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391Y1 - 얼음컵 성형 용기 - Google Patents

얼음컵 성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391Y1
KR200191391Y1 KR2020000003259U KR20000003259U KR200191391Y1 KR 200191391 Y1 KR200191391 Y1 KR 200191391Y1 KR 2020000003259 U KR2020000003259 U KR 2020000003259U KR 20000003259 U KR20000003259 U KR 20000003259U KR 200191391 Y1 KR200191391 Y1 KR 200191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ce cup
molding
ice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호식
Original Assignee
배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호식 filed Critical 배호식
Priority to KR2020000003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음컵 성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컵 형상을 가지고,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성형그릇(1)과; 성형그릇(1)보다 작은 컵 형상을 가지고, 상단 둘레에 성형그릇(1)의 상단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지부(6)가 구비되며, 파지부(6) 하측 둘레에 암나사부(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8)가 형성된 코어(5)로 이루어진 얼음컵 성형 용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성형그릇(1)과 코어(5)의 형상이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매우 저렴하여 성형된 얼음컵(9)이 담겨진 성형 용기 전체를 판매하여도 판매 단가가 그다지 상승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얼음컵(9)이 성형 용기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공급되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어(5)만 빼낸 상태에서 성형그릇(1) 채로 얼음컵(9)을 사용할 수 있어 손이 너무 차가워서 얼음컵을 제대로 들지 못한다거나 얼음컵이 녹아서 손이나 주변을 적시는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얼음컵 성형 용기{Ice Cup Forming Containet}
본 고안은 얼음컵 성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 용기에 의해 얼음컵이 간단히 성형되어 음료수를 이에 담아 마시므로 여름철에 시원한 음료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어름컵 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수분의 소모가 급증하는 여름철에는 시원한음료를 원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 가정이나 슈퍼마켓 등에서는 냉장고에 음료수를 보관, 판매하여 원하는 사람의 욕구를 쉽게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음료수는 차갑게 냉각시켜 마시려면 냉장고에 비교적 긴 시간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와 같이 냉장고에 긴 시간 보관후 꺼낼시에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나, 음료를 음미하며 마시다 보면 마시는 도중에 미지근해져서 음료의 느낌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인근 공원이나 여름철 피서지 등에서는 시원한 음료를 더욱 원하게 되는 반면에, 인근 가판대에서 구입하여 음료를 마시다 보면 상술한 미지근한 느낌을 가지게 되고 다른 곳보다 비싼가격으로 구입하여 마시게 되므로 오히려 음료자의 불쾌감이 가중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점으로 마신후 빈 병이나 캔, 1회용 종이팩 등을 아무데나 버리게 되어 공원, 피서지의 쓰레기 오염이 사회 문제화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얼음컵 성형틀(공개실용신안 제89-13904호)이 개발되었다.
이 성형틀은, 컵 형상을 가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성형틀의 중간부분이 수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한쌍의 성형틀 일측에는 힌지가 결합되어 있어 이들을 수평으로 여닫아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성형틀 내면, 즉 컵형상의 내부공간 둘레에는 누수를 차단하도록 고무링이 고정구비되어 있고, 한쌍의 성형틀이 밀착,조립되도록 고정구가 구비되어 성형틀의 자유단측에 결합지지되며, 상판 저면에는 코어가 둘출형성되어 성형틀 상부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 얼음컵 성형틀은, 그 형상이 비교적 복잡한바, 한쌍의 성형틀과, 이들을 결합지지하는 힌지, 손잡이, 고정구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되었고, 특히 내부공간 둘레를 따라 부착된 고무링은 얼음컵 성형틀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로써, 고무링이 성형틀 내면 둘레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경우나, 사용시 고무링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 성형틀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실용성 저하라는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 얼음컵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얼음컵이 소비자에게 도달되려면 성형된 얼음컵을 성형틀에서 꺼낸 후 별도의 포장공정이 필요하였다. 즉, 성형틀이 비교적 고가이어서 성형된 얼음컵이 담긴 성형틀 전체를 시판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얼음컵을 꺼내서 별도의 비닐포장지로 포장한 후 각 소매점이나 가판대 등에 공급해야 하며, 이에 따라 얼음컵 생산 공정이 증가되었고, 성형틀에서 얼음컵을 꺼낸 후 비닐포장하는 동안 얼음컵이 세균에 오염될 염려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얼음컵 성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는, 얼음컵 성형 용기에 있어서, 컵 형상을 가지고,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성형그릇과; 성형그릇보다 작은 컵 형상을 가지고, 상단 둘레에 성형그릇의 상단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지부가 구비되며, 파지부 하측 둘레에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된 코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성형그릇과 코어의 형상이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매우 저렴하여 성형된 얼음컵이 담겨진 성형 용기 전체를 판매하여도 판매 단가가 그다지 상승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얼음컵이 성형 용기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공급되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어만 빼낸 상태에서 성형그릇 채로 얼음컵을 사용할 수 있어 손이 너무 차가워서 얼음컵을 제대로 들지 못한다거나 얼음컵이 녹아서 손이나 주변을 적시는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도1은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얼음컵을 성형하는 상태를 보이는 분리 단면도
도3은 도2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성형그릇 2,12 ; 수납부
3,13 ; 암나사부 5 ; 코어
6 ; 파지부 7 ; 널링
8 ; 수나사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본 고안 성형 용기로 얼음컵을 성형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들로써, 이 얼음컵 성형 용기는 성형그릇(1)과 코어(5)로 대분된다.
성형그릇(1)은, 컵 형상이며 수납부(2) 상단에 암나사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성형그릇(1)에 결합되는 코어(5)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 외측 둘레에는 파지부(6)가 구비되어 있으며, 파지부(6) 하측에는 수나사부(8)가 형성되어 있어 성형그릇(1)의 암나사부(3)에 체결된다.
여기서 파지부(6)는 성형그릇(1)의 외주면 상단에 걸려 지지되어야 하므로 파지부(6)의 외경은 성형그릇(1) 상단의 외주면보다 커야 하며, 미끄럼방지 등을 위해 파지부(6) 외주면에 널링(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는, 도2와 같이 성형그릇(1)에 적정량의 물(4)을 붓고 코어(5)를 수납부(2)에 결합시키는데, 파지부(6)를 잡고 회전시켜서 수나사부(8)와 암나사부(3)를 체결시키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냉시켜서 얼음컵을 성형시키게 된다.
여기서 성형그릇(1)과 코어(5)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도 비교적 단순하므로 이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매우 저렴하며, 이를 대량 생산한다면 그 단가는 더욱 절감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는, 도3과 같이 얼음컵(9)이 성형된 상태에서 판매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성형틀에서 성형된 얼음컵을 꺼낸 후 다시 포장되어 공급되거나 그대로 공급되었던 종래와는 달리, 소비자가 성형 용기 채로 공급받아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얼음컵의 재 포장공정을 거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그만큼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는, 성형된 얼음컵(9)을 성형그릇(1)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이점을 가진다.
즉, 성형그릇(1)에서 단지 코어(5)만 분리한 후 성형그릇(1)에 얼음컵(9)이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찬 기운이 손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맨 손으로 들고 다니기가 가능하다.
또한 손으로 얼음컵(9)을 직접 잡지 않으므로 손의 열에 의해 얼음컵(9)이 신속히 녹는 문제가 해결되며, 손이나 의복이 얼음컵(9)의 녹아 흐르는 물에 젖지 않게 된다.
이러한 얼음컵 성형 용기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한 번 사용후에 물로 씻어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도 있다.
도4는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분리 사시도로써, 판 형상의 성형그릇(11)에 다수의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부(12) 상단 둘레에는 각각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코어(5)의 수나사부(8)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 얼음컵 성형 용기는, 얼음컵을 대량으로 생산하는데 적합하며, 대량으로 생산된 얼음컵을 운반, 보관하기에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얼음컵 성형 용기에 의하면, 성형그릇(1)과 코어(5)의 형상이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매우 저렴하여 성형된 얼음컵(9)이 담겨진 성형 용기 전체를 판매하여도 판매 단가가 그다지 상승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얼음컵(9)이 성형 용기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공급되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어(5)만 빼낸 상태에서 성형그릇(1) 채로 얼음컵(9)을 사용할 수 있어 손이 너무 차가워서 얼음컵을 제대로 들지 못한다거나 얼음컵이 녹아서 손이나 주변을 적시는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Claims (1)

  1. 얼음컵 성형 용기에 있어서,
    컵 형상을 가지고, 상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성형그릇(1)과;
    상기 성형그릇(1)보다 작은 컵 형상을 가지고, 상단 둘레에 상기 성형그릇(1)의 상단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지부(6)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6) 하측 둘레에 상기 암나사부(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8)가 형성된 코어(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컵 성형 용기.
KR2020000003259U 2000-02-08 2000-02-08 얼음컵 성형 용기 KR200191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59U KR200191391Y1 (ko) 2000-02-08 2000-02-08 얼음컵 성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59U KR200191391Y1 (ko) 2000-02-08 2000-02-08 얼음컵 성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391Y1 true KR200191391Y1 (ko) 2000-08-16

Family

ID=1964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259U KR200191391Y1 (ko) 2000-02-08 2000-02-08 얼음컵 성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3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089B1 (ko) * 2002-09-12 2005-12-05 백환기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089B1 (ko) * 2002-09-12 2005-12-05 백환기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005B2 (en) Individual bottle coolers
US5284028A (en) Ice holder incorporated within a beverage container
US5799501A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4625518A (en) Ice mug
TWI230248B (en) Beverage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ssembly for holding ice and water
CN101583537B (zh) 具有改进形状的饮料容器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AU5070000A (en) Container for the thermostatic preservation of liquids
AU2019100374A4 (en) Eat Drink Bottle This invention relates to a re-usable insulated beverage and food container, adapted to contain both food and beverage within a single enclosure to which the beverage and food sections when required can also be separated one from the other for the contents therein to be consumed independently of the other.
US20060196882A1 (en) Bottle coolers and method of promoting bottled beverages
US3777955A (en) Liquid container-tool or accessory box for bicycles
KR200191391Y1 (ko) 얼음컵 성형 용기
JP2015505782A (ja) 飲料又はアルコール飲料の容器
KR200191830Y1 (ko) 얼음컵 성형용기
US20050064069A1 (en) Small girthed ice articles and trays for making same
US20160023795A1 (en) Combination Drink Bottle and Frozen Comestible Maker
KR20080000223U (ko) 티 캡
US7293427B1 (en) Beverage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JPS6233712Y2 (ko)
JP3089940U (ja) 飲料収容用容器
JPH0428525Y2 (ko)
WO2008154707A1 (en) Consumables container
JP2005014911A (ja) コップ付き飲料液用プラスチックボトルとコップ
WO2007040311A1 (en) Separable double drink bottle
CN2578264Y (zh) 啤酒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