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862Y1 -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862Y1
KR200196862Y1 KR2020000011795U KR20000011795U KR200196862Y1 KR 200196862 Y1 KR200196862 Y1 KR 200196862Y1 KR 2020000011795 U KR2020000011795 U KR 2020000011795U KR 20000011795 U KR20000011795 U KR 20000011795U KR 200196862 Y1 KR200196862 Y1 KR 200196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database
telephone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수
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넷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넷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넷더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27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not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은 회사의 임직원 이름과 서비스 및 회사 전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2);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인터넷과 연결하는 웹서버(14) 및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접속 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고 상기 송·수신 받은 신호에 요구에 따라 작업을 처리하는 전화 처리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교환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원하는 담당자와 통화를 하거나 원하는 정보에의 접근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담당자나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지 않더라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Web-based Intelligent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본 고안은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사의 정보를 담은 데이터 베이스를 웹과 연결시키고 음성 인식 및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해 교환기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특징이 있는 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설 교환기는 건물이나 사무실 등 많은 가입자가 있는 구내의 사설 전화망과 공공 전화망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전화 스위치 보드이다.
기존의 사설 교환기는 사용자가 대표전화로 전화를 걸게 되면 내선 번호 등을 이용하여 구내의 많은 사용자들에게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어느 회사에 전화를 할 경우 구내에 있는 사람의 내선 번호나 전화번호를 모르고 대표번호만 아는 경우가 많다. 특히 114와 같은 전화 번호 안내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이러한 일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대표전화만을 알고 전화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교환원의 도움을 받아 통화를 해야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교환원이 자리를 비우거나 퇴근을 한 경우에는 원하는 사람과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며,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 통화중인 경우에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없고 일단 전화를 끊고 다시 전화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담당자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 교환원이 도움을 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회사내의 구조와 조직이 자주 변화함에 따라 회사에 관한 모든 정보를 일일이 기억하고 찾아내기는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어떠한 회사에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그 수단으로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전화인데 현재 회사내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전화를 통해 제공하는 수단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회사 내 담당자를 찾거나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필요로 할 경우 교환원 없이 직접 담당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담당자 이름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1은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2는 전화 처리부의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은 회사의 임직원 이름과 서비스 및 회사 전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2);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인터넷과 연결하는 웹서버(14) 및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접속 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고 상기 송·수신 받은 신호에 요구에 따라 작업을 처리하는 전화 처리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능형 사설 교환기의 전체 시스템은 전화 처리부(11), 데이터 베이스(12),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13), 웹 서버(14)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전화를 걸게 되면 이에 의한 신호는 전화 처리부를 거치게 된다. 도2는 상기 전화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전화라인을 통해 접속할 때 우선적으로 전화 접속부를 거치게 된다. 전화접속부는 외부에서 오는 신호를 인식하고 지능형 사설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화 수신부(21)와 전화 송신부(22)로 구성된다. 전화라인을 통해 오는 신호는 음성신호인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 DTMF 신호인 경우 등 음성신호가 아닌 경우도 있다. 전화 수신부(21)에서는 사용자가 보낸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아닌지를 우선 인식을 하며 음성 신호인 경우 신호를 음성 인식부(23)로 보내며 음성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신호를 작업 처리부(26)로 보낸다.
음성 인식부(23)는 전화 수신부(21)에서 들어온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작업처리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작업 처리부(26)는 전화 수신부로부터 들어오는 비음성신호나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여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정보를 찾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 처리부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획일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지능적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담당자나 원하는 서비스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해 명확한 요구를 하지 못하고 여러 단어로 긴 문장을 제시하였을 경우 작업 처리부에서는 다중 키워드 검색을 하여 가장 적합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불완전한 정보를 요구한 경우에는 가장 매칭이 잘되는 담당자 또는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가 너무나 불분명하거나 다른 곳과의 통화를 수반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통화 관리부(25)에 요청해 이러한 통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작업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구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내에 문자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때는 정보를 음성 합성부(25)로 보내며 요구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음성 또는 음향 신호로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정보를 전화 송신부(22)로 보낸다.
음성 합성부(25)는 작업 처리부에서 제공된 문자 형태의 정보를 음성 신호로 생성하여 전화 송신부에 전달한다.
전화 송신부(22)는 작업처리부로부터 오는 음성 또는 음향 정보나 음성 합성부에서 합성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12)에는 회사내의 임·직원 이름과 업무, 제공 서비스 및 회사에서 판매되는 제품명 등을 비롯한 회사 전체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13)를 통해 웹서버(14)와 전화 접속부내의 작업 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다. 작업 처리부로부터 어떠한 정보의 요구가 있을 경우 데이터 베이스는 이를 작업 처리부로 전달한다. 데이터 베이스내의 정보는 문자, 음성, 음향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된다. 문자 정보로 저장된 경우에 음성 합성부를 일단 거쳐서 음성 정보로 사용자에게 전달이 되므로 사용자가 자주 요구하게 되는 정보는 음성 정보로 저장하고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웹 서버(14)는 회사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어 이를 인터넷(15)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회사에 대해 원하는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전화를 통해서 뿐만이 아니라 일반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서도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회사의 규모가 크고 회사 정보가 수시로 바뀌는 경우 사설 교환기 운영자가 수시로 변화는 정보를 일일이 체크하여 바꾸는 것을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사설 교환기 운영자에 의해서 갱신, 수정될 수도 있으나 웹서버와 데이터 베이스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임·직원 개개인이 사설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정, 보완할 수 있다. 이 홈페이지는 회사 전체적으로 관리되고 개개인에게 할당된 계정 범위 내에서 개개인에 의해 신상정보도 관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본 고안은 전화기를 통한 업무 보고에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회사 직원이 출장 등으로 인해 외부에 있을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외부에서 발생한 일을 본 고안인 교환기를 통해 회사 내부로 접속하면 본 교환기의 음성 인식부에서는 음성 결과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문서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인터넷과 연결된 웹서버를 통해 해당 부서의 결제자는 상기 문서 형태의 정보를 PC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업무보고 뿐만 아니라 직원이 자신에게 전달된 업무 지시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하고 조작할 시 전화를 통해 문자 형태의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교환기를 이용하여 전화기를 통해 이메일 송수신을 하는 것이다. 사용자에게 이메일이 왔을 때 지능형 교환기에서는 문자화된 이메일을 음성 합성부에서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전화기를 통해 메일의 내용을 알려 줄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컴퓨터를 접할 수 없는 외부에 있을 때에도 본 지능형 교환기를 이용하면 전달하고자 하는 이메일을 음성으로 교환기에 제공하게 되면 음성 인식부에서 이를 인터넷과 연결된 웹 서버를 통해 원하는 상대방 이메일 주소로 문자 형태의 이메일을 송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교환기를 이용해 부재시 착신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담당자와 통화하려는데 해당 담당자가 부재중일 경우에 담당자가 착신 시켜놓은 전화에 대한 정보를 교환기는 음성으로 출력하여 준다. 이 때 사용자가 착신시켜놓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기를 원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연결시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자신의 전화를 통해 지능형 사설 교환기에 할당된 자신의 계정에 접속하여 자신의 스케줄 음성으로 제공하면 이를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정해둔 시각에 전화를 걸어 자동으로 그 내용을 알려주게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가 웹서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웹서버를 통해 자신의 계정에 문자로 전환시켜 지정된 날짜에 PC 화면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음성인식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확인 기능이다. 회사이 임·직원은 음성인식 보안 시스템을 이용해 자신이 회사 직원임을 음성으로 확인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음성의 인식 및 음성의 합성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가 회사 내 담당자를 찾거나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문의하고자 하는 경우 교환원이 없는 경우에도 담당자와 통화하거나 문의한 사항을 알아낼 수 있으며, 담당자 이름 및 원하는 서비스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더라도 매칭이나 다중 키워드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와 웹서버가 서로 연결이 되어있어 사설 교환기는 회사 내 중앙 통제 센터 및 웹서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신의 신상정보 내지 기타 정보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수정하는 것만으로 데이터 베이스에서 저장된 내용까지 수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 외에도 회사 외부에서 음성을 통한 업무보고 또는 전화기로 이메일 작성하기 등 여러 가지 용도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회사의 임직원 이름과 서비스 및 회사 전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2);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인터넷과 연결하는 웹서버(14) 및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접속 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고 상기 송·수신 받은 신호의 요구에 따라 작업을 처리하는 전화 처리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처리부는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접속 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전화 수신부(21) 및 전화 송신부(22);
    상기 전화 수신부(21)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23);
    상기 전화 수신부(21)에서 수신한 신호 또는 상기 음성 인식부(23)에서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파악하고 요구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찾아 상기 음성 합성부(25)로 전달하거나 담당자와 통화를 연결하는 작업 처리부(26) 및 작업 처리부에서 전달하는 신호가 디지털 정보인 경우 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2)에 저장된 정보의 수정은 상기 웹서버(14)를 통한 인터넷상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한 정보가 여러 개이거나 불완전한 경우, 상기 작업 처리부는 매칭 정도가 높은 정보를 순서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KR2020000011795U 2000-04-25 2000-04-25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KR2001968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998A KR20010097708A (ko) 2000-04-25 2000-04-25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998A Division KR20010097708A (ko) 2000-04-25 2000-04-25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862Y1 true KR200196862Y1 (ko) 2000-09-15

Family

ID=196668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95U KR200196862Y1 (ko) 2000-04-25 2000-04-25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KR1020000021998A KR20010097708A (ko) 2000-04-25 2000-04-25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998A KR20010097708A (ko) 2000-04-25 2000-04-25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68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879B1 (ko) * 2002-08-30 2007-11-21 엘지노텔 주식회사 VoIP키폰 시스템을 이용한 웹 기반 착신 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708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8811B (zh) 用于响应动态状态实现同步通信的方法、系统和服务
US5239577A (en)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cross-media connections
US67753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internet functionality to a telephone call
US20090124240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nnecting telephone calls directly on the basis of a text query
EP1284084B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301219B1 (ko) 음성 인식/합성을 이용한 통신망에서의 음성 포탈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6529585B2 (en) Voice labe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U20032838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communication id
KR200196862Y1 (ko) 웹 기반 지능형 사설 교환기 시스템
Pepper et al. The CallManager system: A platform for intelligent telecommunications services
KR20010111249A (ko) 쌍방향 주문 정보 제공 및 중계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91323A (ko) 주택 단지에서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3691A (ko) 웹서버와 콜서버 통합에 기반한 웹전화시스템(웹콜폰)과고객관리/서비스 비지니스 모델
JP2003069720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装置
KR20020036603A (ko) 통합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201894Y1 (ko) 전화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CN1197337C (zh) 远端处理电子邮件的方法及其系统
KR20020028438A (ko) 음성과 문자 데이터를 통합한 채팅 서비스 방법 및 그기록 매체
JPH04310049A (ja) 構内交換機の不在案内方式
JPH0888681A (ja) 情報処理装置
KR101344068B1 (ko) 지능망 기반 팩스문서 자동 분배장치
JPH06197164A (ja) 電話システム
KR200230768Y1 (ko) 인터넷 상에서의 ars 무료전화 서비스 장치
KR20210046310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고객관리 방법
KR20020015605A (ko) Ums와 cti 및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사서함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