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022Y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022Y1
KR200193022Y1 KR2020000009163U KR20000009163U KR200193022Y1 KR 200193022 Y1 KR200193022 Y1 KR 200193022Y1 KR 2020000009163 U KR2020000009163 U KR 2020000009163U KR 20000009163 U KR20000009163 U KR 20000009163U KR 200193022 Y1 KR200193022 Y1 KR 200193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ain
discharged
discharge por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기
Original Assignee
우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기 filed Critical 우창기
Priority to KR2020000009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배출하는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연결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4)에 연결되어 그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둘레면에 다수개의 배수공(16)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배출구(18)가 형성된 탈수통(6)과, 이 탈수통(6)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에 따라 탈수통(6)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배출구(18)쪽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리드스크류(8)와, 이 리드스크류(8)에 연결된 구동모터(10)와, 상기 탈수통(6)에 연결되며 배수공(16)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감에 따라, 소정의 가압장치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므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여 처리하므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는 부피가 크고 고가이므로, 일반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모아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에 투입하여야 하므로, 소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되는 가정에서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일반가정에서는 이와같이, 소량으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분쇄기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분쇄기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분쇄하여 하수구를 통해 배출시키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반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며, 가정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싱크대 4. 배수구
6. 탈수통 8. 리드스크류
10. 구동모터 12. 수집관
16. 배수공 18. 배출구
28. 쓰레기봉투 30,32. 홀더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배출하는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연결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4)에 연결되어 그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둘레면에 다수개의 배수공(16)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배출구(18)가 형성된 탈수통(6)과, 이 탈수통(6)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에 따라 탈수통(6)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배출구(18)쪽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리드스크류(8)와, 이 리드스크류(8)에 연결된 구동모터(10)와, 상기 탈수통(6)에 연결되며 배수공(16)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탈수통(6)은 배출구(18)쪽이 상향되도록 설치되어, 싱크대(2)의 배수구(4)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출구(1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탈수통(6)의 전방에는 쓰레기봉투(28)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별도의 홀더(30,32)가 구비되어, 배출구(18)로 배출되는 음식물이 쓰레기봉투(28)에 자동으로 수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배출하는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연결되는 것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연결되어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탈수통(6)과 이 탈수통(6)의 내부에 장착된 리드스크류(8)와, 이 리드스크류(8)에 연결된 구동모터(10)와, 상기 탈수통(6)에 연결된 수집관(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수통(6)은 그 후측상부에서 상향연장된 연결관(14)을 통해 상기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연결된 것으로, 그 하측면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수공(16)이 형성되며, 그 전방에는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8)가 형성된다. 이때, 이 탈수통(6)의 전방에는 그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의 가이드(20)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8)는 이 가이드(20)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이 탈수통(6)은 그 전방의 배출구(18) 쪽이 상향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2)의 배수구(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이 전방의 배출구(1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드스크류(8)는 회전축(22)의 둘레면에 나선방향의 블레이드(2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0)로 리드스크류(8)를 회전시키면, 상기 탈수통(6)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블레이드(24)에 의해 배출구(18) 쪽으로 가압되므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탈수통(6)의 배출구(18)로 배출되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가압되어 상기 배수공(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0)는 상기 리드스크류(8)를 충분한 힘으로 저속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드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집관(12)은 탈수통(6)의 배수공(16)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배수공(16)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는 것으로, 그 하단이 도시안된 하수관에 연결되어 수집된 수분을 하수관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통(6)의 전방에는 쓰레기봉투(28)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된 홀더(30,32)가 더 구비된다. 이 홀더(30,32)는 상기 탈수통(6)의 전방 돌출부(32)에 쓰레기봉투(28)의 투입구(34)를 끼워넣고, 그 둘레면에 밴드나 탄성링(30)을 결합하여 쓰레기봉투(28)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배출구(18)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자동으로 쓰레기봉투(28)에 수집된다. 이때, 이 홀더(30,32)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밴드나 탄성링을 이용한 것 이외에, 쓰레기봉투(28)의 투입구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된 것은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쓰레기봉투(28)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량제 규격봉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직접 설치되어, 음식을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할 때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즉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탈수통(6)은 그 전방의 배출구(18)가 상향되도록 설치되므로, 설거지를 할 때 발생되는 오수가 배출구(1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더(30,32)를 이용하여, 배출구(18)에 쓰레기봉투(28)를 걸어놓을 수 있으므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별도로 수집하여 처리하지 않고, 종량제 규격봉투를 이용하여 즉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리드스크류(8)가 장착된 탈수통(6)을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직접 연결하므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가정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배출하는 싱크대(2)의 배수구(4)에 연결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4)에 연결되어 그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둘레면에 다수개의 배수공(16)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배출구(18)가 형성된 탈수통(6)과, 이 탈수통(6)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에 따라 탈수통(6)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배출구(18)쪽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리드스크류(8)와, 이 리드스크류(8)에 연결된 구동모터(10)와, 상기 탈수통(6)에 연결되며 배수공(16)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6)은 배출구(18)쪽이 상향되도록 설치되어, 싱크대(2)의 배수구(4)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출구(1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6)의 전방에는 쓰레기봉투(28)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별도의 홀더(30,32)가 구비되어, 배출구(18)로 배출되는 음식물이 쓰레기봉투(28)에 자동으로 수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0009163U 2000-03-31 2000-03-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93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163U KR200193022Y1 (ko) 2000-03-31 2000-03-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163U KR200193022Y1 (ko) 2000-03-31 2000-03-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022Y1 true KR200193022Y1 (ko) 2000-08-16

Family

ID=1964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163U KR200193022Y1 (ko) 2000-03-31 2000-03-3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0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397A (ko) * 2002-04-08 2003-10-17 조송준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리장치
WO2006022475A1 (en) * 2004-08-24 2006-03-02 Yong-Hui Lee Automatic food refuse disposal apparatus
KR101053000B1 (ko) 2011-04-11 2011-07-29 윤광현 상수도 수압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397A (ko) * 2002-04-08 2003-10-17 조송준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리장치
WO2006022475A1 (en) * 2004-08-24 2006-03-02 Yong-Hui Lee Automatic food refuse disposal apparatus
KR101053000B1 (ko) 2011-04-11 2011-07-29 윤광현 상수도 수압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312702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отбросов, в частности, отбросов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для облегчения их ликвидации
WO2008059622A1 (en) Garbage treatment device and container for garbage treatment
KR20019302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02514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CN213773644U (zh) 垃圾处理系统
KR1999008639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1301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35660B1 (ko) 가정용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및 방법
CN214406729U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
CN214321275U (zh) 一种具有厨余垃圾干湿分离功能的厨房用垃圾处理装置
KR20026595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88215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
KR200317179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4400201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污泥浓缩机
CN2487730Y (zh) 废水脱渣机
CN216890202U (zh) 一种污水分离处理装置
KR200374364Y1 (ko) 잔반 탈수 장치
JPH09119155A (ja) 生ごみの水切装置
KR200196822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JPH0975766A (ja) 厨芥処理装置
KR200240024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JPH0975904A (ja) 生ごみ処理装置
JPS5925482Y2 (ja) 破砕洗浄脱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