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874Y1 - 레져용 보트 - Google Patents

레져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874Y1
KR200196874Y1 KR2020000011968U KR20000011968U KR200196874Y1 KR 200196874 Y1 KR200196874 Y1 KR 200196874Y1 KR 2020000011968 U KR2020000011968 U KR 2020000011968U KR 20000011968 U KR20000011968 U KR 20000011968U KR 200196874 Y1 KR200196874 Y1 KR 200196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ed
assembly
bottom frame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운
Original Assignee
이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운 filed Critical 이용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과 분해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개선한 레져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홈(110)을 양측에 가진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과,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20)를 가진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와 선미바디(70)를 가지며; 상기 보텀프레임(10)은 보트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보텀프레임(10) 중간부 양측에는 고정플레이트(40)에 의해 사이드프레임(20)이 고정되게 조립되고, 상기 보텀 및 사이드프레임(10,20) 사이에는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제2조립바디(60) 후면으로 리어프레임(30)이 조립되고, 상기 리어프레임(30)에는 선미바디(70)가 조립되며; 상기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과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와 선미바디(70)간에 상호 연결되는 표면 부위에 나사(9)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80,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레져용 보트{Boat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과 분해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개선한 레져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져용으로 이용되는 보트는 우선적으로 이동이 편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 이유는 레져용 보트일 경우는 상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시에만 가끔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창고나 주택에 보관했다가 이용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전의 레져용 보트는 이동하는데 있어 보트 전용 운반차에 탑재하여 이 차량 후미에 연결시켜 이동하는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보트 이동과 취급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관하는데 있어서도 부피가 커서 별도의 보트 전용 창고를 구비하여 보관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창고가 없는 경우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트를 구비하려면 그 구입비 이외에 보트 운반차 및 보관창고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기 주입방식의 고무보트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무보트는 공기를 주입하는데 매우 힘들고 그 주입시간이 오래 걸리므로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보트 조립과 분해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취급 및 운반과 보관이 매우 용이한 레져용 보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텀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및 리어프레임을 구비하고 이것들을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에 보트를 구성하는 각각 부분별 바디가 결합되게 조립될 수 있게 하고, 다음에 버클에 의해서 조립부위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좌석부재에 의해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결합홈을 양측에 가진 보텀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및 리어프레임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진 제1 및 제2조립바디와 선미바디를 가지며; 상기 보텀프레임은 보트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보텀프레임 중간부 양측에는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사이드프레임이 고정되게 조립되고, 상기 보텀 및 사이드프레임 사이에는 제1 및 제2조립바디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제2조립바디 후면으로 리어프레임이 조립되고, 상기 리어프레임에는 선미바디가 조립되며; 상기 보텀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및 리어프레임과 제1 및 제2조립바디와 선미바디간에 상호 연결되는 표면 부위에 나사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텀프레임은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륜부와 상기 돌륜부에 형성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는 보텀프레임의 선수부에 일단부가 걸림되고 타단부는 걸림구에 의해 당겨지는 고정철사가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텀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및 리어프레임과, 제1 및 제2조립바디와 선미바디의 상단부에는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게 구성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텀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및 리어프레임과, 제1 및 제2조립바디와 선미바디의 상단부에 수개의 지지구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구에 조립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설치되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트의 일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과 바디의 결합을 보인 분리 단면도 및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1차 조립을 설명하는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X - X'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4의 Y - Y'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조립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2차 조립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3차 조립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4차 조립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와 그 조립상태를 보인 일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고정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보트의 평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의 Z - Z'선 확대 분리 단면도 및 조립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보인 실시예가 채용된 상태의 보트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텀프레임 20 : 사이드프레임
23 : 좌석부재 30 : 리어프레임
40 : 고정플레이트 41 : 세팅부재
50 : 제1조립바디 60 : 제2조립부재
70 : 선미부재 80, 82 : 고정부재
90 : 지지구 91 : 지지대
92 : 차양부재 110 : 결합홈
120 : 결합돌기 121 : 중공부
130 : 밀폐부재 140 : 끼움홈부
141 : 연결부재
본 고안에 의한 보트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트의 일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이 보트는 금속 재질의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을 구비하고, 이러한 프레임들 사이에는 제1조립바디(50)와 제2조립바디(60) 및 선미바디(70)가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각각의 프레임(10-30)들은 도 2a 및 도 2b에 보인바와 같이 H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조립을 위한 결합홈(110)을 양측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보텀프레임(10)에 있어서만은 일측에 돌륜부(11)와 구멍(12)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합홈(110) 내부에는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130)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홈(110)에는 각각의 바디(50-70) 외곽에 형성하게 되는 결합돌기(120)가 끼워지도록 조립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바디(50-70)들은 경질 합성수지와 같은 비중이 비교적 낮고 경질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바디(50-70) 내부에는 중공부(121)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가볍게 하는 동시에 외면에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겨도 중공부(121)가 있기 때문에 내면쪽 부분이 전혀 손상되지 않게 됨으로써 물이 내부 쪽으로 침투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부(121)는 공기만이 존재하는 공기층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고 경우에 있어서는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진 스치로플과 같은 소재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이 조립되는 상태의 일부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보텀프레임(10)은 2개를 가지며 일직선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보트의 선수부 쪽의 보텀프레임(10)은 그 선수부 쪽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구성된다.
사이드프레임(20)은 2개를 구비하며 보텀프레임(10) 중간부 양측에 각각 대향되는 상태로서 결합됨으로써 도 4와 같이 평면상으로 볼 때 십자(+) 형태로 조립된다.
또한, 보텀프레임(10) 및 사이드프레임(20)은 이들이 결합되는 부위에서 십자형태의 고정플레이트(40)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플레이트(40)는 저면 중간에 세팅부재(4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세팅부재(41)에 의해서 보텀프레임(10)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 사이드프레임(20)이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보텀프레임(10)이 서로 접촉되는 경계부분의 상부 쪽을 약간 절단시켜 걸림턱부(13)을 형성시키고 이들에 의해 세팅부재(41)가 끼워질 수 있는 세팅홈부(14)가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세팅홈부(14)에 세팅부재(41)가 끼워지도록 한 후 나사(9)에 의해 고정플레이트(40)를 보텀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사이드프레임(20)을 맞대 놓고 고정플레이트(40)에 나사(9)로 체결되도록 고정시킨 다음 사이드프레임(20)의 리브플레이트(21)를 돌륜부(11)에 나사(9)로 체결시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1차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보텀프레임(10)과 양측의 사이드프레임(20)은 고정플레이트(40)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보텀프레임(10)의 정확한 위치에 사이드프레임(20)이 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미설명 부호 15는 고정철사이고, 22는 좌석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9)에 대해서는 일률적인 부호를 표기하기로 한다.
도 9는 2차 조립된 상태를 보여 준다. 2차 조립은 선수부 쪽에 해당되는 2개의 제1조립바디(50)를 각각 조립시키는 것이다. 이때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표시 방향으로 밀어서 이들의 결합돌기(120)가 보텀프레임(10) 및 사이드프레임(20)의 결합홈(110)에 끼워지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도 10은 3차 조립을 보인 것이다. 이때는 2개의 제2조립바디(60)를 역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각각 조립되게 하며, 결합홈(110)에 결합돌기(120)가 끼워지도록 조립되는 것은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4차적으로 보트의 선미부 쪽을 조립 할 때는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우선 2개의 리어프레임(30)을 제2조립바디(60)에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조립시킨다.
다음, 5차적으로 양측의 리어프레임(30)에 선미바디(70)를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시키게 된다.
그리고 선미부 쪽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80)를 나사(9)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80)는 나사(9)에 의해서 보텀프레임(10)과 리어프레임(30)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보텀프레임(10)과 리어프레임(30)이 상호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갖게 된다.
또한, 보텀프레임(10)의 구멍(12)을 관통한 고정철사(15)는 걸림구(16)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구(16)를 잡아 당겨서 고정부재(80)에 구비한 걸림홈(81)에 걸게 되면 상기 고정철사(15)는 팽팽하게 당겨지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철사(15)는 보텀프레임(10)의 선수부 쪽에 일단부가 걸려 있고 선미부 쪽에서는 걸림구(16)에 의해 당겨지는 상태로서 걸림홈(81)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 당김력에 의해서 선수부와 선미부 간에 조임되는 상태가 되므로 더욱 견고한 상태로서 조립되게 된다.
다음,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위의 상면부에 각각의 고정부재(82)들을 나사(9)에 의해 체결시켜 고정되게 한다.
또한, 선미부와 중간부에 있는 좌석고정부재(22)에는 승선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부재(23)를 나사(9)로 고정시킴으로써 보트 양측이 상호 견고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조립되고 완료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83은 노를 거는 노걸이용 링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보트의 평면도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트의 상면부가 되는 각각의 프레임(10-30) 및 바디(50-70)의 상단부에 도 17a 및 도 17b와 같이 끼움홈부(140)를 형성시키고 그 끼움홈부(140)에 연결부재(141)를 끼우게 된다.
다음, 도 18에 보인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부재(82)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하면 연결부재(141)가 각각의 프레임(10-30)과 바디(50-70)들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상호 이탈되지 않게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더욱 갖도록 하므로 조립된 보트는 더욱 안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41)를 수지 재질이나 고무 재질의 것을 사용할 경우 손이나 신체가 접촉되는 각각의 프레임(10-30)과 바디(50-70)의 상단부가 부드로운 재질로 감싸는 상태가 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양호한 상태가 된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 준다. 이 실시예는 보트를 구성하는 상단부에 지지구(90)를 부착시키고 여기에 지지대(91)를 각각 세워지도록 하며, 지지대(91)에는 천이나 수지 재질의 차양부재(92)가 씌워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붕부재(92)는 비나 햇빛을 막아 주는 차양 역할을 하게 되고 손쉽게 설치하고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보트의 분해는 조립의 역순에 따라 분해시키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월하고 간편하게 조립시키거나 분해시킬 수 있는 보트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분해된 보트를 차량 내부나 트렁크에 넣고서 운반이 가능하게 되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밀폐부재(130)가 삽입된 결합홈(110)을 양측에 가진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과,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20)를 가진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와 선미바디(70)를 가지며;
    상기 보텀프레임(10)은 보트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보텀프레임(10) 중간부 양측에는 고정플레이트(40)에 의해 사이드프레임(20)이 고정되게 조립되고, 상기 보텀 및 사이드프레임(10,20) 사이에는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제2조립바디(60) 후면으로 리어프레임(30)이 조립되고, 상기 리어프레임(30)에는 선미바디(70)가 조립되며;
    상기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과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와 선미바디(70)간에 상호 연결되는 표면 부위에 나사(9)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80,8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텀프레임(10)은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륜부(11)와 상기 돌륜부(11)에 형성되는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2)에는 보텀프레임(10)의 선수부에 일단부가 걸림되고 타단부는 걸림구(16)에 의해 당겨지는 고정철사(15)가 관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과,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와 선미바디(70)의 상단부에는 끼움홈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140)에는 연결부재(141)가 결합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텀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20) 및 리어프레임(30)과, 제1 및 제2조립바디(50,60)와 선미바디(70)의 상단부에 수개의 지지구(90)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구(90)에 조립되는 지지대(91)와 상기 지지대(91)에 의해 설치되는 차양부재(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져용 보트.
KR2020000011968U 2000-04-27 2000-04-27 레져용 보트 KR2001968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361A KR100347368B1 (ko) 2000-04-27 2000-04-27 레져용 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361A Division KR100347368B1 (ko) 2000-04-27 2000-04-27 레져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874Y1 true KR200196874Y1 (ko) 2000-09-15

Family

ID=196671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968U KR200196874Y1 (ko) 2000-04-27 2000-04-27 레져용 보트
KR1020000022361A KR100347368B1 (ko) 2000-04-27 2000-04-27 레져용 보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361A KR100347368B1 (ko) 2000-04-27 2000-04-27 레져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68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70B1 (ko) 2014-11-04 2017-01-03 조재진 속도와 방향조절이 용이한 잠수 및 점핑용 모터보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555Y1 (en) * 1982-07-31 1984-08-20 Gold Star Co Refrigerator with collant flow reversing valve for removing dews
KR940007826Y1 (ko) * 1992-02-06 1994-10-24 김상섭 조립식 보우트
KR950008784U (ko) * 1993-09-02 1995-04-17 김문재 조립식 보우트(aut boat)
US5499594A (en) * 1994-09-29 1996-03-19 Bullock; Donald C. Collapsible tension-compression variable hull structure
KR0145230B1 (ko) * 1995-03-28 1998-08-01 이태정 휴대가 가능한 절첩식 보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19A (ko) 2001-11-26
KR100347368B1 (ko)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2220B2 (en) Portable enclosure
US3957069A (en) Expandible plugs for securing a tent
US3409920A (en) Sectionalized surfboard
US4345703A (en) Carrying bag, particularly for bicycles
US4290157A (en) Collapsible boat
US6725871B1 (en) Portable cover unit
US5331993A (en) Cover fastening device
US4958390A (en) Rest cot assembly
US20020069812A1 (en) Cover fastening system
KR200196874Y1 (ko) 레져용 보트
US4919632A (en) Collapsible one-man pontoon fishing raft
US6397774B1 (en) Floating boat house
US5673720A (en) Collapsible structure having biaxially tensioned cover
US5388311A (en) Fastening and locking device for tarpaulins and similar covering
KR102317908B1 (ko) 에어튜브 보트
US6325013B1 (en) Portable boat having a plurality of attachable segments
KR102078593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US4740033A (en) Indoor or beach lounge chair
US5372156A (en) Bicycle supported tent
US6003816A (en) 3D kite
US2830835A (en) Boat awning support
KR101814182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US4574725A (en) Collapsible boat
KR100416369B1 (ko) 조립식 보트
KR100334431B1 (ko) 조립식 스위밍 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