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189Y1 - 향기나는 거울 - Google Patents

향기나는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189Y1
KR200195189Y1 KR2020000004325U KR20000004325U KR200195189Y1 KR 200195189 Y1 KR200195189 Y1 KR 200195189Y1 KR 2020000004325 U KR2020000004325 U KR 2020000004325U KR 20000004325 U KR20000004325 U KR 20000004325U KR 200195189 Y1 KR200195189 Y1 KR 200195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frame
mirror
receivi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중
Original Assignee
김명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중 filed Critical 김명중
Priority to KR2020000004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47G1/0611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the profiles having clamping action; Elongated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상부지지대, 전면을 향해서 향기분출공이 형성된 좌ㆍ우측 지지대 및 하부를 향해서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분출공이 형성된 하부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거울용 유리(101)가 부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내에 감입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재와, 상기 향기발산부재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향기발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좌ㆍ우측 지지대에 고정되는 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향기나는 거울을 실내에 걸어두면 향기가 발산되어 실내공기를 향긋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향기나는 거울{A MIRROR GIVE A NICE SMELL}
본 고안은 거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내공기를 향기롭게 유지하도록 향기가 발산되는 향기발산부재를 구비한 향기나는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거울은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617호의 공고번호 제92-446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 한국 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거울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거울(20)과 보조거울(21)(22) 사이의 내부에 조명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광원(조명수단)으로 부터의 방사되는 조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우측 하부에 화장색도 조절용 조절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우측 하부에는 조명수단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스위치(41)에 인접해서 조명수단의 조명을 조절하는 조명조절스위치(4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지지대(43)와 스토퍼(46)를 갖는 받침대(45)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거울은 사용자의 취향과 주위 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는 있으나, 단순히 조명도 및 거울의 화장색도를 가변시킬 수는 있으나, 거울에서 향기가 나지 않으므로, 장시간 거울앞에서 화장을 하거나 또는 거울을 보고 있을 경우에 지루함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에 발산된 각종 냄새를 희석시킬 수 없어 이들 각종 냄새를 희석시키기 위하여 향수를 발산하는 향수용기를 실내에 놓거나 또는 향수를 일정시간 마다 분출시켜야 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거울에서 향기가 발산되는 향기나는 거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공기를 향긋하게 유지할 수 있는 향기나는 거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거울에 있어서,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상부지지대, 전면을 향해서 향기분출공이 형성된 좌ㆍ우측 지지대 및 하부를 향해서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분출공이 형성된 하부지지대로 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내에 감입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재와, 상기 향기발산부재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향기발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좌ㆍ우측 지지대에 고정되는 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거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조거울을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일부 요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거울용 유리 102:상부지지대
102a:걸이부재 104:좌측지지대
106:우측지지대 108:하부지지대
104a,106a,108a:향기분출공 109:오목부
110:프레임 110a:수용공
112:수용공 120:브래킷
122:관통공 124:돌기부
124a:관통구멍 130:향기발산부재
132:향기저장용기 132a:관통공
140:저지부재 200:차폐판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일부 요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은 프레임(110)의 전면에 거울용 유리(101)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0)은 걸이부재(102a)가 설치되는 상부지지대(102)와, 전면을 향해서 향기분출공(104a,106a)이 형성된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와, 하부를 향해서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분출공(108a)이 형성된 하부지지대(1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110a)의 외측에는 브래킷(1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110a)내에는 브래킷(120)에 형성된 관통공(122)을 통해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재(130)가 감입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0)의 상ㆍ하부지지대(102,108)와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의해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09)는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저지부재(140)가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저지부재(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를 상부오목부(109a)와 하부오목부(109b)로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향기발산부재(130)는 향기가 대기로 용이하게 발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32a)이 형성된 향기저장용기(132)내에 특정형상으로 형성된 고체향기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향기가 모두 발산되면 상기 향기저장용기(132)를 제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지부재(140)는 프레임(110)의 상ㆍ하부지지대(102,108) 및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의해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를 상부오목부(109a)와 하부오목부(109b)로 구획하는 것으로써, 프레임(110)의 상ㆍ하부지지대(102,108), 좌ㆍ우측 지지대(104,106) 및 저지부재(140)는 별개로 만들어서 조립할 수도 있으나, 플라스틱을 사출하거나 또는 압출해서 제조해도 된다.
상기 브래킷(120)은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플라스틱을 사출 또는 압출하여 성형한 것으로써, 향기발산부재(130)를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에 넣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112)으로부터 향기발산부재(1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22)과,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 주위에 고정부재(못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24a)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를 두고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20)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 주위에 고정부재(못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24a)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를 두고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24)를 가진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돌기부(124)를 제거하고 실리콘에 의해 상기 브래킷(120)을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 주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거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향기나는 거울의 상부지지대(102)에 설치된 걸이부재(102a)를 실내의 벽에 박혀있는 못 등에 걸어두면,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에 형성된 수용공(112)둘레에는 브래킷(120)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브래킷(120)에 형성된 관통공(122)을 통해서 상기 수용공(112)내에는 향기나는 향기발산부재(1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의 향기저장용기(132)에 형성된 관통공(132a)을 통해서 향기가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내로 발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내로 발산된 향기는 저지부재(140)가 좌ㆍ우측지지대(104,10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로는 올라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110)의 뒤쪽은 벽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향기가 프레임(110)과 벽사이로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각각 형성된 향기분출공(104a,106a) 및 하부지지대(108)에 형성된 향기분출공(108a)을 통해서 실내로 방출되므로 실내의 공기가 향수냄새로 인해서 향기로운 공기로 가득 차게 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내에 감입되어 있는 향기발산부재(130)의 향기저장용기(132)내에 감입된 고체향기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향기가 휘발되면서 없어지므로,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의 향기저장용기(132)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향기발산부재(130)를 상기 브래킷(120)에 형성된 관통공(122)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에 다시 감입함으로써,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의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향기나는 거울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향기나는 거울이 다른 점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ㆍ하부지지대(102,108)와 좌ㆍ우측 지지대(104,106) 및 상기 프레임(110)의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고정설치된 저지부재(140)의 배면에 차폐판(200)을 설치하여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기 프레임(110)의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형성된 향기분출공(104a,106a) 및 하부지지대(108)에 형성된 향기분출공(108a)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향기나는 거울은 상기 차폐판(200)에 브래킷(12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의 향기저장용기(132)를 브래킷(120)에 형성된 관통공(122)을 통해서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22)에 감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의 향기저장용기(132)에 형성된 관통공(132a)을 통해서 고체향기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b) 및 상기 프레임(110)의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형성된 향기분출공(104a,106a) 및 하부지지대(108)에 형성된 향기분출공(108a)을 통해서 실내로 배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향기나는 거울에 의하면, 통상의 거울에 있어서,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상부지지대, 전면을 향해서 향기분출공이 형성된 좌ㆍ우측 지지대 및 하부를 향해서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분출공이 형성된 하부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거울용 유리가 부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내에 감입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재와, 상기 향기발산부재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향기발산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좌ㆍ우측 지지대에 고정되는 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의 향기나는 거울울 실내에 걸어두면 향기가 발산되어 실내공기를 향긋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걸이부재(102a)가 설치되는 상부지지대(102), 전면을 향해서 향기분출공(104a,106a)이 형성된 좌ㆍ우측 지지대(104,106) 및 하부를 향해서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분출공(108a)이 형성된 하부지지대(108)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거울용 유리(101)가 부착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110a)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20)과, 상기 브래킷(120)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내에 감입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재(130)와,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향기발산부재(130)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고정되는 저지부재(1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부재(130)는 향기가 대기로 용이하게 발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32a)이 형성된 향기저장용기(132)내에 특정형상으로 형성된 고체향기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거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재(140)는 프레임(110)의 상ㆍ하부지지대(102,108) 및 좌ㆍ우측 지지대(104,106)에 의해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109)를 상부오목부(109a)와 하부오목부(109b)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거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20)은 향기발산부재(130)를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에 넣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112)내에 넣어진 상기 향기발산부재(1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22)과,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112) 주위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24a)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를 두고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거울.
KR2020000004325U 2000-02-17 2000-02-17 향기나는 거울 KR200195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25U KR200195189Y1 (ko) 2000-02-17 2000-02-17 향기나는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25U KR200195189Y1 (ko) 2000-02-17 2000-02-17 향기나는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189Y1 true KR200195189Y1 (ko) 2000-09-01

Family

ID=1964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325U KR200195189Y1 (ko) 2000-02-17 2000-02-17 향기나는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1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843A (ko) * 2003-11-04 2005-05-11 신석균 용변실 거울
WO2016191536A1 (en) * 2015-05-28 2016-12-01 Vapor Communications, Inc. Accessory for mobile device having scent and/or flavor recepta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843A (ko) * 2003-11-04 2005-05-11 신석균 용변실 거울
WO2016191536A1 (en) * 2015-05-28 2016-12-01 Vapor Communications, Inc. Accessory for mobile device having scent and/or flavor recepta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54375B2 (en) Flameless candle with air intake chamber and air outflow chamber
JP5411707B2 (ja) 拡散装置
EP2986329B1 (en) Portable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flame simulator
USD483461S1 (en) Electrical air freshener
US4612223A (en) Reversible fragrance emitting unit
EP0259147A2 (en) Improved night light assembly
AU2003255378A1 (en) Fragrance emitting system
US20080257978A1 (en) Fragrance Dispenser
KR200195189Y1 (ko) 향기나는 거울
USD475774S1 (en) Electrical air freshner
KR102127721B1 (ko) 향기 방출용 디퓨저
CA96525S (en) Heater base
KR20210048008A (ko) 디퓨저
EP2914305B1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having a faceplate
JPH10263068A (ja) 額縁型芳香剤容器
KR200170220Y1 (ko) 방향장치
KR200203546Y1 (ko) 장식용 조명등
KR20170028109A (ko)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JPH0975437A (ja) 芳香器
KR970000707Y1 (ko) 방향제
KR200352677Y1 (ko) 도어용 손잡이
JPS6153924A (ja) 芳香発生装置
KR20240047621A (ko) 고체방향제를 이용한 모듈형 디퓨저
KR19990073621A (ko) 호롱불 구조의 전기모기향
KR200176821Y1 (ko) 침대 및 옷걸이 등에서 향기를 발산하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