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001Y1 -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 Google Patents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001Y1
KR200196001Y1 KR2020000009701U KR20000009701U KR200196001Y1 KR 200196001 Y1 KR200196001 Y1 KR 200196001Y1 KR 2020000009701 U KR2020000009701 U KR 2020000009701U KR 20000009701 U KR20000009701 U KR 20000009701U KR 200196001 Y1 KR200196001 Y1 KR 200196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nar
calendar
day
mo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만
윤석희
Original Assignee
이석만
윤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만, 윤석희 filed Critical 이석만
Priority to KR2020000009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Landscapes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용 캘린더, 탁상용 캘린더, 탁상용일기 캘린더 등의 캘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주기로 날마다 변화하는 달의 모양(이하 '월면' 이라 한다)을 표시함으로써 양력/음력과 더불어 월면의 변화도 알 수 있도록 한 캘린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해당 연월의 날짜가 요일별로 정렬되어 기재되는 캘린더에 있어서, 양력·음력 날짜와 함께 날마디 변화하는 월면을 표시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월면은 매일, 매주초 및/또는 매주말, 특정한 월면(예: 신월, 상현, 하현, 만월, 그믐 직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월면은 양력·음력 날짜 등의 다른 기재사항과 차별되는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캘린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일의 월면을 표시하므로써 이용자가 쉽게 월면의 변화와 해당일의 월면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캘린더를 통하여 현대인의 메마른 정서를 다소나마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로 어린 학생들에게 과학적 탐구의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Moon face printed calendar}
본 고안은 벽걸이용 캘린더, 탁상용 캘린더, 탁상용일기 캘린더 등의 캘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주기로 날마다 변화하는 달의 모양(이하 '월면' 이라 한다)을 표시함으로써 양력/음력과 더불어 월면의 변화도 알 수 있도록 한 캘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의 벽면에 걸리거나 탁상위에 놓여 있는 캘린더는 일년 중의 월·일·요일, 24절기, 행사/기념일 등이 기재되며, 월 단위·주 단위·일 단위로 넘기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통 상단 또는 배경에 인물, 동식물의 사진이나 그림, 서예 등을 부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으로써 인테리어 소품으로서도 기능한다.
이러한 캘린더에는 양력을 주로 표시하고 음력은 부기적으로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기도 한다.
한편, 달은 일정한 주기(약 29.53일)로 월면이 다양하게 변화하는데, 현대 도시문명 속에서는 실내활동 시간의 확대, 매연이나 고층건물 등 시각적 장애 요인으로 인해 한 달 중 달을 볼 수 있는 날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달을 본다고 하더라도 현재는 양력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월면을 보고 달이 차고 있는지 이울고 있는지, 또 음력으로 몇일쯤 되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때문에 대부분 캘린더에 부기되어 있는 음력을 통해 이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음력으로 표시되는 삭망일이 실제 달의 삭망일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월면과 음력이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일예로 2000년의 한가위(음력 8월 15일)는 9월 12일인데 실제 만월은 그 전날인 9월 11일이다.
따라서, 양력·음력의 날짜 변화와 함께 월면의 변화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안출된 본 고안은, 캘린더에 기재된 날짜마다 또는 특정 방식으로 해당일의 월면을 표시하므로써 이용자가 쉽게 월면의 변화와 해당일의 월면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용 캘린더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벽걸이용 캘린더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따른 실시예에 탁상용 캘린더의 사시도
본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일기 캘린더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201, 301 : 월표시부 102, 202, 302, 402 : 연도표시부
103, 203, 303, 403 : 일표시부
104, 204, 304, 404 : 절기/행사일표시부
105, 205, 305, 405 : 요일표시부 106, 206, 306, 406 : 음력표시부
107, 207, 307, 407 : 월면표시부 108, 308 : 그림/사진부
309 : 지지대 310, 411 : 연결부
401 : 당월표시부 408 : 전월표시부
409 : 익월표시부 410 : 메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는 해당 연월의 날짜가 요일별로 정렬되어 기재되는 캘린더에 있어서, 양력·음력 날짜와 함께 날마다 변화하는 월면을 표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월면은 매일, 매주초 및/또는 매주말, 특정한 월면(예: 신월, 상현, 하현, 만월, 그믐 직전)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월면은 양력·음력 날짜 등의 다른 기재사항과 차별되는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는 벽걸이용, 책상용, 책상용일기 캘린더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면 표시가 있는 벽걸이용 캘린더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의 캘린더는 월별로 1매씩 제작되고, 캘린더구성단위지에 월표시부(101), 연도표시부(102), 요일표시부(103), 절기/행사일표시부(104), 일표시부(105), 음력표시부(106), 월면표시부(107), 및 그림/사진부(108)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그림/사진부(108)에는 캘린더의 상단에 인물, 동식물의 사진이나 그림, 서예 등이 인쇄되어 캘린더가 공간을 장식하는 소품으로서 기능하게 한다.
그리고 연도표시부(102), 월표시부(101), 일표시부(105), 음력표시부(106), 및 요일표시부(103)에는 각각 해당하는 연·월·일·음력·요일이 표시되고, 절기/행사일표시부(104)는 24절기·공휴일·기념일 등이 표시된다.
또한, 월면표시부(107)에는 날마다 변화하는 월면이 표시되어, 해당 날짜의 월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서, 월면표시부(107)는 양력·음력 날짜와 함께 매일 표시된다.
해당 연월일에 표시되는 월면은 천문대에서 발행되는 월령표를 참조한다.
<실시예 2>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면 표시가 있는 벽걸이용 캘린더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의 그림/사진부(108)가 없이 구성된다. 즉, 월표시부(201), 연도표시부(202), 요일표시부(203), 절기/행사일표시부(204), 일표시부(205), 음력표시부(206) 및 월면표시부(20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음력표시부(206)와 월면표시부(207)는 일반인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특정한 월면이 나타나는 날에만 음력과 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월(초생달), 상현·하현(반달), 만월(보름달) 및 그믐직전의 월면과 그 음력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면 표시가 있는 탁상용 캘린더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의 벽걸이용 캘린더를 탁상용으로 구성한 것으로 그 구성부는 동일한다. 즉 월표시부(301), 연도표시부(302), 요일표시부(303), 절기/행사일표시부(304), 일표시부(305), 음력표시부(306), 월면표시부(307) 및 그림/사진부(108)로 구성된다. 다만, 캘린더구성단위지의 좌측에 그림/사진부(308)가 구성되고, 우측에는 캘린더의 실질적 내용인 연월일, 요일, 절기/행사/기념일, 음력, 월면 등이 표시하는 구성부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캘린더를 책상등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삼각대(309)가 구비되고, 캘린더구성단위지들은 삼각대(309)와 일체로 연결부(310)에 의해 철해진다.
<실시예 4>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책상위에 두고 해당일의 약속, 계획등을 간단하게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월면 표시가 있는 탁상용일기 캘린더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는 당월표시부(401), 연도표시부(402), 요일표시부(403), 절기/행사일표시부(404), 일표시부(405), 음력표시부(406), 월면표시부(407), 전월표시부(408), 익월표시부(409) 및 메모부(410)로 구성되며, 캘린더구성단위지는 주별로 1매씩 제작되어 연결부(411)에 의해 철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예에서 당월표시부(401)는 캘린더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전월표시부(408)과 익월표시부(409)가 각각 당월표시부(401)의 좌우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캘린더의 실질적 내용인 연월일, 요일, 절기/행사/기념일, 음력, 월면 등이 표시하는 구성부들이 일단위로 구획된 메모부(410)의 좌측상단에 표시된다. 또한 월면표시부(107)는 양력·음력 날짜와 함께 매일 표시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월면 표시방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즉, 월면을 매주초 및/또는 매주말, 소정일(예: 3일) 간격으로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월면은 양력·음력 날짜 등의 다른 기재사항과 차별되는 컬러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캘린더를 포함하거나 날짜표시가 요구되는 모든 인쇄물(다이어리, 일기장)에도 본 고안이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캘린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일의 월면을 표시하므로써 이용자가 쉽게 월면의 변화와 해당일의 월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캘린더를 통하여 현대인의 메마른 정서를 다소나마 회복시킬 수 있으며, 아울로 어린 학생들에게 과학적 탐구의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해당 연월의 날짜가 요일별로 정렬되어 기재되는 캘린더에 있어서,
    양력·음력 날짜와 함께 날마다 변화하는 월면을 표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면은 매일, 매주초 및/또는 매주말, 소정일 간격, 특정한 월면일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면은 양력·음력 날짜 등의 다른 기재사항과 차별되는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KR2020000009701U 2000-04-06 2000-04-06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KR200196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01U KR200196001Y1 (ko) 2000-04-06 2000-04-06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701U KR200196001Y1 (ko) 2000-04-06 2000-04-06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001Y1 true KR200196001Y1 (ko) 2000-09-15

Family

ID=1965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701U KR200196001Y1 (ko) 2000-04-06 2000-04-06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0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001Y1 (ko) 월면 표시가 있는 캘린더
JP2006235361A (ja) 多年表示カレンダー
KR200373966Y1 (ko) 월계획표 기능을 갖는 탁상용 카렌다
GB2212444A (en) Desk diary/calendar
JP3215897U (ja) カレンダー
AU4750099A (en) Wall calendar
KR200344499Y1 (ko) 퍼즐 식 캘린더
US20050268502A1 (en) Calendar device with tabbed photo sleeve
KR200397686Y1 (ko) 메모란이 구비된 벽걸이용 3단 달력
KR200168194Y1 (ko) 탁상용 달력
KR200376823Y1 (ko) 탁상용 달력
JP3121406U (ja) 卓上カレンダー
KR200400353Y1 (ko) 다기능 달력
CN2681908Y (zh) 集成纪念册
JP3206855U (ja) 一綴りのカレンダー
KR200196024Y1 (ko) 다용도 캘린더
KR200223397Y1 (ko) 가변 달력을 갖는 탁상시계
KR200318577Y1 (ko) 탁상 달력형 생활 정보지.
KR200432387Y1 (ko) 핸드폰형 카렌더
KR20080004439U (ko) 거울을 갖는 달력
KR20080006613U (ko) 휴대가 용이한 거치형 달력
KR200164032Y1 (ko) 다기능바인더
JP2001322367A (ja) 休日用カレンダー
JP3071172U (ja) 万年カレンダー
KR200371964Y1 (ko) 거울이 부착된 탁상용 메모달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