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281Y1 -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281Y1
KR200193281Y1 KR2020000002618U KR20000002618U KR200193281Y1 KR 200193281 Y1 KR200193281 Y1 KR 200193281Y1 KR 2020000002618 U KR2020000002618 U KR 2020000002618U KR 20000002618 U KR20000002618 U KR 20000002618U KR 200193281 Y1 KR200193281 Y1 KR 200193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s
coupled
connector
transporting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홍
이승호
강계형
한용섭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2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중 소부재를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재 이송장치는, 하부에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비 이동구를 형성시킨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결합되어 그 직상부에 형성된 상부 몸체를 360°회전시키는 전동 기구를 구비시킨 회전 장치; 상기 회전 장치의 상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측에 수직 지지대와 상,하 실린더를 고정시키는 상부 몸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제 1 핀 연결부에 일측 말단을 결합시키고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상,하 실린더와 연결시키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다단 박스 형상의 좌,우 실린더; 상기 좌,우 실린더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 실린더; 상기 좌,우 실린더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 2 핀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형성하고, 작업자가 소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경우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제 3 핀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시킨 홈에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며 취부 작업을 시행하는 부재 작동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Device moving a small member for a ship block}
본 고안은 선박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중 소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소부재를 이송한 후 취부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각종 블록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주판에 중형 또는 소형 부재를 적재하는 팔레트(palette)에서 부재를 운반한 후 취부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기존 방법으로 중형 부재를 운반하는 경우는 오버 헤드 크레인(over head crane)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소형 부재를 운반하는 경우는 2인 혹은 그 이상의 인원이 1조가 되어 부재를 운반한 후 취부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형 부재를 운반하고 취부 작업을 시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산업 재해를 입을 염려를 가지며, 모든 작업시 2인 1조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결과 작업자의 안전확보 및 생산성 향상에 많은 어려움을 가졌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부재의 이송 및 취부 작업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부재 이송장치는, 하부에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비 이동구를 형성시킨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결합되어 그 직상부에 형성된 상부 몸체를 360°회전시키는 전동 기구를 구비시킨 회전 장치; 상기 회전 장치의 상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측에 수직 지지대와 상,하 실린더를 고정시키는 상부 몸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제 1 핀 연결부에 일측 말단을 결합시키고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상,하 실린더와 연결시키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다단 박스 형상의 좌,우 실린더; 상기 좌,우 실린더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 실린더; 상기 좌,우 실린더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 2 핀 연결부와 제 3 연결부를 형성하고, 작업자가 소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경우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제 3 핀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시킨 홈에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며 취부 작업을 시행하는 부재 작동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부재 이송장치 32 : 장비 이동구
34 : 하부 몸체 36 : 회전 장치
38 : 전동 기구 40 : 상부 몸체
44 : 수직 지지대 46,52,54 : 제 1,2,3 핀 연결구
48 : 상,하 실린더 50 : 좌,우 실린더
56 : 연결구 58 : 손잡이
60 : 스위블 볼 62 : 클램프
64 : 제어 판넬 68 : 작동 실린더
70 : 회전 작동기 74 : 지지 프레임
76 : 결합 치차 78 : 진공 호스
80 : 진공 흡착기 암 84 : 진공 흡착기
86 : 소부재 B : 부재 작동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재 이송장치(30)는 하부 몸체(34)의 하부에 장비 이동구(38)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몸체(34)에는 상부측에 기어 타입으로 형성되는 회전 장치(36)를 설치하여 상부의 상부 몸체(40)를 360°회전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회전 장치(40)에는 전동기구(38)가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전동기구(38)를 조작하게 되면 0°에서 360°까지 원하는 각도로 상부 몸체(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40)에는 일측에 수직 지지대(44)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하 실린더(48)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 지지대(44)는 상부 몸체(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 실린더(50)의 일측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좌,우 실린더(50)에는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상,하 실린더(48)가 결합되어 좌,우 실린더(50)의 높낮이(또는 상,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 실린더(48)는 일측은 상부 몸체(40)의 상측과 결합되고 타측은 좌,우 실린더(50)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상기 좌,우 실린더(5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좌,우 실린더(50)는 일측이 수직 지지대(44)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핀 연결부(46)에 고정되고 타측은 신축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실린더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실린더(50)에는 타측에 제 2 핀 연결부(52)와 제 3 핀 연결부(54)가 결합되어 그 제 2 핀 연결부(52)와 제 3 핀 연결부(54)가 결합된 부분이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3 핀 연결부(54)에는 손잡이(58)를 형성시키고 상기 손잡이(58)와 부재 작동부(B)의 몸체를 클램프(62)로 연결시킨 연결구(56)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구(56)에는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홈에는 일측으로 스위블 볼(60)을 형성시킨 부재 작동부(B)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56)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58)를 부재 작동부(B)와 클램프(62)를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부재 작동부(B)는 일측은 연결구(56)와 결합되고 타측은 소부재(86)를 부착하고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작동 실린더(68)와 결합되는 회전 작동기(70)가 형성된다. 상기 부재 작동부(B)는 스위블 볼(60)을 형성한 측에 인접하여 근거리에서 작업자가 소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제어 판넬(64)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흡착한 소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68)를 형성한다. 상기 작동 실린더(68)에는 회전 작동기(70)가 결합되는데, 상기 작동 실린더(68)와 회전 작동기(7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 치차(76)가 형성되어 있어 진공 흡착기 암(8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진공 흡착기 암(80)에는 말단에 진공 흡착기(84)가 형성되어 있어 소부재(86)를 흡착한 후 그 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게 된다.
즉, 상기 부재 작동부(B)는, 몸체 일측에 연결구(56)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스위블 볼(60)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블 볼(60)에는 그 인접한 하부에 제 1,2,3 핀 연결구(46)(52)(54) 및 진공 흡착기(84)를 조정하는 제어 판넬(64)을 형성하며, 몸체 타측에 작동 실린더(68)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 실린더(68)에는 하부측에 회전 작동기(70)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 작동기(70)에는 다수의 진공 흡착기 암(80)을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7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재 작동부(B)의 회전 작동기(70)에는 결합 치차(76)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 흡착기 암(80)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 흡착기 암(80)에는 소부재(86)를 이송 및 취부하는 진공 흡착기(84)를 형성한다. 상기 진공 흡착기 암(80)은 진공 호스(78)를 연결시켜 소부재(86)와 밀착하고 있는 진공 흡착기(84)를 흡착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부재 이송장치(30)는 장비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두개로 구분되는데, 그 동작 방법은 근거리 조작과 원거리 조작으로 나눌수 있다.
상기 작업자가 부재 이송장치(30)를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소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방법은, 먼저 작업자는 손잡이(58)를 잡고 원하는 장소로 밀고 당기면 제 2,3 핀 연결부(53)(54)가 회전을 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소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부재 이송장치(30)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소부재를 이송 및 취부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제어 판넬(64)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 1 핀 연결부(46), 좌,우 실린더(50), 상,하 실린더(48), 전동기구(38) 및 장비 이동구(32)를 자동 조작하며 소부재를 이송한 뒤 작업하고자 하는 부재의 근거리로 이동한 후 부재 근처에서 근거리 조작으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부재 이송장치는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비 이동구를 형성하고 또한 작업자가 부재 작동부(B)를 제어 판넬을 통하여 조절이 가능할 수 있어 소부재를 이송하고 취부하는 작업을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2인 1조로 작업을 수행하던 것을 1인이 직접 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적 절감에 의한 선박 건조비를 삭감시킬 수 있고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각각의 블록을 제작하기 위해 중부재 및 소부재를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자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비 이동구(32)를 형성시킨 하부 몸체(34); 상기 하부 몸체(34)에 결합되어 그 직상부에 형성된 상부 몸체(40)를 360°회전시키는 전동 기구(38)를 구비시킨 회전 장치(36); 상기 회전 장치의 상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측에 수직 지지대(44)와 상,하 실린더(48)를 고정시키는 상부 몸체(40);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제 1 핀 연결부(46)에 일측 말단을 결합시키고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상,하 실린더(48)와 연결시키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다단 형상의 좌,우 실린더(50); 상기 좌,우 실린더(50)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 실린더(48); 상기 좌,우 실린더의 타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 2 핀 연결부(52)와 제 3 연결부(54)를 형성하고, 작업자가 소부재(86)를 이송 및 취부하는 경우 손잡이(58)로 사용하도록 제 3 핀 연결부(54)에 결합시키는 연결구(56); 및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시킨 홈에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며 취부 작업을 시행하는 부재 작동부(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작동부(B)를 사용하여 소부재(86)에 대한 근거리 이동 및 취부시는 작업자가 제어 판넬(64)을 이용하고 상기 부재 작동부(B)를 사용하여 소부재(86)에 대한 원거리 이동 및 취부시는 원거리 조정하며, 상기 부재 작동부(B)는, 몸체 일측에 연결구(56)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스위블 볼(60)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블 볼(60)에는 그 인접한 하부에 제 1,2,3 핀 연결구(46)(52)(54) 및 진공 흡착기(84)를 조정하는 제어 판넬(64)을 형성하며, 몸체 타측에 작동 실린더(68)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 실린더(68)에는 하부측에 회전 작동기(70)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 작동기(70)에는 다수의 진공 흡착기 암(80)을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74)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회전 작동기(70)에는 결합 치차(76)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 흡착기 암(80)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 흡착기 암(80)에는 소부재(86)를 이송 및 취부하는 진공 흡착기(84)를 구성한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KR2020000002618U 2000-01-31 2000-01-31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KR200193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18U KR200193281Y1 (ko) 2000-01-31 2000-01-31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18U KR200193281Y1 (ko) 2000-01-31 2000-01-31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281Y1 true KR200193281Y1 (ko) 2000-08-16

Family

ID=1963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18U KR200193281Y1 (ko) 2000-01-31 2000-01-31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2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438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설치용 레일주행 로봇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438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설치용 레일주행 로봇장치
KR102076685B1 (ko) * 2013-09-26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설치용 레일주행 로봇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0001C (en) Transfer robot
US5516254A (en) Supplementary unit for fork lift trucks
KR20130020008A (ko) 러그 장착용 핸들링 장치
KR200193281Y1 (ko) 선박블록 제작용 부재를 이송하는 장치
CN101977736A (zh) 夹持装置以及搬运机扑
CN112264791A (zh) 一种地面移动式轴端螺栓拧紧机及其使用方法
JP4412834B2 (ja) 油圧ジャッキ
JP4412833B2 (ja) 油圧ジャッキ
KR100898568B1 (ko) 레일 이동 로봇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 이동 로봇 시스템
CN212292566U (zh) 一种双回转悬臂吊
US11401676B2 (en) Drilling machine, assembly procedure, and kit for a drilling machine
CN114147756A (zh) 一种用于装配大吨位预制结构块的抓手及机械臂
KR200192948Y1 (ko) 소부재 이동 및 취부용 다관절 크레인 핸드부
JPH09110360A (ja) Pcブロック把持装置
CN219404284U (zh) 助力机械臂
JP2002187086A (ja) ワーク反転支持装置
CA2143153A1 (en) Mounted crane for mobile equipment
JPH0752147Y2 (ja) 天井クレーンの連結装置
CN109626194A (zh) 一种飞机大蒙皮柔性主动式吊装装置及其吊装方法
CN204895582U (zh) 一种翻转吊具的工件锁定装置
CN215592549U (zh) 一种吊运机
CN221050986U (zh) 一种升降式智能码垛机器人
CN214733714U (zh) 一种门板吊装装置
CN215393295U (zh) 一种用于液压支架结构件机器人单侧翻转焊接工作站
CN216277896U (zh) 一种用于装配大吨位预制结构块的拼装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