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967Y1 - 유리 용해용 전기로 - Google Patents

유리 용해용 전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967Y1
KR200192967Y1 KR2020000007124U KR20000007124U KR200192967Y1 KR 200192967 Y1 KR200192967 Y1 KR 200192967Y1 KR 2020000007124 U KR2020000007124 U KR 2020000007124U KR 20000007124 U KR20000007124 U KR 20000007124U KR 200192967 Y1 KR200192967 Y1 KR 200192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heating chamber
electric furnace
mel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24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62204B1/ko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식 filed Critical 김명식
Priority to KR2020000007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유리 용해용 전기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전기로는 다수의 내화벽돌이 적층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용해물이 저장된 도가니가 설치되는 가열실; 가열실 내벽에 설치되어 도가니를 가열하는 다수의 전기히터; 가열실 바닥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도가니로부터 유출된 용해물을 상기 가열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가열실의 내벽에는 전기히터가 내설 되도록 상하로 연장된 설치홈이 형성된 것으로 전기로 내부에 안착되는 도가니가 파손되어 용해물이 유출되더라도 즉각적인 용해물의 회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한 전기로의 복구가 가능하고, 또한 도가니의 입출을 위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도가니의 입출작업이 보다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이 종래의 중유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히터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 용해용 전기로{The electric kiln for melting glass}
본 고안은 유리 용해용 전기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 내부의 도가니가 파손되었을 경우 용해물이 외부로 자동 유출되도록 하고, 파손된 도가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용해용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를 용해시키는 장치는 내화 벽돌로 이루어진 가마의 내부에 다수개의 도가니를 배치시키고 중유를 연료로 사용하여 도가니를 가열시킴으로써 도가니의 내부에 담겨진 유리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중유를 사용한 종래의 가마의 경우는 중유의 연소에 따른 상당한 공해물질을 발생시켜 대기를 훼손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중유의 연소는 가마 내부에서의 열 분포가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 고품질의 유리제품을 성형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가마의 경우는 다수의 도가니를 가마 내부에 설치한 후 가마의 입구를 내화벽돌로 막고, 이후 유리가 용해되면 입구를 헐어내어 도가니를 인출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마의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이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중유대신 전기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용해용 전기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기로 내부에 설치된 히터가 안정적으로 설치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전기로 내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들과 관련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로 내부에 용해물이 유출될 경우 이 용해물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전기로 내부에 설치된 도가니의 입출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기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전열히터 설치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에 설치된 도가니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에 사용되는 이송봉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본체
110...가열실
111...히터
112...히터 설치홈
114...배출구
300...가이드레일
314...호이스터
400...도가니
500...이송봉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내화벽돌이 적층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용해물이 저장된 도가니가 설치되는 가열실; 상기 가열실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는 다수의 전기히터; 상기 가열실 바닥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가니로부터 유출된 용해물을 상기 가열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 바닥은 타측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일측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열실의 상기 내벽에는 상기 전기히터가 내설 되도록 상하로 연장된 설치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도가니가 입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상측 적소에는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가이드레 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게 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서 연장된 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 지지되어 상기 도가니를 들어올려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용해용 전기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용해용 전기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가열실(110)이 구현된 본체(100)를 구비하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별도로 또는 본체(100)와 일체로 구현되어 본체 내부로의 전류 공급 등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체(100)는 외형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하는 강판(101)이 외곽을 형성하고, 그 강판 사이로 다수의 내화벽돌(102)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단에는 각각의 모서리에 롤러(104)가 장착되어 본체(100)의 위치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체(100)의 전면 상측부분에는 본체(100) 내부로 도가니(400)의 입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H'빔 형상으로 된 가이드레일(300)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레일(300)은 그 결합단이 본체(100)에 마련된 힌지홈(103)에 힌지축(310)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레일(3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하는 가이드롤러(3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롤러(311)에 는 가이드롤러(311)를 지지하는 지지판(3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312)의 하단에는 걸림고리(313)가 형성되고, 걸림고리(313)에는 체인(315)이 설치된 호이스터(314)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면에는 가열실(110) 내부에 설치된 히터(111)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선(120)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전압선(120)들의 외곽보호를 위한 보호철망(121)이 주변부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실(110)은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내벽이 형성되고, 이 내벽에 다수의 히터(111)가 설치된다. 그리고 내벽에는 히터(111)의 설치위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도가니(400) 또는 그 외의 작업공구들의 입출시 히터(1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히터 설치홈(112)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벽의 전체적인 형상은 요철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가열실의 바닥은 도가니(400)가 안착되는 안착부(115)를 형성하고, 이 안착부(115)의 양 가장자리 부분에서 후방부분으로 연장된 안내홈(1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내홈(113)은 전방부분으로부터 후방부분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안내홈(113)의 최 하류측, 즉 후면의 하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외부로 연장 개통된 배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114)는 가열실의 가동시 내화섬유재질의 내화부재에 의하여 막혀있게 된다. 그리고 도가니(400)는 안착부(115)의 중간부분에 안착되어 그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의 도가니(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에 입구(410)가 전방 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가니(400)의 입출을 위하여 도 5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이송봉(500)이 구비되는데. 이 이송봉(500)은 대략 'T'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측방 돌출부분이 손잡이(510)를 형성하고, 이 손잡이부(510)로부터 차례로 이송봉(5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부(520)와 원주를 따라 굴곡지게 파여서 호이스터 체인(315)이 걸쳐지는 안착부(530), 그리고 도가니(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도가니(400)의 내부에 지지되는 절곡부(540)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도가니(400) 내부에 고형화 된 유리물을 삽입한 후 도가니(400)를 본체(100) 내부의 가열실(110)에 삽입한다. 이때의 삽입은 이송봉(500)과 가이드레일(300)을 사용하여 할 수 도 있고, 작업자가 직접 삽입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삽입은 도가니(400)의 입구가(410) 가열실(110)의 입구 측으로 향하도록 하는데, 이 도가니(400)의 삽입 시에는 도가니(400)의 입구(410)를 내화재로 막고, 안내홈(113) 사이의 상향 단차진 안착부(115)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도가니(400)의 삽입 전에 본체(100) 내부의 가열실(110)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4)는 사용자가 내화재로 막은 후 도가니(400)를 삽입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도가니(400)를 삽입한 후 가열실(110) 입구를 별도의 도어장치 또는 내화 벽돌 등으로 막고, 가열실(110)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전기히터(111)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실(110) 내부에서의 도가니(400)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열이 소정시간 이루어지면 도가니(400) 내부의 유리물이 용해되어 액상으로 변하게 되고, 유리물의 완전 용해가 이루어지면 도가니(400)를 인출하여야 한다.
이 도가니(400)의 인출공정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가니(400)와 도가니(400) 내부의 유리 용해물이 가열되어 상당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봉(500)과 가이드레일(300)을 사용하여 도가니(400)의 인출공정을 수행하는데. 먼저 가열실(110)의 입구를 개방한 후, 가이드레일(300)의 가이드롤러(311)에 형성된 걸림고리(313)에 호이스터(314)를 설치한 후 이 호이스터(314)의 하단측에 이송봉(500)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이송봉(500)의 손잡이(510)를 작업자가 잡고, 이송봉(500)의 절곡부(540)를 도가니(400)의 입구(410) 측으로 밀어 넣어 들어올린 후 도가니(400)를 들어올려 외부로 인출하면 된다.
한편, 도가니(400)의 가열 중 도가니(400)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도가니(400) 자체의 불량에 의하거나, 또는 과다한 가열상태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도가니(400)가 파손되면 내부의 유리 용해물이 전기로의 가열실(110) 내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때의 유출된 용해물은 가열실(110) 바닥 주변부의 안내홈(113)으로 흘러내린 후 이 안내홈(113)을 따라 가열실(110) 내부의 후방 측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가열실(110) 내부의 배출구(114) 측으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구(114)의 입구는 내화재로 막혀있는 상태이지만, 용해물이 이 내화재에 접하게 되면 내화재는 용해물의 열에 의하여 용해되어 배출구(114)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용해물은 배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회수되게 됨으로써 도가니(400)가 파손되더라도 가열실(110) 내부에 용해물이 거의 잔존하지 않게 되어 가열실(110) 내부의 부분적인 수리로써 즉각적인 복원이 이루어지고 전기로의 계속적인 사용이 신속하게 가능하게 된다.
이상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일 실시예이고, 전술한 실시예외에 부분적인 변형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인 전기히터를 안정되게 취부하여 사용하고, 도가니가 파손되어 용해물이 누출되더라도 이 용해물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회수되도록 하며, 도가니의 입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용해용 전기로는 전기로 내부에 안착되는 도가니가 파손되어 용해물이 유출되더라도 즉각적인 용해물의 회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한 전기로의 복구가 가능하고, 또한 도가니의 입출을 위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도가니의 입출작업이 보다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이 종래의 중유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히터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내화벽돌이 적층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용해물이 저장된 도가니가 설치되는 가열실;
    상기 가열실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는 다수의 전기히터;
    상기 가열실 바닥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가니로부터 유출된 용해물을 상기 가열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 바닥은 타측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일측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3. 제 1항 내지는 제 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의 상기 내벽에는 상기 전기히터가 내설 되도록 상하로 연장된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도가니가 입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상측 적소에는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게 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서 연장된 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 지지되어 상기 도가니를 들어올려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KR2020000007124U 2000-03-13 2000-03-14 유리 용해용 전기로 KR200192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124U KR200192967Y1 (ko) 2000-03-13 2000-03-14 유리 용해용 전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492A KR100362204B1 (ko) 2000-03-13 2000-03-13 유리 용해용 전기로
KR2020000007124U KR200192967Y1 (ko) 2000-03-13 2000-03-14 유리 용해용 전기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492A Division KR100362204B1 (ko) 2000-03-13 2000-03-13 유리 용해용 전기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967Y1 true KR200192967Y1 (ko) 2000-08-16

Family

ID=2663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124U KR200192967Y1 (ko) 2000-03-13 2000-03-14 유리 용해용 전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9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95B1 (ko) * 2001-10-17 2004-09-04 김병주 도가니형 저항전기로
KR100446698B1 (ko) * 2001-10-17 2004-09-04 김병주 도가니형 전기저항로
KR100485190B1 (ko) * 2002-08-16 2005-04-25 이춘홍 전기로
KR100866464B1 (ko) 2006-11-23 2008-10-31 이춘홍 전기로 및 그 축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95B1 (ko) * 2001-10-17 2004-09-04 김병주 도가니형 저항전기로
KR100446698B1 (ko) * 2001-10-17 2004-09-04 김병주 도가니형 전기저항로
KR100485190B1 (ko) * 2002-08-16 2005-04-25 이춘홍 전기로
KR100866464B1 (ko) 2006-11-23 2008-10-31 이춘홍 전기로 및 그 축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4969B2 (en) Melting/retaining furnace for aluminum ingot
RU2044977C1 (ru) Плав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и плавления шихты
AU711071B2 (en) Continuous melting apparatus for low-melting point metal, improved crucible for such apparatus, and melting method using such apparatus
KR101338118B1 (ko) 알루미늄 연속 용해로
KR200192967Y1 (ko) 유리 용해용 전기로
KR100362204B1 (ko) 유리 용해용 전기로
KR101669135B1 (ko) 복합 용해로
JP4198224B2 (ja) 金属溶解保持炉
KR100305596B1 (ko) 유리 용해용 전기로
JP3723100B2 (ja) 炉の窓構造
US8414825B2 (en) Movable sweat hearth for metal melting furnace
KR200225399Y1 (ko) 유리 용해용 전기로
IT202100002246A1 (it) Apparato per il trattamento di rifiuti contenenti lana minerale
KR100246987B1 (ko) 알루미늄 용해로
KR20150108675A (ko) 용해로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1100412B1 (ko) 금속의 연속용융이 가능한 복합용해로
KR20100021053A (ko) 유리 용해용 전기로
US2155418A (en) Furnace construction
KR102098955B1 (ko) 래들 예열장치
KR100924670B1 (ko) 용해로로부터 용융상을 출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IT9020965A1 (it) Bruciatore per il preriscaldamento o il taglio di materiale da fondere in particolare per altoforni di tipo elettrico
JP3108901B2 (ja) 直流電気炉
KR100760570B1 (ko) 자동 장착 가능한 침지노즐 예열장치
JP3535215B2 (ja) 溶解保持炉
JP2001131650A (ja) 金属溶解方法と金属溶解設備とインゴット材予熱装置とリターン材予熱装置とインゴット材・リターン材混合溶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