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795Y1 - 이어폰용 릴 코드 - Google Patents

이어폰용 릴 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795Y1
KR200194795Y1 KR2020000010092U KR20000010092U KR200194795Y1 KR 200194795 Y1 KR200194795 Y1 KR 200194795Y1 KR 2020000010092 U KR2020000010092 U KR 2020000010092U KR 20000010092 U KR20000010092 U KR 20000010092U KR 200194795 Y1 KR200194795 Y1 KR 200194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reel
contact
earphone
in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웅
Original Assignee
헤브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브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브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0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용 릴 코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경량화에 적합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며 접점이 없어 접점에 의한 잡음 유입이 차단되며, 신뢰성과 수명을 제고하는 이어폰용 릴 코드에 관한 것으로써, 회로 패턴을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 전달 선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신호 전달선 위는 부도성 수지물류로 도포된 코드가 상기 릴의 외측 면을 따라 적정한 길이로 감긴 제1 코드와, 상기 릴의 내부 홈에 상기 제1 코드가 연장된 상태이면서, 비슷한 길이가 스프링 형태로 감긴 제2 코드와, 상기 제2 코드가 삽입되는 내부 홈과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는 내부 홈을 각각 형성하는 릴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접점에 의한 잡음(Noise) 신호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전송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제고시키고, 이동점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지며, 동시에 제조 비용이 싸게 소요되고, 접점 불량 발생이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동접점의 마모에 의한 분진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접점의 마모에 의한 수명 단축 염려가 없으므로, 제품을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친 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폰용 릴 코드{A REEL CORD USING FOR EAR-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용 릴 코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경량화에 적합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며 접점이 없어 접점에 의한 잡음 유입이 차단되며, 신뢰성과 수명을 제고하는 이어폰용 릴 코드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전화기와 같이 소형화되고 경량화 되는 음향 관련된 전자 장비는 큰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 대신에, 사용자 혼자서만 해당 음향을 들을 수 있는 이어폰의 사용 추세가, 복잡해지는 도시 생활에 의하여 점차 증가되는 경향이다.
상기와 같은 이어폰은 해당되는 전자장비의 음향출력 포트(Port)에 잭(Jack)을 통하여 접속한 후, 길게 늘어진 전선 또는 코드를 통하여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대고 음향을 들을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와 같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길게 늘어진 전선 또는 코드의 처리가 곤란하였었다.
상기와 같이 길게 늘어진 코드는 가지런히 정리하여 보관하지 않으면 서로 엉키게 되어, 재사용시 엉킨 부분을 풀어야 하는 어려움 및 시간 소요의 문제가 있었고, 또한, 정리된 코드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 보관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어폰 코드 처리의 문제점을, 릴(Reel)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하게 감아 정리함으로써, 이어폰 사용시 상기 릴에 감겨 정리된 코드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릴(Reel)에 감기도록 하는 이어폰용 릴을 사용하였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을 설명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의 정단면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은, 외부를 형성하는 하부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15)과,
상기 하우징(10,15)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20)과,
상기 축(20)에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원형의 릴(Reel)(30)과,
상기 릴(30)에 일측 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측 단은 상기 축(20)에 고정되어 상기 릴(30)이 반복되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35)과,
상기 릴(30)에 여러 번 감겨 제1 권상코드(50)를 이루며, 일측 끝단에 이어폰(70)이 부착되는 제1 코드(40)와,
상기 릴(30)에 고정 부착되어 릴(30)과 함께 회전운동하고, 상기 제1 코드(40)의 다른 일측 끝단이 납땜(Soldering)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써,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이동전극(85)과,
상기 하부하우징(10)에 고정 부착되고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정전극(80)과,
상기 이동전극(85)과 고정전극(8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의 이동접점(87)과,
일측 끝단이 상기 이동접점(80)에 납땜(Soldering) 등으로 연결되며 다른 일측 끝단은 전자 장비와의 접촉용 잭(Jack)(60)에 고정 부착되는 제2 코드(4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를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코드(40,45)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용이한 전선을 전기적 신호가 흐르지 않는 부도성 물질로 피복한 것으로써, 상기 제1 코드(40)는 일측 단에 이어폰(70)이 고정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이동전극(85)에 납땜 또는 은땜 등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며, 상기 제2 코드(45)는 일측 단에 상기 잭(60)이 고정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고정전극(80)에 납땜 또는 은땜 등으로 전기적 연결이 된다.
상기 이동전극(85)은 상기 이동접점(87)에 의하여 상기 고정전극(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이어폰용 릴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잭(60)을 해당 전자제품의 음향 출력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코드(40)를 잡아 당겨 길이를 늘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코드(40)를 잡아당기면, 상기 릴(30)이 회전하여 상기 릴(30)에 감긴 제1 권상코드(50)가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므로써, 상기 이어폰을 사용하기 적정한 길이로 만든다.
상기와 같이 회전한 릴(30)은 회전한 운동력을 상기 코일 스프링(35)에 축적하므로써, 이어폰 사용 종료 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 밖으로 풀려 배출된 제1 코드(40)를 릴(30)에 감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어폰(70)의 종단부에 형성된 이어폰링(75)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써, 이어폰이 귀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어폰(70)이 귀에 너무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릴(30)에 일체로 고정 부착된 상기 이동전극(85)은 릴(30)이 회전 운동함에 의하여, 함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고정전극(80)은 하부하우징(10)에 일체로 고정 부착되므로, 해당 전자 장비로부터 상기 잭(60)을 통하여 상기 제2 코드(45)로 인가된 신호는 상기 고정접점(80)에 인가되고, 이동접점(87)을 통하여 상기 이동전극(85)에 전달된다.
상기 이동전극(85)에 전달된 신호는, 일부가 상기 릴(30)에 제1 권상코드(50)로 감긴 제1 코드(40)를 통하여 상기 이어폰(70)에 인가되고, 소리 신호로 변환되어 귀로 음향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코드(40,45)와 잭(60) 그리고 이동전극(85), 고정전극(80) 및 이동접점(87)을 적당한 구조의 것으로 사용하므로써, 상기 이어폰(70)에 마이크(Mic)를 고정 부착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송수화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기술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는, 회전운동 하는 이동전극(85)과 고정되어 있는 고정전극(8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시켜주기 위하여 이동접점(87)이 사용되고, 상기 이동접점(87)은 상기 고정전극(80)의 표면을 움직이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하면서 접촉하는 부위에 의하여 잡음(Noise) 신호가 전달되거나 또는, 접점에 인가되는 압력이 미약한 경우는 접촉 불량에 의하여 신호 전달이 되지 않음으로써,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접점(87)이 마모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이동접점(87)이 이동성 및 전기적 신호의 용이한 전달을 위하여 고가의 도전성 윤활유를 사용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릴이 용이하게 회전하면서도, 이동접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접점의 접촉불량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고, 동시에 접점의 마모에 의한 수명 단축 및 불량 발생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였으며,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고가의 도전성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이고 양산성이 우수한 이어폰용 릴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이어폰과 릴과 잭과 코일스프링과 코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이어폰용 릴 코드에 있어서, 회로 패턴을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 전달 선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신호 전달선 위는 부도성 수지물류로 도포된 코드가 상기 릴의 외측 면을 따라 적정한 길이로 감긴 제1 코드와, 상기 릴의 내측 홈에 상기 제1 코드가 연장된 상태이면서, 비슷한 길이가 스프링 형태로 감긴 제2 코드와, 상기 제2 코드가 삽입되는 내부 홈과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는 내부 홈이 각각 형성된 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폰용 릴 코드를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의 정단면도 이고,
도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의 정단면 상태도 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드 단면 상태도 이고,
도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의 사용에 의한 평단면 상태도 이고,
도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의 보관에 의한 평단면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하부 하우징 15 : 상부 하우징
20 : 축 30: 릴 35 : 코일 스프링
40, 140 : 제1 코드 45, 145 : 제2 코드
50, 150 : 제1 권상코드 60 : 잭
70 : 이어폰 75 : 이어폰 링
80 : 고정전극 85 : 이동전극
87 : 이동접점 100 : 플렉시블 PCB
110 : 회로패턴 120 : 수지
155 : 제2 권상코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를 설명한다.
도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의 정단면 상태도 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드 단면 상태도 이고, 도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의 사용에 의한 평단면 상태도 이고, 도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의 보관에 의한 평단면 상태도 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는,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이어폰용 릴 코드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부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15)과
상기 하우징(10,15)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20)과,
상기 축(20)에 중심공이 삽입되고, 2개의 내부 홈을 각각 따로 형성하면서 원형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릴(30)과,
상기 릴(30)의 일측 홈에 위치하고, 일측 끝단은 상기 릴(30)에 고정되며, 다른 일측 끝단은 상기 축(20)에 고정되어, 상기 릴(30)의 회전에 의한 운동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회전운동력에 의하여 릴(30)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위치로 복구시키는 코일 스프링(35)과,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회로기판(Flexible PCB)(100)에 에칭(Etching)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 회로 패턴(110)을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 전달 선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신호 전달선 위는 부도성 수지물류(120)로 도포된 코드가, 상기 릴(30)의 외측 면에 여러 횟수 감김으로써, 제1 권상코드(150) 형태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15)의 외부로 연장되어 일측 끝단에 이어폰(70)이 연결되는 제1 코드(140)와,
상기 제1 코드(140)가 연장되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릴(30)의 다른 내부 홈에 스프링 형상의 제2 권상코드(155)로써 상기 제1 코드(140)와 비슷한 길이로 감겨 있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10,15)의 외부로 연장되어 잭(60)과 연결되는 제2 코드(145)로 구성된다.
이하,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를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연성이 있는 단면 또는 양면 플렉시블 회로기판(Flexible PCB)(100)을, 상기 첨부된 도3 과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한 후, 에칭(Etching)과 같은 방법으로 일직선의 회로 패턴(Circuit Pattern)(110)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회로 패턴(110)을 외부의 기계적 및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수지류 또는 에폭시 수지류(120)를 이용하여 적정한 두께로 도포하므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코드(Cord)를 만든다.
상기와 같은 코드를 적정한 길이로 분할 한 후,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 부분은 원형 릴(30)의 외부 또는 외측 면에 여러 횟수 감아 제1 권상코드(150)를 형성하므로써 제1 코드(140)가 되도록 하고, 다른 일측 부분은 상기 원형 릴(30)의 내부 홈에 스프링(Spring) 형상으로 감아 삽입하므로써, 제2 권상코드(155) 형상의 제2 코드(145)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코드 및 제2 코드(140,145)의 일부가, 상기 제1 권상코드 및 제2 권상코드(150,155) 형태를 이루면서 구성된 상기 릴(30)의 또 다른 내부 홈에 탄성이 있는 코일 스프링(35)을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 스프링(35)의 일측 단은 상기 릴(3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릴(30)의 중심공을,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축(20)에 삽입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35)의 다른 일측 단을 상기 축(20)에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15)을 덮는다.
이때, 상기 제1 코드(140)와 제2 코드(145)의 연결부분은 상기 릴(30)의 해당 부위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릴(30)의 해당 부위에 고정용 홈을 별도 형성 및 이용하여 고정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코드(145)가 연장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은, 상기 하부하우징(10)의 내부와 접촉하는 부분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해당 부위에 형성한 고정용 홈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코드(140)의 끝단에는 이어폰 링(75)이 부착된 이어폰(70)을 부착하거나 또는, 다른 일 실시예로서, 특수한 용도에 의하여, 상기 코드에 형성된 회로패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Mic), 제어스위치 등을 추가 부착한다.
또한, 상기 제2 코드(145)의 끝단에는 상기 실시예의 용도에 적합한 신호를 전송하는 잭(Jack)(60)을 고정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 기술에 의한 이어폰용 릴 코드는, 상기 첨부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이어폰(70)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이어폰(70)에 일측 단이 고정 부착된 상기 제1 코드(140)가 상기 당기는 힘에 의하여 인장력을 인가 받고, 상기 릴(3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릴(30)의 외측 면에 제1 권상코드(150) 형상으로 감긴 코드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배출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릴(30)의 내부 홈에 스프링 형상으로 감겨있는 제2 권상코드(155)는, 상기 도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릴(30)의 내부 홈 안에서 풀리는 형태의 제2 권상코드(155)를 이루게 된다.
상기 릴(30)의 다른 내부 홈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코일 스프링(35)은 사용자가 인가한 인장력의 힘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70)의 사용을 종료한 후, 인가된 인장력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35)에 저장된 힘에 의하여 상기 릴(30)이 상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제1 코드(140)는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릴(30)의 외부 면에 감기어 다시 제1 권상코드(150)를 형성하고, 상기 릴(30)의 내부 홈에 엉성한 형태를 이루었던 상기 도4의 제2 권상코드(155)는 상기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 형상의 제2 권상코드(155)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은, 잭(60)과 이어폰(70) 사이에 이동접점이 전혀 없으면서도, 코드(Cord)를 릴(Reel)에 감아 콤팩트(Compact) 하게 보관 또는 저장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즉시 코드를 필요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은, 이어폰용 릴 코드에 있어서, 이동접점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점에 의한 잡음(Noise) 신호가 유입되지 않으며 전송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점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지고, 동시에 제조 비용이 싸게 소요되는 공업적 및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접점 불량 발생이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동접점의 마모에 의한 분진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접점의 마모에 의한 수명 단축 염려가 없으므로, 제품을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보호 또는 친 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어폰과 릴과 코일스프링과 잭과 코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이어폰용 릴 코드에 있어서,
    회로 패턴을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 전달 선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신호 전달선 위는 부도성 수지물류로 도포된 코드가 상기 릴의 외측 면을 따라 여러 횟수 감긴 제1 코드와,
    상기 릴의 내부 홈에 상기 제1 코드가 연장된 상태이면서, 비슷한 길이가 스프링 형태로 감긴 제2 코드와,
    상기 제2 코드가 삽입되는 내부 홈과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는 내부 홈이 각각 형성된 릴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릴 코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의 일측에는 이어폰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코드의 일측에는 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릴 코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드는 양쪽 면에 다수의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드는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용 릴 코드.
KR2020000010092U 2000-04-10 2000-04-10 이어폰용 릴 코드 KR200194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92U KR200194795Y1 (ko) 2000-04-10 2000-04-10 이어폰용 릴 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92U KR200194795Y1 (ko) 2000-04-10 2000-04-10 이어폰용 릴 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795Y1 true KR200194795Y1 (ko) 2000-09-01

Family

ID=1965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092U KR200194795Y1 (ko) 2000-04-10 2000-04-10 이어폰용 릴 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7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04692A (ja) 格納式ケーブ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US7151912B1 (en) Cable retra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U2003278648A1 (en) Headset
CN102843630A (zh) 头戴式听筒和头戴式听筒组件
JP2009534987A (ja) 無線ステレオハンズフリー付属品
WO2005115048A1 (ja) ヘッドホン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コード巻回装置とコード巻回方法
JP2002010385A (ja)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JP2006517760A (ja) 外部の音響雑音を減少させる効果を有する双方向音声通信装置
KR101744166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200194795Y1 (ko) 이어폰용 릴 코드
KR200423708Y1 (ko)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권취장치
KR200385089Y1 (ko) 이어폰 줄 수납장치
KR101862571B1 (ko) 와이어 감김 장치
KR100465808B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KR100495468B1 (ko) 이어 마이크 세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장치
KR200200254Y1 (ko) 휴대폰용 이어-마이크로폰장치
CN208079338U (zh) 耳机
KR100655682B1 (ko)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1826083B1 (ko) 와이어 자동 감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KR101218822B1 (ko) 블루투스 헤드셋
TW200526058A (en)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366476Y1 (ko) 리트랙터블 코드 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