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066Y1 -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 Google Patents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066Y1
KR200192066Y1 KR2020000006967U KR20000006967U KR200192066Y1 KR 200192066 Y1 KR200192066 Y1 KR 200192066Y1 KR 2020000006967 U KR2020000006967 U KR 2020000006967U KR 20000006967 U KR20000006967 U KR 20000006967U KR 200192066 Y1 KR200192066 Y1 KR 200192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piece
distance
golf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일
Original Assignee
유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일 filed Critical 유상일
Priority to KR2020000006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경기중에 골퍼의 골프공이 있는 곳에서 부터 최종 목적지인 홀에 꽂혀 있는 깃대와의 거리 및 주변 지형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측정 및 관찰하여서 되는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기 내부와 연통되어 사물을 보아서 되는 대물공(111)과 접안공(112)을 구비하여서 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대물공(111)으로 투시된 물체의 상이 맺혀서 되는 대물렌즈(10)와, 대물렌즈(10)의 상이 맺히는 선상에는 맺힌 역상을 정립 및 굴절시켜서 되는 프리즘(20)과, 정립된 상을 확대하여 접안공(112)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접안렌즈부(30)와, 상개 접안렌즈부(30)에는 거리를 대조 판독하여서 되는 레티클부(40)를 일측선상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 질수록 눈금이 조밀하게 되며 이를 깃발과 대조하여 측정하기에는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서 되는 효과와 함께 사용자에게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거리측정 및 주변지형을 확대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Optical distance measuring device for golf}
본 고안은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경기중에 골퍼의 골프공이 있는 곳에서부터 최종 목적지인 홀에 꽂혀 있는 깃대와의 거리 및 주변지형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측정 및 관찰하여서 되는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일반적인 골프의 경기 규칙은 홀의 거리를 확인한 후 자신의 타격거리에 맞는 골프채를 사용하여서 최소의 타수로 홀에 넣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홀의 거리와 방향 등을 골퍼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홀에 일정 높이를 갖는 2.44M의 깃발을 세움 하여서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깃발의 높이를 응용하여서 거리를 측정하도록 고안한 종래의 선출원된 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 제91-2959 호 : 골프용 깃대의 거리 측정기)에 의해 공지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 구성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체결 고정시켜 본체를 구성하되 일면에 투시공을 갖는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부와 지지부를 돌출 형성하여 일측 고정부에는 반사거울과 일측 고정부에는 프리즘 거울을 대향으로 접착 고정시키고 일측 지지부에는 볼록거울과 일측 지지부에는 투명 유리를 밀착 삽입시키며 투명 유리의 일측에 눈금과 기준선 숫자가 투명하게 형성된 마이크로 필름을 부착하여서 된 골프용 깃대의 거리 측정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표시한 기준선에 사물의 상이 실제의 거리에서 본 상과 같은 비율로 보여지는 깃발을 맞추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 질수록 눈금이 조밀하게 되며 이를 먼 거리에서 미세하게 보여지는 깃발과 대조하여 측정하기에는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며 더 나아가서는 측정이 불가능 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홀과의 거리 측정은 가장 바람직한 퍼팅을 하기 위해 골프공을 홀에 가장 근접하게 올려놓도록 하는 것이므로 홀의 주변을 파악하지 못하고 단지 홀에 구비된 깃대와의 거리만을 측정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거리 및 방향에 따른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리가 멀어 질수록 눈금이 조밀하게 되며 이를 깃발과 대조하여 측정하기에는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거리측정 및 주변지형을 확대 관찰할 수 있는 골프용 광학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조립되어진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되어진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접안렌즈부 확대 측정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대물렌즈 20-프리즘 30,30`-접안렌즈부
40,40`-레티클 41-눈금 42-기준선
50,50`-배율렌즈 60-수렴렌즈 60`-발산렌즈
100,100`-광학측정기 110-케이스 111-대물공
112-접안공 200-홀깃대 300-지면
따라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를 `도1' , `도' 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기 내부와 연통되어 사물을 보아서 되는 대물공(111)과 접안공(112)을 구비하여서 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대물공(111)으로 투시된 물체의 상이 맺혀서 되는 대물렌즈(10)와, 대물렌즈(10)의 상이 맺히는 선상에는 맺힌 역상을 정립 및 굴절시켜서 되는 프리즘(20)과, 정립된 상을 확대하여 접안공(112)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접안렌즈부(30)와, 상기 접안렌즈부(30)에는 거리를 대조 판독하여서 되는 레티클부(40)를 일측선상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안렌즈부(3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안렌즈부(30)는 대물렌즈(10)와 프리즘(20)에 의해 정립된 상의 선상에서 거리에 따르는 높이의 변화를 대조하여서 되는 기준선(42) 및 눈금(41)을 마련한 투명재의 레티클(40)과,
상기 레티클(4)을 통과한 상과 레티클(40)에 그려져 있는 기준선(42) 및 눈금(41)을 확대에 의해 선명히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배율렌즈(50)와,
사용자의 동공에 상을 맺혀주도록 하여서 되는 수렴렌즈(60)를 접안공(112)으로 보여지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홀깃대(200)의 높이가 그린홀의 지면(300)으로부터 2.44M의 높이로 규격 표준화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대물렌즈(10)와 접안렌즈부(30)의 거리는 고정됨을 기준으로 하며, 홀깃대(200)의 상이 확대되어서 구하여진 거리에 따른 값을 레티클(40)의 눈금(41)으로 표기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물렌즈(10)는 홀깃대(200)의 상과 주변풍경을 모을 수 있도록 볼록렌즈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물렌즈(10)는 상이 투과할 시에 굴절되어 모여진 상의 왜곡현상을 방지하여서 되는 두 개 이상의 볼록렌즈로 구성된 조합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리즘(20)은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굴절된 역상이 이를 정립 및 굴절 하여서 되거나 빛의 통로를 길게 하여서 배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접안렌즈부(30)는 다시 레티클(40)과 배율렌즈(50) 그리고 수렴렌즈(6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특히, 레티클(40)은 확대되어 투영된 홀깃대(200)의 상의 높이에 따른 눈금(41)과 높이의 기준이 되는 지면(300)과 일치되는 기준선(42)이 투명재질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확대배율은 통상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하여서 가능한 최소의 거리인 70M부터 사용자가 티오프(Tee off)후의 홀과의 거리가 최대 300M 이내의 거리로 사용하여서 측정 가능함으로서 접안렌즈부(30)를 투과되어 맺힌 확대된 홀깃대(200)의 상이 측정 가능한 접안렌즈부(30)의 시야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술적 사상이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다른 실시예를 `도3' 과, `도4' 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안렌즈부(30')는 대물렌즈(10)와 프리즘(20)에 의해 정립된 상의 선상에서 확대에 의해 선명히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배율렌즈(50')와,
빛을 확산하여 사용자가 일정거리 이상에서도 상을 보여지도록 하여서 되는 발산렌즈(60')와,
상기 발산렌즈(60')를 통과한 상이 거리에 따르는 높이의 변화를 대조하여서 되는 기준선(42) 및 눈금(41)을 마련한 투명재의 레티클(40')에 투과되어져 접안공(112)으로 보여지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접안렌즈부(30')는 프리즘(20)과 배율렌즈(50')에 의해 투과된 상이 발산렌즈(60')에 의해 빛을 확산하여서 상기 레티클(40')에 맺혀지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확대된 상을 레티클(40')에 구비된 기준선(42)과 눈금(41)에 의해 거리를 확인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발산렌즈(60')에 의해 레티클(40')에 맺힌 상은 접안공(112)과 일정거리 떨어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이며, 시야가 넓어지고 입체감이 강조되어 먼거리의 홀깃대(200)나 주변상황을 사용자의 동공을 접안공(112)과 밀착하지 않아도 확실히 볼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사용되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도5' 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물공(111)을 보고자 하는 홀깃대(200)가 세워져 있는 방향으로 맞추어 놓은 이후에 접안공(112)의 내부로 접안렌즈부(30,30')를 보면 되는 것이다.
이때, 정립된 홀깃대(200)의 맺힌 상의 하단부를 기준선(42)에 맞추어 놓은 이후 홀깃대(200)의 상단부와 수평으로 일치하는 눈금(41)에 표기된 거리를 판독하여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안은 접안렌즈부를 투과되어 맺힌 확대된 홀깃대의 상이 측정 가능한 접안렌즈부의 시야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산렌즈에 의해 레티클에 맺힌 상은 접안공과 일정거리 떨어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으로서 시야가 넓어지고 입체감이 강조되어 먼거리의 홀깃대나 주변상황을 사용자의 동공을 접안공과 밀착하지 않아도 확실히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 질수록 눈금이 조밀하게 되며 이를 깃발과 대조하여 측정하기에는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서 되는 효과와 함께 사용자에게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거리측정 및 주변지형을 확대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기 내부와 연통 되어 사물을 보아서 되는 대물공(111)과 접안공(112)을 구비하여서 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대물공(111)으로 투시된 물체의 상이 맺혀서 되는 대물렌즈(10)와,
    대물렌즈(10)의 상이 맺히는 선상에는 맺힌 역상을 정립 및 굴절시켜서 되는 프리즘(20)과,
    정립된 상을 확대하여 접안공(112)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접안렌즈부(30)와,
    상기 접안렌즈부(30)에는 거리를 대조 판독하여서 되는 레티클부(40)를 일측선상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렌즈부(30)는 대물렌즈(10)와 프리즘(20)에 의해 정립된 상의 선상에서 거리에 따르는 높이의 변화를 대조하여서 되는 기준선(42) 및 눈금(41)을 마련한 투명재의 레티클(40)과,
    상기 레티클(40)을 통과한 상과 레티클(40)에 그려져 있는 기준선(42) 및 눈금(41)을 확대에 의해 선명히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배율렌즈(50)와,
    사용자의 동공에 상을 맺혀주도록 하여서 되는 수렴렌즈(60)를 접안공(112)으로 보여지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렌즈부(30')는 대물렌즈(10)와 프리즘920)에 의해 정립된 상의 선상에서 확대에 의해 선명히 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배율렌즈(50')와,
    빛을 확산하여 사용자가 일정거리 이상에서도 상을 보여지도록 하여서 되는 발산렌즈(60')와,
    상기, 발산렌즈(60')를 통과한 상이 거리에 따르는 높이의 변화를 대조하여서 되는 기준선(42) 및 눈금(41)을 마련한 투명재의 레티클(40')에 투과되어져 접안공(112)으로 보여지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KR2020000006967U 2000-03-13 2000-03-13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KR200192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967U KR200192066Y1 (ko) 2000-03-13 2000-03-13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967U KR200192066Y1 (ko) 2000-03-13 2000-03-13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066Y1 true KR200192066Y1 (ko) 2000-08-16

Family

ID=1964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967U KR200192066Y1 (ko) 2000-03-13 2000-03-13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438A2 (ko) * 2012-09-20 2014-03-27 Yoo Sang Hyun 거리측정용 조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438A2 (ko) * 2012-09-20 2014-03-27 Yoo Sang Hyun 거리측정용 조준장치
WO2014046438A3 (ko) * 2012-09-20 2014-05-22 Yoo Sang Hyun 거리측정용 조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2440B1 (en) Layout judgement apparatus and layout judgement system
Clark Plane and geodetic surveying for engineers
JP5957542B2 (ja) 像分割プリズムを用いたゴルフ場のホール距離測定器
US8499465B2 (en) Optical putter system
KR200192066Y1 (ko)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KR20010084094A (ko)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JP4655524B2 (ja) 接眼レンズ
ES2310128B2 (es) Dispositivo para el estudio de radios y potencias queratometricas.
JPH11125580A (ja) 眼科レンズの評価方法
KR100453404B1 (ko) 누진 굴절력 측정용 자동 렌즈미터 및 그 측정 방법
JP2001183255A (ja) レンズメータ
JPS6330990Y2 (ko)
US2107553A (en) Ophthalmic instrument
JPS6330991Y2 (ko)
Douthwaite et al. Extent and effect of surface tilt on the data display of the EyeSys videokeratoscope.
JPH11125582A (ja) 眼科レンズメータ
JPS6353433A (ja) 眼・レンズ屈折度測定装置
KR20170036271A (ko) 상 분할 프리즘을 이용한 거리 측정기
KR910002959Y1 (ko) 골프용 깃대의 거리 측정기
Schmidtmann et al. Optical Instruments
Baker Engineers' Surveying Instruments, Their Construction, Adjustment, and Use
RU2001111047A (ru) Рефрактометр (тестер миланича)
US762996A (en) Apparatus for finding the axis and prismatic power of lenses.
US752667A (en) Ito model
JPH0712682A (ja) レンズ屈折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