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843Y1 - 조립식 도복도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도복도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6843Y1 KR200196843Y1 KR2020000011537U KR20000011537U KR200196843Y1 KR 200196843 Y1 KR200196843 Y1 KR 200196843Y1 KR 2020000011537 U KR2020000011537 U KR 2020000011537U KR 20000011537 U KR20000011537 U KR 20000011537U KR 200196843 Y1 KR200196843 Y1 KR 2001968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le
- dobok
- roof panel
- column
- prefabrica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도복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에서 우천시 대피하는 장소로서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되는 기능 외에 우천시 낙수가 일정한 유로상으로 수집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조립식 도복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아치형 판재(11)의 양측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12)과 전후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14)이 부착되는 루프패널(10); 상기 루프패널(10)의 전후단과 하방향 앵글(14)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통형의 구조의 비임(20); 및 상기 비임(20)의 양단 저면에서 상부관(31) 및 하부관(32)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의 컬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도복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에서 우천시 대피하는 장소로서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되는 기능 외에 우천시 낙수가 일정한 유로상으로 수집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조립식 도복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복도는 건물의 현관이나, 버스정류장, 학교 운동장 등에 설치되는 옥외 시설물의 일종으로서 우천시 사람들이 잠깐 비를 피하거나 우산을 접고 펴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용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도복도는 사람의 진행방향과 아치형의 판재의 축방향이 일치되도록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우천시 판재에 수집되는 낙수가 가장자리를 따라 불규칙적으로 낙하되어 사람들이 들고날 때 낙수되는 지점을 피해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복도는 대체로 일체형의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시공이 빠른 편이지만 일부가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해야 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해체하거나 증설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을 지닌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불편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옥외에서 우천시 대피하는 장소로서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되는 기능 외에 우천시 낙수가 일정한 유로상으로 수집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조립식 도복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의 주요 연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의 설치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루프패널 11: 판재
12, 14: 앵글 13: 보강대
20: 비임 20a: 배수구
30: 컬럼 31: 상부관
32: 하부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치형 판재의 양측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과 전후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이 부착되는 루프패널; 상기 루프패널의 전후단과 하방향 앵글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통형의 구조의 비임; 및 상기 비임의 양단 저면에서 상부관 및 하부관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의 컬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컬럼은 상단에서 비임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낙수를 수집하고 하단에서 배수구를 통하여 처리한다. 또한 상기 컬럼은 상부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하부관에 형성되는 슬롯을 이용하고 볼트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의 주요 연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는 루프패널(10), 비임(20), 컬럼(30)으로 구성되고 각각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본 고안에 따른 루프패널(10)은 아치형 판재(11)의 양측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12)과 전후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14)이 부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전후방향은 사람의 진행하는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측방향은 이에 직교되는 방향을 의미하지만 물론 사람이 전후방향으로만 통행하는 것이 아니고 어느 방향이나 출입이 가능하다.
판재(11)는 아크릴 등의 경질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아치형으로 열간 성형으로 성형하는데, 차광 기능을 위해 불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채색할 수도 있다. 양측단의 앵글(12)은 그 일변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판재(11)의 볼트로 체결하고, 전후단의 앵글(14)은 그 일변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볼트로 체결한다. 양측단의 앵글(12)은 아치형의 판재(11)와 동일한 곡률로 벤딩하지만 전후방의 앵글(12)은 벤딩이 불요하다.
이와 같이 앵글(12)(14)이 결합된 판재(11)는 하나의 독립적인 단위 루프패널(10)이 되고, 이러한 단위 루프패널(10)을 이용하여 양측단의 앵글(12)을 볼트로 체결하면 축방향으로 계속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앵글(12) 사이에 고무패킹(도시 생략)을 두면 이음새 부분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한편 루프패널(10)의 중간에 보강대(13)를 적절한 갯수로 부착하여 판재(11)의 강도저하를 방지한다. 물론 판재(11)의 축방향 길이가 짧은 경우 보강대(13)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되는 통형의 구조의 비임(20)이 상기 루프패널(10)의 전후단과 하방향 앵글(14)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비임(20)은 ??자 형강을 사용하고 양단에 차단판을 부착하여 낙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별도의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비임(20)을 성형할 수도 있는데, 비임(20)은 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부분이므로 금속판재의 두께는 적어도 5㎜ 이상 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판재(11)가 앵글(14)을 개재하여 비임(20)에 볼트(41)로 체결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알 수 있다. 이때 앵글(14)을 비임(20)의 내면에 고정시켜 낙수가 다른 부분으로 누출되지 않고 비임(20)의 내측 공간상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비임(20)의 상단에 다시 낙수를 유도하는 별도의 앵글을 부착하는 구성도 필요에 따라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앵글(14)과 판재(11)가 볼트로 체결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컬럼(30)은 중공의 구조이며 상기 비임(20)의 양단 저면에서 상부관(31) 및 하부관(32)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컬럼(30)은 비임(20)과 같은 기계적 강도를 요하므로 금속부재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컬럼(30)은 상단에서 비임(20)에 형성된 배수구(20a)를 통하여 낙수를 수집하고 하단에서 배수구(32b)를 통하여 처리한다. 비임(20)에 형성되는 배수구(20a)는 컬럼(30)의 내경과 비슷한 크기로 하여 낙엽 등 이물질에 의해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컬럼(30)의 하단부 형성되는 배수구(32b)는 비임의 배수구(20a)보다 크거나 같게 하여 원활한 배수를 유도한다. 컬럼(30)의 하단부는 기초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컬럼(30)은 상부관(31)에 형성되는 관통구(31a)와 하부관(32)에 형성되는 슬롯(32a)을 이용하고 볼트(4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상부관(31)은 길이를 짧게 하여 비임(20)의 하단에 고정한다. 고정방법은 용접이나 볼트체결 모도 가능하나 기밀성을 위해서는 용접이 유리하다. 상부관(31)의 관통구(31a)는 볼트(40)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하부관(32)의 슬롯(32a)은 볼트(40)가 미끌어져 들어가는 부분이다. 하부관(32)은 상부관(31)을 수용하도록 동일한 단면 형상에 크기만 약간 크게 성형한다. 상부관(31) 및 하부관(32)의 간격은 조립에 필요한 최소한으로 하여 볼트(40) 체결시 하부관(3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부관(31)의 관통구(31a)에 볼트(40)를 느슨하게 체결한 후 하부관(32)의 슬롯(32a)에 끼우고 적절한 높이에서 볼트(40)를 완전하게 체결하면 고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볼트(40)를 풀고 비임(20)을 들어올리면 상부관(31)이 하부관(32)으로부터 이탈된다.
상부관(31) 및 하부관(32)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각형에 구애받지 않으나 하부관(32)에서 슬롯(32a)의 설치위치를 잡거나 컬럼(30)의 결합시 편의를 위해서는 각형이 유리할 수 있고 볼트(40) 체결시 변형에 대한 응력의 측면에서는 원형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앵글(12)(14), 보강대(13), 비임(20), 컬럼(30) 등의 금속부재는 프라이머 등의 방청처리를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복도의 설치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단위의 루프패널(10)을 횡으로 연결하여 일단의 조립체가 형성되고 이러한 군을 다시 종으로 연결하면 다단의 조립체가 완성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기초 상에 컬럼(30)의 하단을 볼트로 체결한 다음 비임(20)을 컬럼(30)의 상단에 볼트로 체결한다. 물론 비임(20)의 고정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관(31)과 하부관(32)의 고정을 의미한다. 이후 일단의 루프패널(10) 조립체를 비임(20)에 볼트로 체결해 나가면 도 3과 같은 형태로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도복도는 종래와 같이 패널이 하나의 축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평행한 복수의 축상으로 배치된다. 낙수는 복수의 비임(20)에 수집되고 각각의 컬럼(30)을 통하여 지상으로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임의의 지점에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루프패널(10)의 측면에 부착되는 앵글(12)은 상방향으로 턱을 형성하므로 여름철의 집중호우시에도 낙수가 가장자리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트럭이나 기타 높이가 높은 물건이 통과해야 하는 경우에는 일단의 루프패널(10) 조립체를 분해하였다가 다시 결합하기 용이하다. 또한 특정 부분의 루프패널(10)이 파손되거나 루프패널(10)의 배열을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도 볼트를 해체하여 교체 및 위치변경하기도 용이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옥외에서 우천시 대피하는 장소로서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되는 기능 외에 우천시 낙수가 일정한 유로상으로 수집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 아치형 판재(11)의 양측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12)과 전후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앵글(14)이 부착되는 루프패널(10);상기 루프패널(10)의 전후단과 하방향 앵글(14)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통형의 구조의 비임(20); 및상기 비임(20)의 양단 저면에서 상부관(31) 및 하부관(32)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의 컬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복도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컬럼(30)은 상단에서 비임(20)에 형성된 배수구(20a)를 통하여 낙수를 수집하고 하단에서 배수구(32b)를 통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복도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컬럼(30)은 상부관(31)에 형성되는 관통구(31a)와 하부관(32)에 형성되는 슬롯(32a)을 이용하고 볼트(4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복도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1537U KR200196843Y1 (ko) | 2000-04-22 | 2000-04-22 | 조립식 도복도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1537U KR200196843Y1 (ko) | 2000-04-22 | 2000-04-22 | 조립식 도복도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6843Y1 true KR200196843Y1 (ko) | 2000-09-15 |
Family
ID=1965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1537U KR200196843Y1 (ko) | 2000-04-22 | 2000-04-22 | 조립식 도복도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684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8678A (zh) * | 2019-07-31 | 2019-12-03 |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错层塔楼间的多层钢框架连廊安装方法 |
-
2000
- 2000-04-22 KR KR2020000011537U patent/KR20019684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8678A (zh) * | 2019-07-31 | 2019-12-03 | 中建三局第三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错层塔楼间的多层钢框架连廊安装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02029U (ko) | 만곡 아치형 다용도 조립식 건축구조물 | |
KR101193577B1 (ko) | 접이식 안전펜스 | |
KR200196843Y1 (ko) | 조립식 도복도 구조 | |
US3389513A (en) | Structural panels and structures containing such panels | |
KR101610669B1 (ko) | 조립식 파라솔 | |
KR101049004B1 (ko) | 돔 구조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돔 구조물 | |
CN110573683B (zh) | 屋顶构造物及其施工方法 | |
JP6663720B2 (ja) | 自在格子パネル、その支柱接続構造、及び防護柵 | |
KR100840031B1 (ko) | 한국형 하우스 골조 | |
KR950009608B1 (ko) | 경량철골 구조물 | |
KR101610674B1 (ko) | 조립식 파라솔의 방사형 살 | |
JP3084798U (ja) | 移動式ユニットハウス用、雨よけ下屋フレーム | |
KR101539371B1 (ko) | 모멘트 저감 산형 골조 | |
JPH076388Y2 (ja) | 金属製簡易車庫の組立構造 | |
JP2550016Y2 (ja) | 簡易構築物における支柱構造 | |
KR200201594Y1 (ko) | 조립식 울타리 | |
CN214834146U (zh) | 一种天沟与落水管连接头 | |
JP3006022U (ja) | 建築足場用庇装置 | |
JP7138759B2 (ja) | 簡易構造物 | |
CN211549053U (zh) | 一种遮阳挡 | |
CN219622452U (zh) | 一种工地围挡 | |
KR102463817B1 (ko) | 캐노피용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 |
CN219794794U (zh) | 一种混凝土花瓣休息亭 | |
EP1195478A1 (en) | Hingable yoke for covering scaffoldings | |
AU2002301841B2 (en) | A Method of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11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