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51Y1 -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51Y1
KR200196551Y1 KR2020000011407U KR20000011407U KR200196551Y1 KR 200196551 Y1 KR200196551 Y1 KR 200196551Y1 KR 2020000011407 U KR2020000011407 U KR 2020000011407U KR 20000011407 U KR20000011407 U KR 20000011407U KR 200196551 Y1 KR200196551 Y1 KR 200196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ponse
transmission
recogni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호서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호서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호서텔넷
Priority to KR2020000011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에 위치한 단말기와 복수의 리모트 단말기로 구성된 송수신 시스템에는 자동 및 수동으로 데이터 인식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되, 일정시간 간격 동안 호출된 수신기에 의한 적절한 메시지가 제대로 수신되었고 원호출자에게 그 사실이 알려졌음을 표시하며, 일정시간 간격 동안에 응답에 실패하면 단말기는 원호출자에게 그 사실 그대로 부정적인 응답을 보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 시스템{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with sequentially transmitting response capability}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송수신 시스템과 관련된 것이고, 더 자세하게는 응답 능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명된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인식 응답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또는 착용자에게 도움을 주도록 장치가 설비되고 만약 그렇다면 그 응답을 언제 보내는지, 언제 보내지 않는지에 따라, 분리적이고 부가적인 자동 응답 인식 신호가 요구된다.
송수신 시스템은 수년간에 걸쳐서 주파수와 사용정도 뿐 아니라 복잡성에 있어서 발전해왔다. 이제는 정말 비지니스에 필수요소가 되었다. 덧붙여, 다양한 종류의 송수신 리시버가 발전되어 왔다. 톤 온리 단말기, 톤 및 음성 단말기, 최근에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문자와 숫자로 보여주는 응답 단말기도 나왔다. 더구나, 송수신 메시지의 시발점을 찾는 장치들도 많이 다양화되었다. 표준 전화를 사용하여 음성으로 전화를 하거나,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을 전하거나 또는 비디오 단말기를 통해서 음성을 전하는 것이 그것이다.
앞으로 설명할 모든 다른 형태의 송수신 수신기들은 하나의 시스템 안에 혼합되거나 그러한 시스템이 하나의 송수신 수신기 형태로 만들어진다. 어떠한 경우에, 자동 인식전송 특징을 갖는 수신기들에 사용자들을 혼동시키는 과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에 의해 응답해야 하는지 여부를 잘 모를 수도 있다. 만약 그럴 경우, 자동인식 버튼을 누르면 된다.
처음 전화를 건 사람과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트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호출 되었을 때, 단말기 사용자가 어드레스를 수신한 다음 메세지를 수신하고 이해하는 위치에 있느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 수신기가 사용자와 따로 떨어져 책상 위에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 그 자체는 그것이 켜져 있다 하더라도 송수신 호출을 수신할 수는 있지만 단말기 사용자는 다른 곳에 있기 때문에 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비슷한 경우에, 송수신 수신기는 베터리 충전 상태에 있어서, 수신하거나 자동 역방향으로 인식 신호를 보낼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도 있다. 더 나아가, 단말기가 사용자의 수중에 있어서 자동 역방향으로 인식 신호에 응답하고 신호를 보내더라도, 사무실 같은 공간에서 외부 장애 때문에 전달통로가 막히는 경우도 있다. 특별한 경우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메시지를 잃어버리는 결과는 낳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어드레스 호출 수신에 대한 자동 역방향 신호에 대한 인식 응답의 능력을 단말기가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불확실한 경우가 많으며, 어떠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책임과 언제 호출을 받았는지 뿐만 아니라 호출자로부터 응답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자동 응답인식 능력을 갖는 송수신 시스템에 대해 혼란이 있을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또한 호출된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할 능력과 준비는 갖추고 있는지 또는 특정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해했는지에 관하여, 어디에서 단말기가 전송되었고 호출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 중앙 또는 베이스 사이트 위치에서 불확실함이 있다. 호출된 단말기와 수신된 자동 응답인식 신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전송되고 수신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호출을 시작한 중앙 베이스테이션에서 전화를 건 사람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응답이 있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긍정적 인식' 응답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수신하고 때에 맞추어 응답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부정적 응답은 확인이 부족하였음을 나타낸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클로즈드 루프 역방향 인식 송수신 배열 및 전술할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더 특별한 목적은, 단말기 사용자가 지시기에 의해 어떻에 응답하고 언제 응답하는지에 관하여 적절한 응답인식 조작 응답 과정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는 형태의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긍정적인 피드백이 사용되어 모든 특별한 부분에 대한 잠재적인 혼동을 최소화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의도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부정적인 응답을 한 경우에 긍정적인 응답을 할 수 있는 형태의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송수신 시스템(10)은, 중앙 베이스 스테이션과 복수의 리모트 단말기들을 갖는 송수신 시스템(10)에 있어서, 단말기(100) 위에 설치된 표시 수단과;
상기 단말기(100)에 의해 송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간격 동안 상기 표시 수단을 작동시키고, 수신된 어드레스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신호에 자동 응답을 되돌려보내는 수단 및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고 원 호출자에게 그렇게 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에 따라 상기 긍정적 응답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재전송되고, 원 호출자에게도 표시가 되며,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지 않으면, 부정적 응답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되돌려보내지고 원 호출자에게도 표시가 되는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수단을 포함하는 특정 송수신 호출 상태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며, 중앙 베이스 스테이션과 복수의 리모트 단말기들을 갖는 송수신 시스템(10)에 있어서,
단말기(100)에 표시 수단을 제공하고 단말기(100)에 의해 송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간격 동안 상기 표시 수단을 작동시켜 수신된 어드레스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신호를 자동 응답을 되돌려 보내고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상기 메시지가 제대로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고 원 호출자에게도 알려주는 긍정적 응답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보내거나, 상기 지정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지 않아 부정적인 응답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되돌려 보내고 원 호출자에게도 전달하는 연관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 간격 동안 수동으로 긍정적 응답을 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트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송수신 호출 상태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송수신 호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고안과 연관되어 설계된 자동응답 전송능력을 갖는 송수신 시스템의 그래픽도.
도 2는 자동 및 수동 응답전송 능력과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부재를 보여주는 시스템 단말기 블록 다이아그램.
도 3은 문자 및 음성 페이지에 대한 단말기 측으로부터의 응답전송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특별한 질문 신호가 응답전송에 필요한 매우 활발한 시스템에 대한 도 4의 진행과정의 개조 흐름도.
도 5는 톤 및 음성 호출용 시스템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인식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예상된 수동 응답을 생산하고 보내기 위한 특정 질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도 5의 과정 단계에 대한 개조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송수신 시스템 20 - 안테나 스위치
21, 23 - 스피커 24 - 화면
25 - 단말기 콘트롤 26 - 푸쉬 버튼
27 - 수동 응답 표시기 28 - 메모리
52 - 전송부 58 - 인식 디코더 모듈
64 - 래치 100 - 단말기
101 - 송수신 전송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기한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실행할 때에, 복수의 연합 송수신 수신기가 자동 응답인식 능력을 갖고 더 나아가 상기 단말기가 수동 조작용 역-인식 응답을 할 수 있는 조작 버튼과 함께 시청각 지시 부재를 장착한 송수신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이다. 단말기가 호출(어드레스)을 수신할 때, 자동 으로 응답인식 신호가 발생하고 전송된다. 더 나아가, 다음 메시지와 이미 결정된 시간 사이의 간격 동안 타임 윈도우가 형성되어, 상기 간격 동안 수동 응답이 상기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게 하고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 의해 호출이 시작된 곳에 응답을 확인하게 하며, 호출 시스템이 상기 간격 동안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그리고 이해되지 않았으며 원호출자에게 또 한 전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응답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수동 응답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단말기 소지자에게 조언을 하도록 제공되며, 수동 응답이 요구된다면, 응답을 보내기 위해서는 언제 연합 조작을 실행해야 하는지 조언하도록 한다.
호출 시스템 도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시스템은 여기서 본 고안에 따라 설계되었고 수동 인식 신호 응답 뿐 아니라 자동 인식 신호 응답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
문자 단말기(100)는 송수신 요청을 처리하고 내부 메모리로부터의 적절한 어드레스를 추출하며 송수신 수신기 소지자 또는 사용자에게 경보를 울리고 정보를 처리하는 적절한 시스템 단말기에 의해 차례대로 수신되는 송수신 호출을 방송할 송수신 전송기(101)를 작동시킨다. 앞으로 설명하는 대로, 상기 시스템의 단말기는 (100a)로 지정된 톤 온리 형태이거나 (100b)로 지정된 톤 및 음성 단말기이거나 (100c)로 지정된 문자 및 숫자 표시 형태이다.
이미 언급하였지만, 시스템(10)은 한 시스템 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단말기들을 혼합한 것이거나, 특정 한가지 타입의 단말기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시스템(10)내부의 각각의 단말기들은 중앙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전송기(101)에 의해 단말기 되자마자 자동 응답인식 신호로 응답하도록 설비되어 있다.
전체 단말기(100)는 안테나 스위치(20), 전송부(52), 스피커(21), 문자 및 숫자 표시 타입인 경우, 화면(24), 래치(64), 응답인식 인코더 콘트롤러(25b)에 접속된 수동 조작 버튼(26), 수동 응답 표시기(27)로 구성된다. 표시기(27)는 LCD 표면 또는 외부 단말기 하우징 위에 나타나는 LED이다. 여기에 덧붙여서, 단말기의 일부인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한다.
작동에 있어서, 호출은 적절한 수신채널로 수신되고 이어서 콘트롤러(25)에 이해 처리되는데, 예를 들어, 기존의 톤, 음성 페이지용 표존 전화로부터 호출된 것을 받으면 메모리(28)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용 필수 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톤들은 출력 콘트롤 선위에서 전송기(101)에 출력되고 안테나(102)에 의해 방송된다. 어드레스는 페이지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단말기 콘트롤(25)에 의해 처리된다. 어드레스 디코더(28a)에 의해 디코드되고 인식되자 마자 자동 역-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단말기 전송기부(21)에 의해 안테나(102)에 전송되며, 인식 디코더 모듈(58)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된다. 이러한 일련의 자동 응답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동은 전혀 없으며, 단지 단말기가 켜져있어서 특정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만 하면 된다.
송신기(101)에 의해 안테나(102)로부터의 자동 인식 응답을 수신하여 처리하자마자, 메시지가 같은 방식으로 단말기(100)에 전송된다.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응답 간격 동안, 단말기 소지자가 수동 인식 응답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동 푸쉬버튼(26)을 눌러야 한다. 베이스 센터 사이트에서 수신되고 처리되었을 때, 송수신기 메시지가 단말기 소지자에 의해 제때에 맞게 수신되고 인식되었는지 그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원 호출자는 단말기(25)에 저장된 이미 프로그램된 메시지에 의해 조언을 받게 된다.
상기 언급한 응답 간격 동안, 제 2, 수동 응답을 단말기(100)가 수신하지 못할 경우, 다음으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어떠한 이유 때문에 올바르게 수신되지 못하였고 그리고 응답이 전송으로부터 중앙 송수신 단말기로 가는데 장애가 있었다는 것이 표시된다. 또, 원 호출자가 단말기(100) 안에 이미 프로그램되어 저장된 메시지에 의해 조언을 받게 된다. 후자의 경우, 호출자는 그 또는 그녀가 송수신기 메시지를 즉시 다시 보낼 것인지 아니면 조금 기다릴 것인지를 묻는 질문을 받게 된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원호출자는 송수신 호출에 특정 상태에 대한 조언을 받게 되고 그것이 수신되고 이해되거나 그렇지 않게 된다.
이미 전술한 대로, 응답인식 능력과 함께 송수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문제는 제 1 자동 응답에 추가하여 더 이상의 역-인식 응답이 있는지에 대해 사용자가 잘 알 수 없다는 것이고, 만일 그럴 경우는 추가 수동 응답이 영향을 받게 될 때이어야 한다.
본 설비가 되어 있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소지자는 수동 응답이 있는지 없는지에 관해, 있다면 언제이냐에 대한 필요 과정을 통해 안내받게 된다. 이것은 시스템(10)에 영향을 받는 역-인식 신호 응답의 단말기쪽을 나타내는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처리 및 루틴 과정은 스텝(30)에서 시작하고 그 뒤를 이어 스텝(31)에서 단말기(100)에 의해 단말기 어드레스를 수신하게 한다. 단말기(100)에 의해 처리되고, 인식되자마나 자동 역-인식 응담이 스텝(32)에서 수신기 인코더 콘트롤러 모듈(25b)을 통해 발생된다. 콘트롤러부는 스텝(33)에서 단말기 스피커(23)까지 경보 및 오디오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수동 응답 표시기(27)를 켜놓게 된다.
이것은 단말기 소지자 측에서 수동 인식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켜 주는 것이다. 만일 단말기 소지자가 스텝(34)에서 수동 역-인식 응답을 시작하기 위해 푸쉬 버튼(26)을 작동시키게 되면 단말기(100)는 스텝(35)에서 긍정적 형태의 수동 응답을 전송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미 전술한 대로, 단말기(100)에 의해 메시지가 수신되고 처리되는 동안에 응답이 된다. 이 간격동안 단말기 소지자가 의도한 응답을 만들어내기 위해 푸쉬 버튼(26)을 작동시키면, 스텝(35)에서 수동 응답 표시기를 단말기가 오프 시키게 되어 스텝(39)에서 루틴을 종료시킨다.
그러나 단말기(100)가 푸쉬버튼(26)의 작동을 검파하는데 실패하면, 스텝(37)에서 응답 간격이 만료될 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 결과 수동 응답 표시기를 끄고 스텝(38)에서 부정적 수동 응답을 전송하면 루틴이 스텝(39)에서 종료된다.
베이스 또는 중앙측으로부터, 루틴은 스텝(40)에서 시작하고 그 결과, 특정 단말기 어드레스가 스텝(41)에 전송된다. 단말기된 단말기(100)에 스텝(43)에서 자동 역-인식 신호가 수신될 것이 예상되는 동안에 스텝(42)에서 채널이 모니터된다. 만약 자동 인식신호가 스텝(44)에서의 타임 셋 시간 내에 단말기(100)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는 작동하지 않고 스텝(45)에 나타난대로 루틴이 스텝(46)에서 끝나고, 스텝(45)으로 지정된 곳에 저장되고 미리 프로그램된 메시지에 의해 호출자에게 알려주도록 단말기(100)가 결정한다. 그러나 만약, 자동 역-인식 응담이 스텝(48)에서 수신되면 메시지는 스텝(47)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 채널은 스텝(48)에서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모니터된다. 만약, 수동 역-인식 응답이 스텝(45)에서의 타임 기간 세트동안 검파되지 않으면 단말기(12)는 '응답 없음',(긍정 응답, 부정 응답 없음)이라고 결정해 보리고 원 호출자에게 스텝(100)에 나타난 것처럼, 루틴이 스텝(114)에서 끝났다고 알려준다. 지시된 대로 프로그램은 아무 응답이 스텝(51)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다시 송수신기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만약 제 2 (수동) 인식 응답이 스텝(49)에서 단말기(100)에 의해 수신된다면, 더 나아가 단말기는 그러한 응답이 도 5의 스텝(35)에 나타난 긍정 응답인지, 스텝(38)에 나타난 부정 응답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수동 역-인식 응답이 긍정적인 의미라면 미리 프로그램되어 저장된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100)가 원 호출자에게 스텝(54)에서 긍정적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만약, 수동 역-인식 응답이 부정적인 의미라면 원 호출자는 스텝(55)에서 부정적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 루틴은 스텝(56)에서 종료된다.
이러한 형태의 송수신 시스템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할 또다른 면이 있다. 이것은 수동으로 응답을 되돌려 보내기 위해 응답 간격을 결정하는 문제이다. 전술한 대로, 호출된 단말기에 의해 이미 정해진 기간 동안 메시지 전송 및 수신과 함께 시작된다. 그러나 매우 바쁜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간격을 정하는 것은 오히려 낮은 효과를 볼 수도 있다.
이렇게 미리 간격을 정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송수신 시스템,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단말기(100)의 콘트롤러(25)는 선택된 그러나 미리 정하지는 않은 시간에서의 수동 역입력 응답에 대한 호출 단말기의 특정 질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4의 스텝(47)에서 자동 역-인식 응답을 수신한 후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면, 단말기(100)는 스텝(60)에서 지정된 대로 시스템의 다른 단말기들에게 단말기하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적절하지만 다양하게 선택된 시각에 단말기(100)는 스텝(61)에 지정된 필수 수동 역-인식 응답에 대한 특정 시스템 단말기에 질문하게 된다. 수동 응답 간격이 단말기(100)에 의해 전송된 질문 신호와는 별개로 설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푸쉬버튼(26)은 정해진 간격 동안 작동하지만 단말기(100)는 단순히 그런 작동을 주지하기만 한다. 실제 수동 역-인식 응답은 질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단말기에 의해 보내지지 않는다. 그러한 질문 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100)에 의해 선맥된다. 이 질문 신호는 단말기의 어드레스 및 단말기가 단말기(100)에 있는 수동 응답 표시기(27)에 경보를 울리고 작동시키도록 지시하는 부가적 정보로 구성된다. 단말기(100)는 도 4의 스텝(48)과 같은 방식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채널을 모니터하고, 이미 전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루틴은 계속된다.
단말기 측에서 단말기 어드레스가 수신되고 도 3에서 전술한 대로 스텝(31)과 (32)에서 자동 응답이 시작된다. 그러나 스텝(33)에서, 단말기는 단말기 스피커에 오디오 경보를 울리고 루트시키며 동시에 수동 표시기가 작동하게 된다. 잠시 후 도 5의 스텝(80a)에서 시스템 질문 신호는 단말기(100)에 의해 전송되고 수신된다. 도 3의 스텝(34)에서처럼, 단말기(100)는 단말기 소지자가 푸쉬 버튼(26)을 작동시켰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작동시켰다면, 긍정적 응답이 스텝(35)에 전송되고, 작동시키지 않았다면, 부정적 의미의 응답이 스텝(38)에 전송되며, 그 결과 루틴은 스텝(39)에서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송수신 시스템은 클로즈드 루프 역방향 인식 송수신 배열 및 전술할 결점을 보완할 수 있고, 단말기 사용자가 지시기에 의해 어떻게 응답하고 언제 응답하는지에 관하여 적절한 응답인식 조작 응답 과정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으며, 긍정적인 피드백이 사용되어 모든 특별한 부분에 대한 잠재적인 혼동을 최소화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의도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부정적인 응답을 한 경우에 긍정적인 응답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중앙 베이스 스테이션과 복수의 리모트 단말기들을 갖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위에 설치된 표시 수단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간격 동안 상기 표시 수단을 작동시키고, 수신된 어드레스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신호에 자동 응답을 되돌려보내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고 원 호출자에게 그렇게 표시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에 따라 상기 긍정적 응답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재전송되고, 원 호출자에게도 표시가 되며,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지 않으면, 부정적 응답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되돌려보내지고 원 호출자에게도 표시가 되는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수동으로 응답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 시스템.
KR2020000011407U 2000-04-21 2000-04-21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KR200196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07U KR200196551Y1 (ko) 2000-04-21 2000-04-21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07U KR200196551Y1 (ko) 2000-04-21 2000-04-21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551Y1 true KR200196551Y1 (ko) 2000-09-15

Family

ID=1965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407U KR200196551Y1 (ko) 2000-04-21 2000-04-21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113B1 (ko) 개선된 인식 복귀 능력을 가진 페이징 시스템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US4939772A (en) Switching control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oice terminal device and a non-voice terminal device
US5363426A (en) Extended range paging for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JPH0787233A (ja) 緊急通報機能付ファクシミリ装置
GB2366140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discrete call signal arrival indicating function and a response function
US4985912A (en) Radio telephone device
KR20050089696A (ko)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200196551Y1 (ko)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송수신시스템
GB2298552A (en) Cordless radio telephone system with a plurality of portable units
JPH04351127A (ja) 無線電話装置
KR20000007236A (ko) 순방향에 대한 인식 응답 전송 능력을 갖춘 페이징 시스템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JP2000341760A (ja) 自動再発信機能付き移動電話機
JP4207057B2 (ja) 電話装置
KR100239176B1 (ko) 무선통신단말기의 통화 재시도 자동제어장치 및방법
KR1003197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메시지 변경 방법
JP2899444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0196715A (ja)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方法
KR19990084617A (ko)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JPH0215151B2 (ko)
JPH06252839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20040028173A (ko) 시간 설정이 가능한 자동응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