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590Y1 - 캠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590Y1
KR200191590Y1 KR2020000005400U KR20000005400U KR200191590Y1 KR 200191590 Y1 KR200191590 Y1 KR 200191590Y1 KR 2020000005400 U KR2020000005400 U KR 2020000005400U KR 20000005400 U KR20000005400 U KR 20000005400U KR 200191590 Y1 KR200191590 Y1 KR 200191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valve
rocker arm
ope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교
Original Assignee
홍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교 filed Critical 홍순교
Priority to KR2020000005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캠축에 고정된 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픈록커아암과 클로즈록커아암에 연동되어 작용하는 캠에 관한 것이다.
동일자 출원의 록커아암에 연동되어 구동하는 본 고안의 캠은 현재의 돌출 모양의 캠에 반대 모양을 한 또 하나의 다른 캠을 캠축에 형성하여 밸브의 닫힘 구동을 현재의 캠에 정반대 모양을 한 캠에서 얻으므로, 밸브의 열림과 닫힘의 두가지 동작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캠 {CAM}
본 고안은 엔진의 캠축에 고정된 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픈록커아암과 클로즈록커아암에 연동되어 작용하는 캠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흡.배기 장치에서 흡.배기를 조절하는 캠축에 캠이 1개가 형성되어 록커아암을 압박하여 흡.배기밸브의 열림 상태 밸브의 개방 만을 강제로하여 작동하므로 로커아암이 밸브를 압박하는 동안에 소음이 발생하거나 스프링을 압박하기 위한 동력 소모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에 문제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캠축에 클로즈캠을 추가 형성하여 클로즈록커아암을 작동토록하여 흡.배기밸브에서 밸브가 강제구동 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흡.배기 밸브를 임의 흡.배기 구성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캠축에는 2개의 캠을 형성하고 록커아암축에 역시 2개의 록커아암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록커아암은 상기 밸브의 상단부에 결착하여 밸브의 상하운동을 2개의 록커아암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록커아암을 연동시키는 캠은 오픈록커아암을 연동시키는 오픈캠과 클로즈록커아암을 연동시키는 클로즈캠을 형성하고 캠의 형상에 의해 밸브의 작동을 유도하여, 보다 정확한 밸브의 작동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과 같이 밸브가 록커아암에 고정되어 연동되므로 캠의 정확한 작동은 그대로 밸브에 전달되기 때문에 본 고안은 밸브의 효과적인 기능을 유도하기 위하여 클로즈캠을 추가 성형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캠과 록커아암의 위치도
도 2는 오픈캠과 클로즈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픈캠 2 : 클로즈캠
3 : 클로즈록커아암 4 : 오픈록커아암
5 : 밸브 6 : 캠축
7 : 록커아암축 8 : 캠산(오픈캠)
9 : 반원부 10 : 절삭부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2는 캠의 형상을 도시하고자 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캠산(8)이 형성된 오픈캠(1)과 반달모양의 클로즈캠(2)은 캠축(6)에 고정되어 축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오픈록커아암(4)은 오픈캠(1)에 연동되고 클로즈록커아암(3)은 클로즈캠(2)에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픈록커아암(4)과 클로즈록커아암(3)은 록커아암축(7)에 고정 된다.
상기 오픈록커아암(4) 클로즈록커아암(3)은 밸브(5)의 상단부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로 설명하면,
본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록커암'의 기능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요구되는 것이다. 클로즈캠(2)의 절삭부(10)는 오픈캠(1)의 캠산(8)이 오픈록커아암(4)을 연동시킬 때 클로즈록커아암(3)과 연동되는 부분이며, 반대 부분의 반원면(9)을 형성하는 것은 오픈캠(1)의 원부분과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은 엔진의 소음을 줄이고 밸브 작동시 저항이 거의 없으므로 엔진의 힘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밸브를 개폐시키는 록커아암을 연동하는 캠에 있어서, 오픈로커아암(4)을 연동시키는 오픈캠(1)과 클로즈록커아암(3)을 연동시키는 클로즈캠(2)이 캠축(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CAM).
KR2020000005400U 1999-10-29 2000-02-26 KR200191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00U KR200191590Y1 (ko) 1999-10-29 2000-02-2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56 1999-10-29
KR2020000005400U KR200191590Y1 (ko) 1999-10-29 2000-02-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56 Division 1999-10-29 1999-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590Y1 true KR200191590Y1 (ko) 2000-08-16

Family

ID=1959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400U KR200191590Y1 (ko) 1999-10-29 2000-02-26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5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309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EP1111205A3 (en) Valve drive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26370A3 (en) Variable-valve-actua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6170188A (ja) 可変カムシステム
ES1040073U (es) Dispositivo perfeccionado para el accionamiento en las valvulas de distribucion variable para motores de combustion interna.
TWI318659B (en) Valve-lift device for the variable valve control of gas-exchange valv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90114217A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EP1548239A4 (en) VALVE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191590Y1 (ko)
JPS61185604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バルブ開閉タイミング可変装置
EP1353043B1 (en) Control device for an air valve of an engine
EP1247945A3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185606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装置
DE60110862D1 (de) Brennkraftmaschine
KR20090065359A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4097209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動弁機構
EP0125096A3 (en) Mechanism for variably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alve
JPS6299606A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KR200156345Y1 (ko) 4밸브 밸브기구
KR100254630B1 (ko) 흡배기 밸브의 로커 아암
KR950004386Y1 (ko) 가변밸브 리프트식 로울러 붙임 밸브태핏
JP2640649B2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KR960013346B1 (ko) 밸브 개폐기구
KR19980052099A (ko) 엔진의 로커 암
JP2006070741A (ja) 可変動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