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687Y1 -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687Y1
KR200195687Y1 KR2019980002278U KR19980002278U KR200195687Y1 KR 200195687 Y1 KR200195687 Y1 KR 200195687Y1 KR 2019980002278 U KR2019980002278 U KR 2019980002278U KR 19980002278 U KR19980002278 U KR 19980002278U KR 200195687 Y1 KR200195687 Y1 KR 200195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uction
suction air
discharge dev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408U (ko
Inventor
김세욱
김기만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80002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68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4)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외부공기속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구를 통해 흡입공기를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4)의 외측에 설치되는 배출구틀(31)과, 이 배출구틀(31)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미세먼지와 이물질들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부재(32)및, 이 필터부재(32)를 감싸도록 상기 배출구틀(31)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33)으로 구성되어, 진공청소기의 운전시에 흡입공기 토출 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전소음이 감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APPARATUS FOR EXHAUSTING INDRAFT AIR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공기 배출장치의 흡입공기 토출 표면적을 증대시켜 진공청소기의 운전시에 흡입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격벽부재(미도시)를 매개로 형성된 챔버(2)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모터(4)가 장착되어 있고, 이 모터(4)의 타측에 형성된 집진실(6)에는 상기 모터(4)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된 집진팩(8)과 상기 모터(4)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조필터(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4)의 하측에는 본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좌우륜(12,14)이 상기 본체(1)의 좌우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6)의 하측에는 본체(1)를 지지하도록 된 보조륜(16)이 본체(1)의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전면부에는 흡입구(18)가 배설되어 있고, 이 흡입구(18)에는 상기 모터(4)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수단(미도시)으로 흡입된 먼지등의 이물질을 집진팩(8)으로 안내하도록 된 호스(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후면부에는 흡입공기 배출장치(26)에 의해 미세하게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4)가 배설되어 있는 한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모터(4)로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선(2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기 배출장치(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그물망무늬가 형성된 배출구틀(27)과 상기 배출구틀(27)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부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운전시키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공급선(22)을 통해 본체(1)내의 모터(4)에 인가되어 상기 모터(4)가 구동되고, 이 모터(4)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부위의 먼지등의 이물질이 흡입수단과 호스(20)를 통해 상기 본체(1)로 흡입된다.
그리고, 본체(1)로 흡입된 먼지등의 이물질은 집진실(6)내에 설치된 집진팩(8)에 집진된 후 보조필터(10)를 통과하여 흡입공기 배출장치(26)에 의해 미세하게 걸러지고, 상기 흡입공기 배출장치(26)에 의해 미세하게 걸러진 흡입공기는 배출구(24)로 배출됨에 따라 청소부위가 청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는 그물망무늬로 형성된 배출구틀에 설치되어 흡입공기 토출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진공청소기의 운전시에 흡입공기의 배출량이 적음에 따라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흡입공기 배출장치의 흡입공기 토출 표면적을 증대시켜 진공청소기의 운전시에 흡입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외부공기속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구를 통해 흡입공기를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설치되는 배출구틀과, 이 배출구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필터부재 및, 이 필터부재를 감싸도록 상기 배출구틀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구조에 따른 흡입공기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공기 배출장치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공기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배출구 30 - 흡입공기 배출장치
31 - 배출구틀 32 - 필터부재
33 - 하우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공기 배출장치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체(1)의 후면부에 형성된 배출구(24)의 외측에 토출 표면적이 증대된 흡입공기 배출장치(30)가 예를 들면, 본체(1)와 일체로 설치되거나, 나사등과 같은 체결부재 또는 걸리쇠와 같은 걸림부재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기 배출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기의 배출이 잘 되도록 중앙부에 그물망무늬가 없이 형성되어 배출구(24)의 외측에 예를 들면, 일체로 설치되거나, 나사등과 같은 체결부재 또는 걸리쇠와 같은 걸림부재를 통해 설치되는 배출구틀(31)과, 흡입된 미세먼지와 이물질들이 걸러지도록 상기 배출구틀(31)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부재(32)와, 이 필터부재(32)를 감쌈과 더불어 상기 필터부재(32)를 통과한 흡입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틀(31)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운전시키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공급선(22)을 통해 본체(1)내의 모터(4)에 인가되어 상기 모터(4)가 구동되고, 모터(4)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부위의 먼지등의 이물질은 흡입수단과 호스(20)를 통해 상기 본체(1)로 흡입된다.
그리고, 본체(1)로 흡입된 먼지등의 이물질은 집진실(6)내에 설치된 집진팩(8)에 집진된 후 보조필터(10)를 통과하여 흡입공기 배출장치(30)의 배출구틀(3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필터부재(32)에 의해 미세하게 걸러져 청소부위가 청소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틀(31)의 중앙부에는 그물망무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배출되는 흡입공기가 증대되고, 상기 필터부재(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흡입공기에 의해 A형상에서 B형상으로 흡입공기 토출 표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흡입공기 배출장치(30)를 통해 배출되는 흡입공기의 배출량이 증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운전시에 흡입공기 토출 표면적이 증대된 흡입공기 배출장치를 통해 흡입공기의 배출량이 증대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향상됨은 물론, 운전소음이 감쇄되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모터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함은 물론 흡입된 외부공기속에 포함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구를 통해 흡입공기를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설치되는 배출구틀과, 이 배출구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미세먼지와 이물질들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부재 및, 이 필터부재를 감싸도록 상기 배출구틀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배출장치.
KR2019980002278U 1998-02-20 1998-02-20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KR200195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78U KR200195687Y1 (ko) 1998-02-20 1998-02-20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78U KR200195687Y1 (ko) 1998-02-20 1998-02-20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08U KR19990036408U (ko) 1999-09-27
KR200195687Y1 true KR200195687Y1 (ko) 2000-10-02

Family

ID=1953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78U KR200195687Y1 (ko) 1998-02-20 1998-02-20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6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08B1 (ko) * 2006-06-30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08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5687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JP2001178668A (ja) 電気掃除機
JP2009504235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JPH11187997A (ja) 電気掃除機
KR20050026166A (ko) 진공청소기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JP2008106393A (ja) 繊維機械における集塵綿処理装置
JPH07275164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0124973Y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방지장치
KR20070005430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KR20000007112U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 구조
KR200151242Y1 (ko) 청소기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200144975Y1 (ko) 진공청소기용 필터의 설치구조
KR100500797B1 (ko) 진공청소기
KR20040092221A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200160410Y1 (ko) 물필터 청소기
KR0148991B1 (ko) 긴 흡음배기관을 갖는 흡음방
KR0148951B1 (ko) 진공청소기의 가요성 네크구조
KR200149185Y1 (ko) 진공청소기의소음방지구조
KR20040080092A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200323286Y1 (ko) 진공청소기
KR100232531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안전장치
KR0119597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