JP2005248737A (ja) 燃料供給装置の診断装置
JPH04292567A (ja) 燃料供給装置
KR19980052441A (ko) 연료공급장치에 있어 연료압 조절장치
GB2281954A (en) Fuel pump monitoring system
KR19980049703A (ko) 자동차의 화재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