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344Y1 -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344Y1
KR200192344Y1 KR2020000008129U KR20000008129U KR200192344Y1 KR 200192344 Y1 KR200192344 Y1 KR 200192344Y1 KR 2020000008129 U KR2020000008129 U KR 2020000008129U KR 20000008129 U KR20000008129 U KR 20000008129U KR 200192344 Y1 KR200192344 Y1 KR 200192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vehicle body
animal
shaft
animal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왕
Original Assignee
임철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왕 filed Critical 임철왕
Priority to KR2020000008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42Ste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승용차의 전면에다 동물완구를 고정한 회전판을 유착하여 핸들 및 조향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면에 동물완구등을 고정하여서 된 어린이승용차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동물완구를 회전불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이므로 어린이에게 승용차놀이의 재미를 만끽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1)에 핸들(3)을 고정한 조향축(2)을 유착하여 조향축(2)의 하단에 고정한 바퀴축(4)에는 앞바퀴(5)를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조향축(2)에는 돌편(201)을 형성하고 차체(1)에 형성한 요부(101)에는 삼각홈(601)이 형성되고 동물완구(7)를 나사못 (10)으로 고정한 회전판(6)을 회전자유롭게 축(16')으로 유착하고,
전기의 돌편(201)에는 작동간(8)의 홈(801)을, 삼각홈(601)에는 작동간(7)의 단부를 끼워 차체(1)에 핀(9)으로 유착하여 핸들(3)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물완구 (7)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하여 승용차놀이의 재미를 만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AN ANIMAL TOY ROTATION DEVICE FOR CHILDREN CAR}
본 고안은 어린이승용차의 전면에다 동물완구를 고정한 회전판을 유착하여 핸들 및 조향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면에 동물완구등을 고정하여서 된 어린이승용차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동물완구를 회전불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이므로 어린이에게 승용차놀이의 재미를 만끽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1)에 핸들(3)을 고정한 조향축(2)을 유착하여 조향축(2)의 하단에 고정한 바퀴축(4)에는 앞바퀴(5)를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조향축(2)에는 돌편(201)을 형성하고 차체(1)에 형성한 요부(101)에는 삼각홈(601)이 형성되고 동물완구(7)를 나사못 (10)으로 고정한 회전판(6)을 회전자유롭게 축(16')으로 유착하고,
전기의 돌편(201)에는 작동간(8)의 홈(801)을, 삼각홈(601)에는 작동간(7)의 단부를 끼워 차체(1)에 핀(9)으로 유착하여 핸들(3)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물완구 (7)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하여 승용차놀이의 재미를 만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101 : 요부
2 : 조향축
201 : 돌편
3 : 핸들
4 : 바퀴축
5 : 앞바퀴
6 : 회전판
601 : 삼각홈
6' : 축
7 : 동물완구
8 : 작동간
801 : 홈
9 : 핀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핸들(3)을 고정한 조향축(2)을 유착하여 조향축(2)의 하단에 고정한 바퀴축(4)에는 앞바퀴(5)를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조향축(2)에는 돌편(201)을 형성하고 차체(1)에 형성한 요부(101)에는 삼각홈(601)이 형성되고 동물완구(7)를 고정한 회전판(6)을 회전자유롭게 축(6')으로 유착하고,
전기의 돌편(201)에는 작동간(8)의 홈(801)을, 삼각홈(601)에는 작동간(7)의 단부를 끼워 차체(1)에 핀(9)으로 유착하여 핸들(3)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물완구 (7)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은 나사못이고
11은 축(6')이 빠지지 못하도록 고정한
나사못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어린이가 차체(1)의 좌판에 앉아 핸들(3)을 돌리게되면 조향축(2)도 회전됨과 동시에 조향축(2)의 하부에 고정된 바퀴축(4)에 유착한 앞바퀴(5)의 각도가 변화되어 차체(1)의 전진각도를 변화시키게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한 바,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조향축(2)에다 돌편(201)을 형성하고 차체(1)에는 동물완구(7)를 고정한 회전판(6)을 회전자유롭게 유착하여 작동간(8)의 일단의 홈 (801)은 돌편(201)에 끼우고 타단은 회전판(6)의 삼각홈(601)에 끼워 작동간(8)을 차체(1)에 핀(9)으로 유착하였으므로 핸들(3)을 도2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향축(2)및 돌편(201)도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회전판 (6)의 삼각홈(601)에 끼워진 작동간(8)의 단부는 핀(9)을 축점으로하여 도2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회전판(6)및 회전판(6)에 고정된 동물완구(7)는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3)을 도2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조향축(2)및 돌편 (201)은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회전판(6)의 삼각홈(601)에 끼워진 작동간(8)의 단부는 핀(9)을 축점으로하여 점선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판(6)및 회전판(6)에 고정된 동물완구(7)는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핸들(3)을 돌여 조향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따라 동물완구(7)도 동시에 회전케되는 것에 의한 생동감으로 종래의 어린이승용차에 비하여 자동차놀이의 재미를 만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체(1)의 전면에다 동물완구(7)를 고정한 회전판(6)을 회전자유롭게 축(6')으로 유착하여 핸들(3)의 회전방향에 따라 연동회전되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고정식의 동물완구의 장식에 비하여 생동감을 발휘시킬 수 있게되어 자동차놀이의 재미를 만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1)에 핸들(3)을 고정한 조향축(2)을 유착하여 조향축(2)의 하단에 고정한 바퀴축(4)에는 앞바퀴(5)를 유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조향축(2)에는 돌편(201)을 형성하고 차체(1)에 형성한 요부(101)에는 삼각홈(601)이 형성되고 동물완구(7)를 고정한 회전판(6)을 회전자유롭게 축(6')으로 유착하고,
    전기의 돌편(201)에는 작동간(8)의 홈(801)을, 삼각홈(601)에는 작동간(7)의 단부를 끼워 차체(1)에 핀(9)으로 유착하여 핸들(3)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물완구 (7)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KR2020000008129U 2000-03-22 2000-03-22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KR200192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29U KR200192344Y1 (ko) 2000-03-22 2000-03-22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29U KR200192344Y1 (ko) 2000-03-22 2000-03-22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344Y1 true KR200192344Y1 (ko) 2000-08-16

Family

ID=1964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129U KR200192344Y1 (ko) 2000-03-22 2000-03-22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3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197B1 (en) Toy vehicle with enhanced jumping capability
JPH0428636Y2 (ko)
US5816352A (en) Remote control toy
US4077647A (en) Ridable amusement device
JP2009511346A (ja) 自転車の揺動装置
JPH0966169A (ja) 遊技用車両の方向転換装置
KR200192344Y1 (ko) 어린이승용차의 동물완구 회전장치
CN209917257U (zh) 特技玩具摩托车
KR930007800Y1 (ko) 어린이용 자동차
JPH0428635Y2 (ko)
WO2001058555A1 (fr) Jouet roulant
KR20070097681A (ko) 회전각을 갖는 자동차 완구
KR200253002Y1 (ko) 승용놀이구의 캐릭터와 조향축 간의 조립구조
KR200180620Y1 (ko) 유희용 자전거
JPH0324225Y2 (ko)
KR200336769Y1 (ko) 완구자동차
KR950002480Y1 (ko) 유아용 유희구
WO2011036528A1 (zh) 一种飞轮玩具车
JP2001137561A (ja) 無線操縦玩具
JPH0324224Y2 (ko)
KR200378784Y1 (ko) 입체회전기능의 바퀴달린 신발
KR800001913Y1 (ko) 핸들없이 방향을 변향할 수 있는 완구차
KR200186413Y1 (ko) 핸들조작으로 전후진이 가능한 완구용 자전거
KR950005632Y1 (ko) 아동용 차량의 방향전환장치
JPH01227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