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394Y1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394Y1
KR200192394Y1 KR2019960047043U KR19960047043U KR200192394Y1 KR 200192394 Y1 KR200192394 Y1 KR 200192394Y1 KR 2019960047043 U KR2019960047043 U KR 2019960047043U KR 19960047043 U KR19960047043 U KR 19960047043U KR 200192394 Y1 KR200192394 Y1 KR 200192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pinion
carrier
axial movemen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104U (ko
Inventor
최영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7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3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1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자동 변속기를 구성하는 유성 기어장치의 부품 수를 줄여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차량용 유성 기어장치의 피니언 기어 장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판형의 측판이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되며,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이들 측판사이에 피니언 기어(15)가 위치되는 캐리어(10)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한 캐리어(10)의 홀에 삽입되어 피니언 기어(15)를 위치 고정시키며,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축방향 이동 제한수단(50)을 포함하는 피니언 샤프트(40)를 제공하여, 상기한 캐리어의 양 측판 사이에 위치하는 피니언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유성 기어장치를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절감을 꾀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본 고안은 자동 변속기용 유성 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 기어장치의 부품 수를 줄여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는 유성 기어장치의 피니언 기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자동 변속기는 토오크 컨버터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다단 변속 기어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 기어 메커니즘의 기어단중 어느 하나의 기어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 작동 마찰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한 자동 변속기는 유체 토오크 컨버터와 유성 기어장치를 조합하고 유압제어 시스템(Hydraulic Torque Converter)을 이용하여 운전 조건과 기관의 부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의 구조는, 발진 클러치로서의 기능과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유체 토오크 컨버터와, 정확한 시기에 자동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 변속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기계/유압 제어 시스템과, 상기 유체 토오크 컨버터 다음에 설치되어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방향을 변환(역전)시킬 수 있는 유성 기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유성 기어장치에 의한 기어비의 변경은 선기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기어를 고정하고 링기어를 회전시키거나 하여 상기 링기어나 캐리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기어비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성 기어장치의 캐리어는 첨부된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측판(100)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100)중 일측판은 원형의 삽입홀(110)을 형성하고 다른 측판은 반원형의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두 측판(100) 사이에는 피니언 기어(200)가 위치하며, 상기 양 측판(100)의 삽입홀(110)에 삽입되는 수단으로 피니언 샤프트(200)가 사용된다.
상기 피니언 샤프트(300)는 양 측판(100)의 각기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진 삽입홀(110)과 결합홈(120)에 삽입되기 위하여 원형의 축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의 끝 부분은 단차부(310)가 형성된다.
상기한 단차부(310)는 상기 캐리어의 측판중 후방에 위치하는 측판(100)의 결합홈(120)에 삽입되기 위해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한 피니어 샤프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4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피니언 샤프트(300)는 단차부(310)를 선두로 하여 삽입홀(110)을 성형한 측판(100)으로부터 삽입하며, 이어서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페이서(400)와 결합한다.
상기 스페이서(400)와 결합한 피니언 샤프트(300)는 피니언 기어(200)를 관통한 뒤 후방에 위치한 측판(100)의 결합홈(120)에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한 측판(100)의 결합홈(120)은 반원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이 형상에 맞게 단차부(310)를 위치 조정하여 삽입한다.
그러나, 상기한 유성 기어장치는 캐리어와 피니언 기어를 조립하는데 있어, 피니언 샤프트 끝단의 단차부를 후방에 위치한 측판의 결합홈에 정확하게 일치시켜 끼워 넣어야 한다.
상기 후방에 위치한 측판의 결합홈은 반원형이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숙련도가 필요하고,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수를 단축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판형의 측판이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이들 측판사이에 피니언 기어가 위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한 캐리어의 홀에 삽입되어 피니언 기어를 위치 고정시키며,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축방향 이동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피니언 샤프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피니언 기어의 장착구조는 캐리어의 양 측판 사이에 위치하는 피니언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성 기어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피니언 샤프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유성 기어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성 기어장치 10 : 캐리어
15 : 피니언 기어 20 : 제1측판
25 : 제1홀 30 : 제2측판
35 : 제2홀 40 : 피니언 샤프트
50 : 축방향 이동 제한수단 51 : 대경부
52 : 소경부 53 : 단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성 기어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피니언 샤프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부호 1을 유성기어장치라 지칭한다.
자동 변속기의 유성 기어장치(1)는 선기어, 피니언 기어(15), 캐리어(10), 링기어, 그리고 밴드 브레이크로 구성되며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유성 기어장치(1)에 의한 기어비의 변경은 선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기어(미도시)를 고정하고 링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키거나 하여, 상기 링기어(미도시)나 캐리어(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한 유성 기어장치(1)는 캐리어(10)는 원판형의 측판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이들 측판 사이에 피니언 샤프트(40)를 통해 피니언 기어(15)가 위치고정 된다.
상기한 캐리어(10)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측판(20)과 제2측판(30)로 나뉘어진다.
또한, 원주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홀이 성형되고, 상기 제1측판(20)의 제1홀(25)에 비해 제2측판(30)의 제2홀(35)은 반원형으로 성형된다.
상기한 캐리어(10)의 홀에 삽입되는 축방향 이동 제한수단(50)은 길이를 가지며, 제1측판(20)과 제2측판(30) 사이에 위치한 피니언 기어(15)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제1측판(20)의 제1홀(25)부터 삽입되어 피니언 기어(15)를 관통한 뒤 후방에 위치한 제2측판(30)의 제2홀(35)에 끼움결합하여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한 축방향 이동 제한수단(50)은 상기 제2측판의 제2홀(35)에 상호 결합하기 위해 일측 끝단에 단차(53)가 형성된다.
상기 축 방향 이동 제한수단(50)은 피니언 기어(15)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일측은 대경부(51)를 이루고 타측은 소경부(52)를 형성한다.
상기한 대경부(51)는 캐리어(10)의 제1측판(20)의 제1홀(25)과 끼움 결합하며, 소경부(52)는 피니언 기어(15)에 삽입되므로, 상기한 피니언 기어(15)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15) 장착구조는 캐리어(10)의 제1측판(20)과 제2측판(30) 사이에 피니언 기어(15)를 위치시키며, 상기한 제1측판(20)의 제1홀(25)부터 축방향 이동 제한수단(50)을 포함하는 피니언 샤프트(40)를 삽입한다.
상기한 피니언 샤프트(40)는 단차(53)를 선두로 하여 캐리어(10)의 제1측판(20)과 피니언 기어(15)와 제2측판(30) 순으로 삽입하며, 상기 제1측판(20)은 대경부(51)와 끼워맞춤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15)는 소경부(52)와 끼움 결합한다.
또한, 상기한 피니언 샤프트(40)는 제2측판(30)의 제2홀(35)에 상호 결합하여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피니언 기어(15)는 일측으로 제2측판(30)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타측은 피니언 샤프트(40)의 대구경의 선단과 접촉하게 되므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성 기어장치를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절감을 꾀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대하고, 아울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원판형의 측판이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이들 측판 사이에 피니언 기어(15)가 위치되는 캐리어(10)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와 상기 피니언 기어(15)의 결합은 상기 캐리어(10)를 구성하는 제1측판의 제1홀(25)에 끼워 맞춤되는 대경부(51)와, 상기 피니언 기어(15)에 삽입되는 소경부(52)를 갖추는 피니언 샤프트(40)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KR2019960047043U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KR200192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043U KR200192394Y1 (ko)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043U KR200192394Y1 (ko)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04U KR19980034104U (ko) 1998-09-05
KR200192394Y1 true KR200192394Y1 (ko) 2000-10-02

Family

ID=194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043U KR200192394Y1 (ko)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3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698B1 (ko) * 2013-10-16 2015-03-13 현대다이모스(주) 유성 기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04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211871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передач велосипедов
EP0849498B1 (en) Gear train for a 6-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KR100354029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장치
US5370590A (en) Securing means for a planetary gear unit
KR200192394Y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US4063468A (en) Change-speed gear system for use in automatic transmissions
US5746675A (en) Carrier connecting structur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19350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US5178588A (en) Parking gear mounting structur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H0517488Y2 (ko)
US20050130790A1 (en) Planetary gearset mechanism of double sun gear type
KR100597355B1 (ko) 자동 변속기의 클러치 장착 구조
KR200178089Y1 (ko) 자동 변속기용 센터 서포터
KR200178091Y1 (ko) 자동 변속기용 드럼축 구조
KR100237978B1 (ko) 수동변속기의 피동기어 고정구조
KR20030030465A (ko) 유성기어장치의 트러스트 와셔구조
KR200146973Y1 (ko) 자동 변속기용 아이들 기어 장착구조
KR100632589B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 장치
JP3448877B2 (ja) 自動変速機の動力伝達機構
KR100930548B1 (ko) 무단변속기의 인풋샤프트 및 풀리 연결구조
KR19980059657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지지구조
KR100254372B1 (ko) 로우 리버스 브레이크 구조
JPH0117712Y2 (ko)
SU1456660A1 (ru) Двухскоростна планетарна передача
KR200198398Y1 (ko) 자동변속기의 마찰기구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