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572Y1 -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 Google Patents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572Y1
KR200191572Y1 KR2020000004338U KR20000004338U KR200191572Y1 KR 200191572 Y1 KR200191572 Y1 KR 200191572Y1 KR 2020000004338 U KR2020000004338 U KR 2020000004338U KR 20000004338 U KR20000004338 U KR 20000004338U KR 200191572 Y1 KR200191572 Y1 KR 200191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ing
pen
piggy bank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덕형
Original Assignee
황덕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덕형 filed Critical 황덕형
Priority to KR2020000004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2Saving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중앙 적소에는 돈이 통과되도록 한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의 끼움공에는 타측의 끼움편을 끼워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구멍과 일치되게 중앙에 투입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양측에는 체결편이 형성된 상부지지편(20); 양측에 체결편이 형성된 하부지지편(25); 상하단 적소에 상기 체결편에 끼워지게 상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정면 적소에는 필기도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작동구가 구비된 전방몸체(30); 상하단 적소에 상기 체결편에 끼워지게 상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후면 적소에는 다수의 메모지를 고정시키는 꼬리가 구비된 후방몸체(5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저금통의 내부에 돈을 넣어 저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저금통의 정면에는 필기도구를 꽂아두는 동시에 저금통의 후면에는 메모지를 꽂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메모지를 한장씩 뽑아 필기도구로 메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FABRICATED A SAVING BOX OF INSERT A FEN/NOTE PAD}
본 고안은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금통의 내부에 돈을 넣어 저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저금통의 정면에는 필기도구를 꽂아두는 동시에 저금통의 후면에는 메모지를 꽂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메모지를 한장씩 뽑아 필기도구로 메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저금통은 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통으로, 이와 같은 저금통은 종래에도 다수 출원되었고 또한 조립식 저금통도 다수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금통은 단순히 돈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능 이외의 부가적 기술적 구성(예: 본원고안과 같이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꽂을 수 있도록 한 기술적 구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저금통의 내부에 돈을 넣어 저금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 저금통을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저금통의 정면에 메모를 위한 필기도구(볼펜, 연필 등)를 꽂아둘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저금통의 후면에 메모지를 꽂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지를 한장씩 뽑아 필기도구로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한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립식 저금통에 있어서, 중앙 적소에는 돈이 통과되도록 한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의 끼움공에는 타측의 끼움편을 끼워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구멍과 일치되게 중앙에 투입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양측에는 체결편이 형성된 상부지지편;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 하단에 위치하며, 양측에 체결편이 형성된 하부지지편;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하부지지편의 일측 체결편에 끼워지며, 상하단 적소에 상기 체결편에 끼워지게 상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정면 적소에는 필기도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작동구가 구비된 전방몸체; 상기 본체의 타측과 상하부지지편의 타측 체결편에 끼워지며, 상하단 적소에 상기 체결편에 끼워지게 상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후면 적소에는 다수의 메모지를 고정시키는 꼬리가 구비된 후방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본체의 전개도를 보인 구성도.
도 3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작동구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저금통이 펜을 꽂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저금통이 메모지를 꽂은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펜 2: 메모지
10: 본체 20, 25: 상,하부 지지편
30: 전방몸체 40: 작동구
50: 후방몸체 60: 꼬리
본 고안에 적용된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부호 10은 저금통의 몸체에 해당하는 본체이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편(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공(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끼움편(12)을 끼움공(13)에 끼워 원통형으로 만든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의 본체(10)가 완성되면 상기 본체(10)의 전후방에는 상하부지지편(20)(25)을 이용하여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50)를 끼워 조립식 저금통을 완성하는 것이다.
즉,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부호 30은 상기 본체(10)의 정면에 끼워져 설치되는 전방몸체로, 이 전방몸체(30)의 상하단 적소에는 상하부체결공(3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결공(31)에는 중앙에 투입공(21)이 형성된 상부지지편(20)이 끼워지는 것으로, 이 상부지지편(20)의 양측에는 체결편(2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결공(32)에는 양측에 체결편(26)이 형성된 하부지지편(25)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방몸체(30)의 상하단에 상하부지지편(20)(25)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의 본체(10)를 상기 상하부지지편(20)(25)에 위치시키되 원통형 본체(10)의 상단 구멍(11)을 상기 투입공(21)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원통형 본체(10)의 하단 외주면은 하부지지편(25)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후방몸체(50)가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후방몸체(50)의 상하부체결공(51)(52)에는 상하부지지편(20)의 체결편(22)이 각각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방몸체(30)의 정면에는 펜(1)을 꽂아 위치시키는 고정구(38)와 작동구(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38)는 전방몸체(30)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작동구(40)는 전방몸체(30)의 전방에서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작동구(40)는 상단 일측에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사부(41)와, 일측 양단에 전방몸체(30)의 슬라이드홈(37)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슬라이드돌기(44)와, 일측 하단에 전방몸체(30)의 가이드돌기(39)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가이드홈(43)과, 일측 적소에 내측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공(4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의 상단에는 펜(1)이 외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턱(4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몸체(30)의 내측면 중앙 적소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공(34)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34)의 하단에는 스프링받침대(35)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34)의 근접위치에는 가이드편(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36)에는 일측에 돌출된 연결축(46)이 가이드공(34)을 통과하여 연결공(42)에 삽입되는 스프링작동구(45)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받침대(35)의 상단과 스프링작동구(45)의 내측에는 스프링(47)이 구비된다.
또한 부호 60은 후방몸체(50)의 적소에 설치되어 다수의 메모지(2)를 꽂아놓을 수 있도록 한 꼬리로, 이 꼬리(60)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돌기(6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몸체(50)의 적소에는 상기 삽입돌기(61)가 끼워지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54)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33은 앞다리이고, 53은 뒷다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상부지지편(20)의 투입공(21)을 통해 본체(10)의 내부에 돈을 투입하여 저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몸체(30)의 정면 고정구(38)와 작동구(40)의 사이에 각종 필기구인 펜(1)을 선택적으로 꽂아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 의 (a)는 전방몸체(30)에 펜(1)을 꽂아놓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정구(38)와 작동구(40)의 사이에 펜(1)을 꽂아놓게 되면 도 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것이다.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의 (a)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경사부(41)에 손가락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아래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작동구(40)가 하강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작동구(40)의 양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44)는 전방몸체(3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7)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고, 가이드홈(43)은 가이드돌기(39)를 따라 일정하게 하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구(40)가 하강할때 연결공(42)에 끼워진 일측의 스프링작동구(45)도 함께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작동구(45)에 형성된 연결축(46)은 가이드공(34)의 사이에서 하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작동구(45)는 가이드편(36)에 의해 좌우로 이동없이 하강하는 것이고, 상기 스프링작동구(45)의 하강에 의해서는 스프링(47)이 압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구(40)가 소정간격 하강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구(38)와 작동구(40)의 사이에 도 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1)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41)를 누르고 있던 사용자의 손가락을 빼면 상기 스프링(47)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구(40)는 소정간격 상승하면서 펜(1)을 고정구(38)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스프링작동구(45)도 스프링(47)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또한 상기 작동구(40)의 상단에 형성된 돌턱(41a)에 의해 펜(1)이 외부로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펜(1)을 사용하기 위해 고정구(38)와 작동구(40)의 사이에서 펜(1)을 이탈시키면 상기 작동구(40)는 펜(1)의 두께만큼 스프링(47)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여 최초의 상태인 도 3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펜(1)을 이용하여 메모지(2)에 메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도 5 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몸체(50)와 꼬리(60)의 사이에 끼워진 메모지(2)를 뽑아 상기 펜(1)으로 메모하는 것으로, 메모지(2)의 양에 따라 꼬리(60)를 좌우로 이동시켜 메모지(2)를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에 적용된 저금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의 역순에 의하면 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저금통의 내부에 돈을 넣어 저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저금통을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저금통의 정면에 메모를 위한 필기도구(볼펜, 연필 등)를 꽂아둘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저금통의 후면에 메모지를 꽂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지를 한장씩 뽑아 필기도구로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조립식 저금통에 있어서,
    중앙 적소에는 돈이 통과되도록 한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의 끼움공에는 타측의 끼움편을 끼워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구멍과 일치되게 중앙에 투입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양측에는 체결편이 형성된 상부지지편;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 하단에 위치하며, 양측에 체결편이 형성된 하부지지편;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하부지지편의 일측 체결편에 끼워지며, 상하단 적소에 상기 체결편에 끼워지게 상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정면 적소에는 필기도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및 작동구가 구비된 전방몸체;
    상기 본체의 타측과 상하부지지편의 타측 체결편에 끼워지며, 상하단 적소에 상기 체결편에 끼워지게 상하부체결공이 형성되고, 후면 적소에는 다수의 메모지를 고정시키는 꼬리가 구비된 후방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는 상단 일측에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사부와, 일측 양단에 전방몸체의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슬라이드돌기와, 일측 하단에 전방몸체의 가이드돌기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가이드홈과, 일측 적소에 내측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공;
    상기 전방몸체의 내측면 중앙 적소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공과, 이 가이드공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프링받침대와, 상기 가이드공의 근접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편;
    상기 가이드편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며, 일측에 돌출된 연결축이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연결공에 삽입되는 스프링작동구;
    상기 스프링받침대의 상단과 스프링작동구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구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펜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는 펜이 쉽게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돌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의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게 꼬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삽입돌기;
    상기 후방몸체의 일측면과 꼬리의 일측면 사이에 다수의 메모지가 끼워지는 동시에 메모지의 하단은 삽입돌기의 상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KR2020000004338U 2000-02-17 2000-02-17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KR200191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38U KR200191572Y1 (ko) 2000-02-17 2000-02-17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38U KR200191572Y1 (ko) 2000-02-17 2000-02-17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572Y1 true KR200191572Y1 (ko) 2000-08-16

Family

ID=1964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338U KR200191572Y1 (ko) 2000-02-17 2000-02-17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5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04Y1 (ko) * 2021-10-07 2022-11-25 정지호 분해 조립형 저금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04Y1 (ko) * 2021-10-07 2022-11-25 정지호 분해 조립형 저금통
WO2023058914A1 (ko) * 2021-10-07 2023-04-13 정지호 분해 조립형 저금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117B2 (ja) シートディスペンサを有する筆記具、並びに筆記具およびシート材スタックのためのハウジング
US7290953B2 (en) Pocketable note holder with writing instrument
KR200191572Y1 (ko) 펜/메모지 꽂이 가능한 조립식 저금통
US7316516B2 (en) Pocketable writing instrument
KR200217705Y1 (ko) 필통이 부설된 노트
KR200407379Y1 (ko) 두 가지 색을 양쪽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볼펜
JP3976768B2 (ja) 留具付筆記用具
KR200250307Y1 (ko) 수첩꽂이용볼펜
KR20090012410U (ko)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KR200405138Y1 (ko) 집게형 볼펜
KR200244473Y1 (ko) 필통이 부설된 클립 보드판
KR200405132Y1 (ko) 라벨 태그 및 접착식 메모지를 내장한 필기구
KR200280870Y1 (ko) 노트의 필기구 고정홀더
KR100324011B1 (ko) 걸이식 휴대기능을 갖는 필기구
KR19980016485U (ko) 볼펜
JP3077447U (ja) ケースに収容された筆記用具セット
KR200241349Y1 (ko) 메모장
KR980009401U (ko) 볼펜심을 구비한 카드
KR200341678Y1 (ko) 밑줄자
JPH0719836Y2 (ja) メモ用紙内蔵式筆記具
KR200406281Y1 (ko) 누름부를 구비한 펜
JPS5850414Y2 (ja) デ−タ入力装置
KR200314663Y1 (ko) 샤프심의 인출장치
JPS5917676Y2 (ja) 筆記具のクリツプ兼用キヤツプ
KR920007579Y1 (ko) 뚜껑의 여닫음이 편리한 만년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