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65Y1 -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65Y1
KR200196565Y1 KR2020000012009U KR20000012009U KR200196565Y1 KR 200196565 Y1 KR200196565 Y1 KR 200196565Y1 KR 2020000012009 U KR2020000012009 U KR 2020000012009U KR 20000012009 U KR20000012009 U KR 20000012009U KR 200196565 Y1 KR200196565 Y1 KR 200196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oll
unit
soun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성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성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성무역
Priority to KR2020000012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폰으로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 머리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한 인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드폰 보관 주머니를 구비하여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보관 주머니에 핸드폰의 유무를 감지토록 하는 감지 센서를 갖는 인형 몸체와; 모터에 연결된 벨트와 풀리기어와 중간기어 및 휘일기어 그리고 링크에 연결된 작동 로드로 이루어진 동력 전달부를 커버로 감싸 인형 몸체에 설치된 무빙 발생부와; 신호 선택부와 신호 증폭부 및 주파수 출력부를 갖는 전화 신호 감응 IC와; 사운드 메모리부의 저장된 값이 제어부를 경유하여 제어 인입출부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 및 트랜지스터 그리고 스피커를 갖는 음향 발생부로 출력되도록 한 사운드 IC와; 제어 인입출부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 및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져 휴대폰에 착신 신호가 발생할 경우, 인형의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멜로디 소리가 들리도록 하여 시각과 청각으로 전화가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doll have a signal come to a hand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에 착신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이 신호를 접수하고 증폭시켜 사운드 IC에 저장된 멜로디를 스피커로 출력시키고, 동시에 무빙부를 구동시켜 인형의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원거리나 소음이 발생하는 곳에서도 청각과 시각을 이용하여 전화가 걸려 왔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평상시 장식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게 됨과 동시에 멜로디가 들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가 걸려 왔다는 것을 알게 해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을 경우, 멜로디 소리가 들려 받을 수 있으나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그 소리가 들리지 않아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장 내에서는 휴대폰에서 멜로디 소리가 발생하더라도 소음에 의해 잘 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전화를 받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휴대폰을 놓아 둔 위치를 깜빡 잊은 경우, 휴대폰의 벨이 울리더라도 이를 찾아 헤매는 사이에 끊기게 되어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평상시 장식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아울러 핸드폰 보관 주머니를 구비하여 핸드폰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 주머니 내에 핸드폰의 유무를 감지하여 전원을 단속하는 핸드폰 감지 센서가 구비된 인형 몸체와; 모터와, 모터축에 구비된 풀리와, 기어가 케이스 내에 설치되도록 풀리가 일체로 구비된 풀리기어와, 풀리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기어가 케이스 내에 설치되도록 휘일이 일체로 구비된 휘일기어와, 상기 기어 사이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중간기어와, 휘일기어에 핀으로 연결된 링크와, 링크의 상단부로 로드의 힌지링크에 핀으로 연결된 작동 로드로 이루어진 동력 전달부가 배터리 케이스를 구비한 밑판 위에 고정되어 커버로 감싸지도록 구비되어 인형 몸체 내에 설치되어져 인형 몸체의 일부를 움직이도록 하는 무빙 발생부와; 신호 선택부와 신호 증폭부 및 주파수 출력부로 이루어져 핸드폰의 착신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되도록 무빙 발생부에 내설된 전화 신호 감응 IC와; 전화 신호 감응 IC의 출력값으로 사운드 메모리부의 저장된 값이 제어부와 제어 인입출부를 경유하여 제어 인입출부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 및 트랜지스터 그리고 스피커를 갖는 음향 발생부로 출력되도록 무빙 발생부에 내설된 사운드 IC와; 제어 인입출부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 및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무빙 발생부의 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져 핸드폰에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인형의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함과 동시에 멜로디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곳에서도 청각과 시각을 이용하여 전화가 왔다는 것을 알수 있도록 하여 통화를 가능케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그널 장치가 내장된 인형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형 내부에 설치되는 음향 발생부와 무빙 발생부가 조합된 시그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그널 장치에 구비된 무빙 발생부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그널 장치에 구비된 무빙 발생부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그널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시그널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핸드폰 보관 주머니, 3:핸드폰 감지 센서, 4:무빙 발생부, 5:음향 발생부,
5:나사, 6,6a:커버, 7:밑판, 8:배터리 케이스, 9:동력 발생부,
10:케이스, 11:배터리, 12:모터, 13:모터축, 14:풀리, 15:벨트,
16:풀리기어, 16a:풀리, 16b:기어, 17:휘일기어, 17a:휘일, 17b:기어,
18:중간기어, 19:링크, 19a:핀, 20:로드, 21:힌지링크, 22:핀,
23:작동 로드, 26:기판, 27:스피커, 28:전화 신호 감응 IC,
29:사운드 IC, 30:신호 선택부, 31:신호 증폭부, 32:주파수 출력부,
33:사운드 메모리부, 34:제어부, 35:제어 인입출부, R1,R2:저항,
TR1,TR2:트랜지스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1)은 평상시 책상이나 선반 위에 놓아 장식용으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전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하는 핸드폰 보관 주머니(2)를 구비하여 필요시 핸드폰을 넣어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핸드폰 보관 주머니(2)에 핸드폰 감지 센서(3)를 설치하여 보관 주머니(2)에 핸드폰이 있을 경우, 전원을 인형(1) 내부에 설치된 무빙 발생부(4)와 음향 발생부(5)로 인가되도록 하는 가운데 핸드폰(6)에 착신 신호가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이 신호를 증폭시켜 음향 발생부(5)와 무빙 발생부(4)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인형의 머리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무빙 발생부(4)는 나사(5)로 좌우가 결합되는 계란 형태를 갖는 커버(6)(6a)의 내부로 밑판(7)에 배터리 케이스(8)가 고정되어 있고, 이 배터리 케이스(8)와 밑판(7)에 동력 발생부(9)가 내장된 케이스(10)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 발생부(9)는 배터리(1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12)가 케이스(1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축(13)에 고정된 풀리(14)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14)에 연결된 벨트(15)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기어(16)를 케이스(10)의 상단부에 설치하되, 이 풀리기어(16)는 벨트(15)에 연결되는 풀리(16a)와, 이 풀리(16a)에 기어(16b)를 일체로 구비하여 기어(16b)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기어(17b)가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도록 휘일(17a)이 일체로 구비된 휘일기어(17)가 풀리기어(16)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0) 내에 중간 기어(18)를 구비하여 기어(16b)와 기어(17b)가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휘일기어(17)에 핀(19a)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링크(19)가 연결되어 있고, 이 링크(19)의 상단부에 로드(20)를 갖는 힌지링크(21)에 핀(22)으로 연결된 작동 로드(23)를 구비하되, 이 작동 로드(23)의 힌지링크(21)의 양단은 커버(6)(6a)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힌지공(24a)(25a)을 갖는 고정단(24)(25)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편, 커버(6)의 내측에는 기판(26)과 스피커(27)를 고정하되, 이 기판(26)에는 전화 신호 감응 IC(28)와 음향 발생부(5)의 사운드 IC(29) 및 모터(12)와 스피커(27)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전기소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화 신호 감응 IC(28)는 안테나에서 900MHz~1800MHz에 해당하는 핸드폰 신호를 접수 또는 감지하는 신호 선택부(30)와, 이 신호 선택부(30)에서 감지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31) 및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출력부(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사운드 IC(29)는 여러 가지 음향을 갖는 메모리부(33)와, 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값이 주파수 출력부(3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음향 발생부(5)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34) 및 제어 인입출부(3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주파수 출력부(3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제어부(34) 및 제어 인입출부(35)에 의해 동시에 무빙 발생부(4)의 모터(12)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 인입출부(35)의 출력단에는 각각 저항(R1)(R2) 및 트랜지스터(TR1)(TR2)를 통해 배터리(11)의 전류가 모터(12)로 통전되도록 하고, 동시에 사운드 IC(29)의 음향 값이 스피커(27)를 통해 외부로 들리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C1, C2는 콘덴서이며,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인형(1)의 핸드폰 보관 주머니(2)에 핸드폰(6)이 삽입되면, 그 밑부분에 핸드폰 감지 센서(3)가 ON인 상태가 됨으로써, 배터리(11)의 전류는 무빙 발생부(4)와 음향 발생부(5)에 인가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드폰에 착신 신호가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이 착신 신호는 전화 신호 감응 IC(28)의 신호 선택부(30)에 의해 감지되고, 여기서 감지된 신호는 신호 증폭부(31)를 경유하면서 일정한 비율로 증폭되고, 이어 주파수 출력부(32)를 통해 사운드 IC(29)의 제어부(34)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4)는 주파수 출력부(3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사운드 IC(29)의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며, 이 출력값은 제어 인입출부(35)로 출력단의 값이 ON이 됨으로써, 저항(R1) 및 트랜지스터(TR1)가 ON이 되어 스피커(27)를 통해 멜로디가 들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다른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R2)가 ON이 됨으로써, 배터리(11)의 전류가 모터(12)로 통전되어 이를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12)의 회전력은 모터축(13)에 고정된 풀리(14)와 벨트(15)를 통해 풀리기어(16)로 전달되고, 이 회전력은 다시 중간기어(18)를 거쳐 휘일기어(17)를 연동시키게 된다.
휘일기어(17)가 회전함에 따라 핀(19a)으로 고정된 링크(19)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힌지공(24a,25a)을 갖는 고정단(24)(25)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힌지링크(21)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로드(20)를 좌우로 왕복운동 시키게 된다. 이 로드(20)가 좌우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인형의 머리가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드폰 보관 주머니(2)에 있는 핸드폰(6)을 빼내게 됨과 동시에 센서(3)가 OFF되어 무빙 발생부(4)와 음향 발생부(5)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멜로디와 인형의 움직임이 멈추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핸드폰의 전화신호가 오면 무빙 발생부를 구동시켜 인형의 머리를 움직이도록 하였으나, 이 무빙 발생부의 로드를 인형의 발이나 손등에 연결할 경우 발이나 손을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 책상 위나 선반 위에 올려놓아 장식용으로 사용하여 주위 미관을 돋보이게 하고, 전면에 구비된 핸드폰 주머니에 핸드폰을 보관토록 함으로써, 핸드폰의 착신 신호가 왔을 경우 그 내부에 설치된 전화 신호 감응 IC에 의해 이를 접수하여 증폭시키고, 이 값으로 사운드 IC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여 원거리와 소음이 발생하는 장소내에서도 들리도록 하고, 동시에 무빙 발생부를 구동시켜 인형의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여 멀리서 눈에 띄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왔음을 알려 통화를 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평상시 장식용으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전면에 핸드폰 보관 주머니(2)를 구비하여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 주머니(2) 내에 핸드폰의 유무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핸드폰 감지 센서(3)가 구비된 인형 몸체(1)와;
    모터(12)와, 모터축(13)에 구비된 풀리(14)와, 기어(16b)가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도록 풀리(16a)가 일체로 구비된 풀리기어(16)와, 풀리(14)와 풀리(16a)를 연결하는 벨트(15)와, 기어(17b)가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도록 휘일(17a)이 일체로 구비된 휘일기어(17)와, 상기 기어(16b)(17b) 사이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중간기어(18)와, 휘일기어(17)에 핀(19a)으로 연결된 링크(19)와, 링크(19)의 상단부로 로드(20)의 힌지링크(21)에 핀(22)으로 연결된 작동 로드(23)로 이루어진 동력 전달부(9)가 배터리 케이스(8)를 구비한 밑판(7) 위에 고정되어 커버(6)(6a)로 감싸지도록 구비되어 인형 몸체(1) 내에 설치되어져 인형 몸체의 일부를 움직이도록 하는 무빙 발생부(4)와;
    신호 선택부(30)와 신호 증폭부(31) 및 주파수 출력부(32)로 이루어져 핸드폰의 착신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되도록 무빙 발생부(4)에 내설된 전화 신호 감응 IC(28)와;
    상기 전화 신호 감응 IC(28)의 출력값으로 사운드 메모리부(33)의 저장된 값이 제어부(34)와 제어 인입출부(35)를 경유하여 제어 인입출부(35)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R1) 및 트랜지스터(TR1) 그리고 스피커(27)를 갖는 음향 발생부(5)로 출력되도록 무빙 발생부(4)에 내설된 사운드 IC(29)와;
    상기 제어 인입출부(35)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R2)를 경유하여 무빙 발생부(4)의 모터(12)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하여 핸드폰이 걸려오면 인형의 머리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음량이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KR2020000012009U 2000-04-27 2000-04-27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KR200196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009U KR200196565Y1 (ko) 2000-04-27 2000-04-27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009U KR200196565Y1 (ko) 2000-04-27 2000-04-27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565Y1 true KR200196565Y1 (ko) 2000-09-15

Family

ID=1965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009U KR200196565Y1 (ko) 2000-04-27 2000-04-27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272B1 (ko) * 2000-05-16 2002-11-07 조석현 캐릭터용 핸드폰
KR100693124B1 (ko) 2004-09-23 2007-03-13 국태용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272B1 (ko) * 2000-05-16 2002-11-07 조석현 캐릭터용 핸드폰
KR100693124B1 (ko) 2004-09-23 2007-03-13 국태용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706B2 (en) Hands-free car kit
JP4149569B2 (ja) 閉鎖可能な通信装置およびそれを動作する方法
WO1993013604A1 (en) Cellular phone battery packs with and without integral microphone
WO2006084162A3 (en) Portable remote locator device
EP1098387A4 (en)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N WHICH IT IS USED
KR930702827A (ko) 이동 안테나의 위치에 응답하는 라디오 모드
KR20070016673A (ko) 다중 원격 호출기기
EP1209863A3 (en) Country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196565Y1 (ko) 핸드폰의 착신을 알려 주는 인형
WO2003077087A3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ans for registering its arrangement in space
JP3950825B2 (ja) 携帯電話装置並びにそ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200416009Y1 (ko) 외장형 폴더 스피커
KR1004839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알림을 위한 el 무선구동 표시장치
KR100688296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KR200232578Y1 (ko) 휴대폰 착신 알람 장치
KR200163811Y1 (ko) 휴대폰커버
KR20060061618A (ko)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KR20020031586A (ko) 휴대폰착신을 알리는 동작완구
JP2002368844A (ja) 携帯電話機
KR200408528Y1 (ko) 휴대폰 분실방지 액세서리
KR200224753Y1 (ko) 휴대폰의 착신을 알려주는 작동구
KR200218507Y1 (ko) 휴대폰착신을 알리는 동작완구
KR200317850Y1 (ko) 죠그셔틀을 이용한 버튼없는 전화기
JPH04281630A (ja) 携帯形無線機の感知方法
KR200241000Y1 (ko) 휴대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