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618A -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618A
KR20060061618A KR1020040100410A KR20040100410A KR20060061618A KR 20060061618 A KR20060061618 A KR 20060061618A KR 1020040100410 A KR1020040100410 A KR 1020040100410A KR 20040100410 A KR20040100410 A KR 20040100410A KR 20060061618 A KR20060061618 A KR 20060061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erminal
terminal body
inclination
perso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1618A/ko
Publication of KR2006006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4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wherein the setting-operation short-circuits or open-circuits the transmitting mechanism during a variable part of a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인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기울기 센서, 및 가변 진동부를 포함하며, 가변 진동부는 기울기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진동 세기를 달리할 수가 있다.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진동 세기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 본체가 직립하는 주머니에서는 진동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가 수평하게 유지되는 탁자 상에서는 진동 세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휴대폰, 핸드폰, 기울기 센서, 틸트센서

Description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TILT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IBRATION MODE OF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가 수평하게 놓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개인휴대단말기 110:단말기 본체
120:기울기 센서 130:가변 진동부
132:진동 모터 134:가변 공급기
140:제어부 150:수신모드 메모리
본 발명은 진동 모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주변 상황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에서 통화 수신을 알리는 방법으로 벨, 램프 또는 진동을 이용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는 벨 소리를 이용한 수신 모드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주변이 소음이 많아 벨 소리가 잘 들리지 않거나 공공장소 또는 회의실과 같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벨 수신 모드에서 진동 수신 모드로 전환하거나 진동 수신 모드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벨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수신을 확인하는 경우는 전화를 수신할 때 외에도 메시지 수신, 알람(Alarm), 모닝콜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폰에서 진동의 세기는 일정하다. 따라서 휴대폰은 본체의 자세, 사용되는 장소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세기의 진동을 발생하게 되며,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 이상의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감지 조차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머니에 휴대폰을 소지하는 경우, 주변 섬유 및 옷감에 의 해서 진동이 흡수될 수 있으며, 진동 세기의 저하로 인해 사용자는 전화 수신을 인식하지 못할 수가 있다. 또한, 다른 예에 따르면, 휴대폰을 탁자 위에 올려 놓는 경우 갑작스런 진동 발생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놀라거나 불쾌감을 느낄 수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폰이 개시되어 있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 매번 진동 세기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환경에 따라 진동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본체가 놓여지는 또는 보관되는 자세에 따라 진동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울기 센서, 및 기울기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진동세기를 달리하는 가변 진동부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단말기 본체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가변 진동부는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휴대단말기가 가방이나 옷 주머니에 있을 때 개인 휴대단말기는 대체로 직립 상태 또는 옆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있게 되는데, 기울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가변 진동부가 상대적으로 큰 진동 세기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탁자 상에 있을 때 개인휴대단말기는 대체로 눕거나 엎어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되는데, 기울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가변 진동부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작은 진동 세기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은 기울기 센서가 장착된 단말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제어부로부터 진동부의 작동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기울기 센서로부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회하는 단계, 및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진동부의 진동 세기를 달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착신, 메시지 수신, 알람 등을 알림에 있어 벨이나 진동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벨 또는 진동 중 하나만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다르게는 벨과 진동, 진동 후 벨, 벨 후 진동 등 벨 및 진동을 조합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전화 착신이나 메시지 수신 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수신 모드를 조회할 수 있으며, 조회된 수신 모드가 진동 수신 모드를 포함할 때 제어부는 진동부의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부의 작동 신호에 대응하여 기울기 센서로부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회할 수 있으며, 진동부는 기울기에 의해서 선택된 또는 계산된 진동 세기로 미리 프로그램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10), 기울기 센서(120) 및 가변 진동부(13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는 단말기 케이스, 키 패드,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의 형상 또한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타일로 형성될 수가 있다.
기울기 센서(120)는 단말기 본체(110)에 장착된다. 기울기 센서(120)는 단말 기 본체(110)의 전후 및 좌우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가 세워져 있는 경우, 누워 있는 경우,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 엎드린 경우 등을 감지할 수가 있다. 이렇게 단말기 본체(110)의 다양한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서 3차원 기울기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기울기 센서(120)는 연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가 있다.
가변 진동부(130)는 기울기 센서(120) 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변 진동부(130)는 진동 모터(132) 및 가변 공급기(134)를 포함한다. 가변 공급기(134)는 제어부 등의 제어에 의해서 진동 모터(132)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진동 모터(132)는 공급되는 전원에 대응하여 다른 진동 세기를 갖는 진동을 발생할 수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100)의 내부에는 기울기 센서(120), 제어부(140), 수신모드 메모리(150), 가변 공급기(134) 및 진동 모터(132)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외부 전화 착신에 대응하여 기울기 센서(120)로부터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회할 수 있으며, 수신모드 메모리(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신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기울기 및 수신모드에 따라 제어부(140)는 진동부의 진동 세기를 선택 또는 산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진동 모터(132)는 다른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로 세워져 있다. 직립 상태는 단말기 본체(110)가 가방이나 옷 주머니에 보관된 상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주변의 부드러움 옷감 등에 의해서 단말기 본체(110)의 진동이 쉽게 흡수될 수 가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에 있는 경우, 기울기 센서(120)는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가변 진동부(130)가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로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10)는 가방이나 옷 주머니 등에서 직립 상태 또는 옆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단말기 본체(110)가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에도 기울기 센서(120)는 이러한 단말기 본체(110)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가변 진동부(130)가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로 진동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10)가 탁상 또는 기타 기초물 상에 위를 향하여 수평하게 누워 있는 상태에 있다. 도 2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100)를 탁자 등에 올려 놓고 대화하거나 수시로 단말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진동을 쉽게 파악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가변 진동부(130)의 진동 세기를 낮게 유지하여도 사용자는 전화 착신이나 메시지 수신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탁자 상에서 일률적으로 사용되는 진동 세기로 갑자기 진동하게 되면, 주변 사람들이 놀라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기울기 센서(120)는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가변 진동부(130)가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로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순서도들을 참조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방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기의 설명은 상술한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 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120)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110)가 제공된다(S11). 단말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하며, 무선통화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일정 알림 기능, 모닝콜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러 기능에 대응하는 착신 또는 수신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인식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외부 접속에 대해 모두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를 개시하는 것은 아니며, 수신 모드 중 진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를 인식할 수가 있다(S12).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에 장착된 기울기 센서(120)로부터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회할 수 있다(S13). 기울기 조회를 통해서,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 옆으로 누운 상태, 수평한 상태, 반전된 상태 등을 인식할 수가 있다.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에 따라 제어부(140)는 진동 세기를 선택 또는 산출할 수 있으며, 선택 또는 산출된 진동 세기를 정의할 수 있다(S14). 정의된 진동 세기는 가변 공급기(134)를 제어하는 변수가 되며, 제어된 가변 공급기(134)는 진동 모터(132)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변 진동부(130)의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S15).
일 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 또는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 세기로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가 수평 또는 반전된 상태로 누워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로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120)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110)가 제공된다(S21). 단말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하며, 무선통화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일정 알림 기능, 모닝콜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러 기능에 대응하는 착신 또는 수신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외부 전화 접속, 메시지 전송, 또는 알림 기능 작동 등과 관련된 수신 신호를 입력 받는다(S22).
제어부(140)는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벨 모드, 램프 모드, 진동 모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선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사항을 인지하도록 보조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내부 또는 외부의 수신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모드를 조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수신모드 메모리(150)를 포함하며, 수신모드 메모리(150)에는 벨 모드, 무음 램프 모드, 진동 모드, 벨-진동 모드, 벨 후 진동 모드, 진동 후 벨 모드 등 각 수신 유형에 따라 공통된 또는 구별된 수신모드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수신모드 메모리(150)에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특정 수신 모드를 조회할 수 있으며, 특성 수신 모드로부터 진동부의 작동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3).
조회된 특성 수신 모드에서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에 대한 설정이 없는 경 우, 즉, 벨 모드 또는 무음 램프 모드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할 필요가 없으며, 벨 또는 무음 램프 모드만 작동할 수 있다(S24).
하지만, 조회된 특성 수신 모드에서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설정이 확인될 때, 제어부(140)는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에 장착된 기울기 센서(120)로부터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회할 수 있다(S25). 기울기 조회를 통해서,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 옆으로 누운 상태, 수평한 상태, 반전된 상태 등을 인식할 수가 있다.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에 따라 제어부(140)는 진동 세기를 선택 또는 산출할 수 있으며, 선택 또는 산출된 진동 세기를 정의할 수 있다(S26). 정의된 진동 세기는 가변 공급기(134)를 제어하는 변수가 되며, 제어된 가변 공급기(134)는 진동 모터(132)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가변 진동부(130)의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S27).
일 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 또는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 세기로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가 수평 또는 반전된 상태로 누워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로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120)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110)가 제공된 다(S31). 단말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하며, 무선통화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일정 알림 기능, 모닝콜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러 기능에 대응하는 착신 또는 수신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인식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외부 접속에 대해 모두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를 개시하는 것은 아니며, 수신 모드 중 진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를 인식할 수가 있다(S32).
가변 진동부(130)의 작동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에 장착된 기울기 센서(120)로부터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조회할 수 있다(S33). 기울기 조회를 통해서,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 옆으로 누운 상태, 수평한 상태, 반전된 상태 등을 인식할 수가 있다.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로부터 개인휴대단말기(100)가 수평 또는 반전 상태에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100)가 수평 또는 반전 이외의 상태로 있으면, 제어부(140)는 단말기 본체(110)의 기울기에 따라 진동 세기를 선택 또는 산출할 수 있으며, 선택 또는 산출된 진동 세기를 정의할 수 있다(S37). 일 예로, 단말기 본체(110)가 직립 상태 또는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 세기로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S38).
또한, 개인휴대단말기(100)가 수평 또는 반전으로 놓여진 상태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달리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10)가 반전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5), 단말기 본체(110)가 반전 상태에 있을 때에는 기울기에 따라 진동 세기를 조절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110)가 수평 상태에 있는 때에는 기울기에 따라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S37), 일 예로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로 가 가변 진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S38)
따라서 사용자는 수평 또는 반전 상태에 대한 진동 세기 설정을 미리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탁자 상에 개인휴대단말기(100)를 수평 또는 반전 상태를 선택하여 올려 놓음으로써 진동 세기에 대한 기능을 변경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사용환경에 따라 진동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가 놓여지는 또는 보관되는 자세에 따라 진동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개인휴대단말기가 강한 세기로 진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탁자나 책상에 놓일 때는 약한 세기로 진동하도록 조절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진동세기를 달리하는 가변 진동부;를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진동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변경하는 가변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신 모드를 저장하는 수신 모드 메모리; 및
    상기 수신 모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수신 모드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가변 진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3차원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단말기.
  5. 기울기 센서가 장착된 단말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제어부로부터 진동부의 작동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진동부의 진동 세기를 달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수신, 메시지 수신, 알람 또는 모닝콜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부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진동부의 작동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신 모드를 저장하는 수신 모드 메모리를 유지하고, 수신 시 상기 수신 모드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 모드로부터 상기 진동부 작동 여부를 조회하고, 상기 진동부 작동 여부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진동부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는 에티켓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티켓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상기 진동부의 진동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수평인 경우보다 상기 단말기 본체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상기 진동부는 상대적으로 적은 진동 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3차원 방향에 대한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수평 또는 반전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상기 진동부의 진동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KR1020040100410A 2004-12-02 2004-12-02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KR20060061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410A KR20060061618A (ko) 2004-12-02 2004-12-02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410A KR20060061618A (ko) 2004-12-02 2004-12-02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618A true KR20060061618A (ko) 2006-06-08

Family

ID=3715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410A KR20060061618A (ko) 2004-12-02 2004-12-02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16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0287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Context determin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8131252B2 (en) 2006-12-01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edium for analyzing environment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US8700101B2 (en) 2011-03-09 2014-04-15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4307A (ko) * 2014-12-05 2015-01-12 주식회사 큐블릭미디어 무선호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1252B2 (en) 2006-12-01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edium for analyzing environment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09150287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Context determin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8700101B2 (en) 2011-03-09 2014-04-15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399034B1 (ko) * 2011-03-09 2014-05-27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자 장치
US9094932B2 (en) 2011-03-09 2015-07-28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US9521651B2 (en) 2011-03-09 2016-12-13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4307A (ko) * 2014-12-05 2015-01-12 주식회사 큐블릭미디어 무선호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045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50019171A (ko)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532069A (ja) センサスクリーンセーバー
WO2007004352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着信報知動作制御方法
TWI384850B (zh) 手機及自動切換手機來電提示之方法
KR20060061618A (ko)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JP200702802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88296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JP3950825B2 (ja) 携帯電話装置並びにそ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0375410B1 (ko)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및
JP4073096B2 (ja) 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制御装置及び着信音制御方法
JP2003258942A (ja) 携帯端末
WO2007072547A1 (ja) 携帯端末システム
JPH11155001A (ja) 携帯無線電話装置および機能付加装置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JP3568472B2 (ja) 携帯電話
JP2000134293A (ja) 携帯用通信機器
KR200224753Y1 (ko) 휴대폰의 착신을 알려주는 작동구
JP2003264611A (ja) 携帯通信端末
JP2940516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60060772A (ko) 오디오출력의 자동변경기능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에서의 오디오출력의 자동변경방법
JP2852199B2 (ja) 無線端末機
KR100538616B1 (ko) 단말기의 수신 모드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20092106A (ko) 휴대폰의 진동세기 조절 장치
KR100874763B1 (ko) 핸드폰의 진동모드 세기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