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447Y1 -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 Google Patents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447Y1
KR200191447Y1 KR2020000005711U KR20000005711U KR200191447Y1 KR 200191447 Y1 KR200191447 Y1 KR 200191447Y1 KR 2020000005711 U KR2020000005711 U KR 2020000005711U KR 20000005711 U KR20000005711 U KR 20000005711U KR 200191447 Y1 KR200191447 Y1 KR 200191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necklace
antenna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아
Original Assignee
정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아 filed Critical 정정아
Priority to KR2020000005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4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안테나가 돌출된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휴대폰 끈을 걸 수 있는 휴대용 끈 걸이 홈을, 상기 안테나가 돌출된 반대편에 형성함으로 휴대폰을 목걸이용 줄에 걸어 목에 매달고 사용할 때 휴대용 목걸이용 줄이 안테나에 꼬이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12)가 돌출된 휴대폰(10)의 반대편의 일측에 휴대용 끈걸이 홈(14)을 형성하여 목걸이용 줄(16)을 걸어 휴대폰(10)이 거꾸로 매달려 있을때 휴대폰(10)이 목걸이용 줄(16)의 연장선상 항상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이다.

Description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Necklace-type cellular phone being easy to take a phone}
본 고안은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안테나가 돌출된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휴대폰 끈을 걸 수 있는 휴대용 끈 걸이 홈을, 상기 안테나가 돌출된 반대편에 형성함으로 휴대폰을 목걸이용 줄에 걸어목에 매달고 사용할 때 휴대용 목걸이용 줄이 안테나에 꼬이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된 모든 플립형과 폴더형 휴대폰에는 장식용으로, 혹은 손목에 걸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54)가 돌출된 방향에 끈걸이 홈(52)을 형성하여 10cm내외 길이의 줄(56)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10cm의 줄을 걸어 장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휴대폰(50)을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다니게 되면 휴대폰(50)을 쉽게 분실할 염려가 있고 또한 가방에 넣고 다니게 되면 전화가 왔을 때 전화기를 가방에서 꺼내는데 불편함으로 휴대폰 끈걸이 홈(52)에 30cm 내외 길이의 목걸이용 줄을 묶어 목에 걸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에 목걸이용 줄을 매달고 목에 걸어 사용함으로 임해 점점 소형화되어 가는 휴대폰의 분실 방지에 도움을 주었고, 잦은 야외 작업을 하는 사람들도 휴대폰을 간단히 목에 걸어 둠으로써 보다 편리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휴대폰을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보관할 때 보다 목걸이용 줄을 달아 외부에 노출시켜 놓음으로써 벨 음량이 그다지 크지 않더라도 전화가 왔음을 확인 할 수가 있고,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어둔 휴대폰을 꺼내어 사용 할 때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편리함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목걸이용 줄의 단점은 휴대폰을 사용 할 때마다 목걸이용 줄이 휴대폰 안테나와 같은 선상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전화가 왔을 때 전화를 받고자 플립이나 폴더형에 있는 플립이나 폴더를 오픈시키고자 할 때에는 목걸이용 줄에 안테나가 끼어 꼬이게 됨으로 사용자의 손에 걸리는 등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그 실예로 휴대폰 사용시마다 휴대폰 앞쪽으로 넘어오는 목걸이용 줄을 휴대폰 뒤로 넘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30cm 내외의 긴 줄이 휴대폰의 상단부에 달려있는 이유로 휴대폰 길이 만큼 짧아지게 되어 목에 불편함을 주게되며, 또한 전화를 걸거나 LCD화면을 보고자 할 때, 목걸이용 줄이 휴대폰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면 휴대폰을 거꾸로 돌려야만 화면이 바르게 보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발생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폰의 안테나가 돌출된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휴대폰 끈을 걸 수 있는 휴대용 끈 걸이 홈을, 상기 안테나가 돌출된 반대편에 형성함으로 휴대폰을 목걸이용 줄에 걸어 목에 매달고 사용할 때 휴대용 목걸이용 줄이 꼬이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상의 휴대폰의 형상에 있어서;
안테나가 돌출된 휴대폰의 반대편의 일측에 휴대용 끈걸이 홈을 형성하여 목걸이용 줄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 사용시마다 휴대폰 앞쪽으로 넘어오는 목걸이용 줄을 휴대폰 뒤로 넘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애고, 30cm 내외의 긴 줄이 휴대폰의 상단부에 달려있는 이유로 휴대폰 길이 만큼 짧아지게 되어 목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며, 또한 전화를 걸거나 LCD화면을 보고자 할 때, 목걸이용 줄이 휴대폰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면 휴대폰을 거꾸로 돌려야만 화면이 바르게 보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은 본 고안 플립형 휴대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플립형 휴대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12) : 안테나
(14) : 끈걸이 홈
(16) : 목걸이용 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플립형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안테나(12)가 돌출된 휴대폰(10)의 반대편의 일측에 휴대용 끈걸이 홈(14)을 형성하여 목걸이용 줄(16)을 걸어 휴대폰(10)이 거꾸로 매달려 있을때 휴대폰(10)이 목걸이용 줄(16)의 연장선상 항상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휴대폰(10) 안테나(12)가 돌출된 상단부 가장자리에 위치한 기존의 휴대용 끈걸이 홈(14)을 안테나(12)가 돌출된 반대면의 일측에 형성한다.
자세한 위치는 휴대폰(10)의 맨 윗부분, 즉 안테나(12) 위치와 동일선상에 있는 끈걸이 홈(14)을 휴대폰(4)의 맨 아랫부분, 즉 배터리와 휴대폰(10) 몸체가 맞닿아 있는 경계 주변 혹은 좌측이나 우측에 홈을 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단에 추가된 휴대용 끈걸이 홈(14)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하단에 휴대용 끈 걸이 홈(14)을 하나 더 추가하게 되면 미사용시에는 휴대폰(10)이 거꾸로 매달려 있지만 휴대폰(10)이 목걸이용 줄(16)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전화를 받을 때 줄이 안테나에 꼬이지 않고 줄 길이를 온전하게 살려 여유 있게 통화 할 수 있으며 LCD화면을 보면서 사용 할 때에도 거꾸로 달린 휴대폰(10)을 그대로 들기만 하면 화면이 사용자측에서 볼 때 바르게 보이게 때문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변형예, 응용예 및 법적 해석)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휴대폰에 휴대용 끈 걸이 홈을 안테나가 돌출된 반대편에 형성함으로 목걸이용 줄이 안테나에 걸려 꼬이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전화를 걸거나 LCD화면을 보고자 할 때, 화면이 바르게 보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휴대폰(10)의 형상에 있어서;
    안테나(12)가 돌출된 휴대폰(10)의 반대편의 일측에 휴대용 끈걸이 홈(14)을 형성하여 목걸이용 줄(16)을 걸어 휴대폰(10)이 거꾸로 매달려 있을때 휴대폰(10)이 목걸이용 줄(16)의 연장선상 항상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KR2020000005711U 2000-02-29 2000-02-29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KR200191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711U KR200191447Y1 (ko) 2000-02-29 2000-02-29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711U KR200191447Y1 (ko) 2000-02-29 2000-02-29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447Y1 true KR200191447Y1 (ko) 2000-08-16

Family

ID=1964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711U KR200191447Y1 (ko) 2000-02-29 2000-02-29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4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1447Y1 (ko) 전화 받기가 용이한 목걸이용 휴대폰
CN204015422U (zh) 用于户外运动的手机臂套
KR200149244Y1 (ko) 핸드폰 걸이용 벨트클립
KR200205699Y1 (ko) 거울이 부착된 이동전화단말기(휴대폰, pcs폰)
KR200496147Y1 (ko) 케이스용 삽입형 고리
KR200219222Y1 (ko) 핸드폰케이스
KR200437920Y1 (ko)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CN217770154U (zh) 手机壳
CN209949206U (zh) 一种保护手机屏挂带及包含其的手机壳
KR200248632Y1 (ko) 하의 주머니의 휴대전화기 포켓
KR19990006980U (ko) 핸드폰 고정용 줄
CN218570274U (zh) 一种多用途手机壳
KR200254335Y1 (ko) 카드지갑
KR200387512Y1 (ko) 메모지 수용부가 구비된 휴대폰 커버
KR200205541Y1 (ko) 목걸이형 휴대폰
KR200307288Y1 (ko) 휴대폰 보관구
KR200276815Y1 (ko) 휴대폰용 이어폰
KR200326442Y1 (ko) 탈착이 가능한 명함케이스가 구비된 휴대폰
USD464635S1 (en) Cordless phone and base
KR200208034Y1 (ko) 휴대용전화기 목걸이의 집게홀더
KR200193463Y1 (ko) 걸이형 클립 겸용 이어마이크폰
JP3078067U (ja) 携帯端末機
KR200254751Y1 (ko) 핸드폰 걸이 핀
KR200357994Y1 (ko) 휴대폰 줄
KR200370881Y1 (ko) 셀룰러 전화기의 하우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