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293Y1 -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 Google Patents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293Y1
KR200191293Y1 KR2020000004743U KR20000004743U KR200191293Y1 KR 200191293 Y1 KR200191293 Y1 KR 200191293Y1 KR 2020000004743 U KR2020000004743 U KR 2020000004743U KR 20000004743 U KR20000004743 U KR 20000004743U KR 200191293 Y1 KR200191293 Y1 KR 200191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urine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2020000004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기존의 좌변식 변기는 대변을 본 후에나 소변을 본 후에도 동일한 물의 양을 내려 주어야하므로 소변을 자주 보기때문에 물의 낭비가 심할수 밖에 없다.이에 본 고안은 소변을 볼 때는 기존 좌변식 변기에서 내리는 물의 양의 1/2 정도만을 내려서도 소변을 씻어내릴 수 있다는 데 착안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대표도에서 (a)는 좌변식 변기의 상부 물탱크이고 (b)는 상수도관과 연결이 되어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부분이다.(c)는 부력기이고 (e)는 하부변기와 연결된 파이프이고 (d)는 물탱크에 물이 채워지는 때에 상수도 물의 소량을 하부변기로 흘려주는 부분이다.(f)는 물을 내릴 때 물이 방류되는 파이프이고 (g)는 (f)파이프를 막아서 물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마개이다.(h)는 변기꼭지이다.여기까지는 공지의 기술이고 이미 기존에 많은 제작사에서 만들어져 온 물품이다.본 고안에서 특징적인 부분은(f'),(g'),(h')이다. 기존의 좌변식 변기는 대변을 본 후에 (h)꼭지를 눌러서 (g)를 들어올려서 (f)파이프를 통해 물탱크 상부 25cm수면을 다 채우고 있는 물탱크 전체의 15 L 가량의 물을 내리고 소변을 본 후에도 역시 물탱크 전체의 15 L 가량의 물을 다 내려야 소변을 하수구로 씻어 내릴 수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의 변기는 대변을 본 후에는 기존의 변기와 같으며,소변을 본 후에는 (h')을 눌러 (g')을 들어 올려 물탱크의 밑 바닥에서 윗쪽으로 12.5cm지점보다 위 쪽에 차 있는 물탱크 전체의 물의 1/2가량의 물만을 (f')파이프를 통해 하부 좌변기로 내려서 소변을 하수구로 씻어 내릴 수 있다.

Description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Toilet bowl}
본 고안은 소변을 본 후에 내리는 물의 양은 대변을 본 후에 내리는 물의 양의 1/2가량으로도 충분하다는데에 착안하여 대변에 비해 자주 보는 소변을 씻어내릴 때 소요되는 물의 양을 대변을 씻어내릴 때의 1/2가량으로 줄임으로써 수자원을 절약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좌변식 변기이다.
기존의 좌변식 변기는 대변을 본 후에나 소변을 본 후에도 동일한 물의 양을 내려주어야하므로 소변을 자주 보기때문에 물의 낭비가 심할수 밖에 없다.
<도면 1>에서 (a)는 좌변식 변기의 상부 물탱크이고 (b)는 상수도관과 연결이 되어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부분이다.(c)는 부력기이고 (e)는 하부변기와 연결된 파이프이고 (d)는 물탱크에 물이 채워지는 때에 상수도 물의 소량을 하부변기로 흘려주는 부분이다.이것은 물을 내리고 나서 하부변기에 일정정도의 물이 고여 있어야 하는데 그만큼이 채여지지 않았을 때 보충해주는 기능을 한다.(f)는 대변 후 물을 내릴 때 물이 방류되는 파이프이고 (g)는 (f)파이프를 막아서 물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마개이다.(h)는 대변용 변기꼭지이다.기존의 좌변식 변기는 대변을 본 후에 변기꼭지(h)를 눌러서 고무마개(g)를 들어올려서 방류파이프(f)를 통해 물탱크 밑바닥에서 윗쪽으로 25cm지점까지의 수면을 다 채우고 있는 물탱크 전체의 15 L 가량의 물을 내리고 소변을 본 후에도 역시 물탱크 전체의 15 L 가량의 물을 다 내려야 소변을 하수구로 씻어 내릴 수 있다.
물이 밑바닥까지 다 빠질 때까지 고무마개(g)는 열린 상태이고 물이 밑바닥까지 다 빠지면 고무마개(g)는 다시 닫히고,물이 빠짐으로 해서 부력기(c)가 밑으로 쳐지면 상수도관과 연결된 파이프가 열려 (b)를 통해 물탱크에 물이 다시 채워지기 시작하고 부력기가 물이 채워짐에 따라 올라가고 물이 물탱크의 일정 수면까지 다 채우면 부력기가 올라가 상수도와 연결된 파이프를 막게되어 더 이상 물이 차지 않게 된다.그리고 만약 부력기에 이상이 생겨 물이 계속 물탱크로 유입이 되면 파이프(e)보다 높이 차오르는 물은 파이프(e)(파이프(e)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를 통해 하부변기로 흘러 나갈 수 있게 되어 있다.그리고 하부변기에는 일정 수면 이상의 물이 고여 있게 된다.그런데 물을 내리고 나서 하부 변기에 일정수면의 물이 고이지 않게 되면 (b)파이프를 통해 물탱크에 물이 채워지는 동안 한편으로는 수관(d)를 통해 소량의 물이 파이프(e)를 통해 하부변기로 흘러 나간다.그래서 하부변기에 일정수면의 물이 고여 있을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고안은 기존의 좌변식 변기가 소변을 씻어 내릴 때에는 적은 양의 물만으로도 소변을 씻어내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변을 씻어 내릴 때나 소변을 씻어 내릴 때나 동일한 양의 물을 내림으로써 수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데 착안하여 소변을 본 후에는 보다 적은 물(대변을 씻어 내릴 때의 약 1/2가량의물(7.5 L 가량))만을 내리게 하여 소변을 씻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면 1>은 좌변식 변기의 상부 물탱크의 정면도이다.
<도면 2>는 좌변식 변기의 상부 물탱크의 상면도이다.
<도면 3>은 좌변식 변기의 하부 변기의 상면도이다. *도면에서의 각 부호에대한 명칭 (a):좌변식 변기의 상부물탱크 (b):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부분 (c):부력기 (d):수관(水管) (e):하부변기와 통하는 파이프 (f):대변용 방류파이프 (f'):소변용 방류파이프 (g):고무마개 (g'):고무마개 (h):대변용 변기꼭지 (h'):소변용 변기꼭지
기존의 변기는 <도면 1>에서 방류파이프(f)(물탱크의 제일 밑바다닥에 설치되어 있음)만을 통해서 물을 하부 좌변기로 내리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은 대변후에 물을 내릴 수 있는 대변용 방류파이프(f)외에 별도로 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물탱크의 제일 밑바닥에서 윗쪽으로 12.5㎝되는 지점까지 올려서 설치하고 거기에 방류억제 고무마개(g')를 설치하고, 그리고 소변용 방류파이프의 방류억제 고무마개(g')을 들어올릴 수 있는 소변용 변기꼭지(h')을 별도로 설치하였다.그리고 대변용 방류파이프(f)를 통해 하부변기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는 하부 변기의 통로 외에 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통해 하부변기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는 하부변기의 통로인 직경 6.5㎝의 구멍을 별도로 설치하였다.
본 고안은 물탱크의 제일 밑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대변용 방류파이프(f)는 대변을 본 후에 대변용 변기꼭지(h)를 누르면 고무마개(g)를 들어 올려 대변용 방류파이프(f)를 통해 물탱크의 밑바닥에서 부터 윗쪽으로 25㎝지점까지 차 있는 물탱크 전 물 전체를 하부 변기로 흘려 보내게 하고,
소변을 본 후에는 소변용 변기꼭지(h')를 눌러 고무마개(g')를 들어 올려 소변용 방류파이프(f')를 통해 물탱크 밑바닥에서 윗쪽으로 12.5㎝지점보다 윗 쪽에 차있는 물탱크의 물만을 하부좌변기로 내려보낼 수 있게 고안이 되어있다.고무마개(g')은 물이 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통해 흘러 나가는 동안은 기존의 공지기술에서도 있듯이 들려져 있는 상태에 있고 물이 소변용 방류파이프(f')의 수면(물탱크의 밑바닥에서 윗쪽으로 12.5㎝지점)까지 빠지면서 고무마개(g')도 내려와서 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다시 막는다.그러면 물이 빠졌으므로 부력기가 내려오고 그러면 상수도와 연결된 파이프가 열리고 물탱크 안으로 물이 유입되고 물이 25㎝까지 차오르면 부력기가 올라가 상수도와 연결된 파이프를 막고 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이 물탱크에 밑바닥에서 12.5㎝에서 25㎝지점 사이의 물이 다시 채워지는 과정에서도 만약 하부 변기에 일정수면의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면 수관(d)를 통해 소량의 물이 (e)를 통해 하부변기로 흘러 나가서 하부 변기에 일정정도 이상의 수면의 물이 항시 고여 있도록 해준다. 소변용 방류파이프(f')(내경이 6㎝)는 대변용 방류파이프(f)(내경이 5.5㎝)보다 내경이 0.5㎝넓게 하였다.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통해 내려가는 물은 대변용 방류파이프(f)를 통해 내려가는 물보다 양도 적고 수압도 낮아 소변용 방류파이프(f')의 내경을 대변용 방류파이프(f)보다 넓게 하여 그것을 보완하고자 함에 있다. 물탱크에서 물이 내려가는 파이프가 두개 있으니 하부 좌변기 <도면 3>에도 물이 통하는 구멍이 두 개 뚫려 있어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소변 후에는 소변용 변기꼭지(h')을 눌러 수면 25㎝까지 차 있는 물탱크 전체의 물을 다 내리지 않고 물탱크 밑바닥에서 12.5㎝지점보다 높은 곳에 차 있는 물탱크 전체 수량의 1/2정도의 물만을 내려 하부변기에 있는 소변을 씻어 내릴 수가 있다.이렇게 함으로써 대변에 비해 자주 보는 소변시에 는 대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의 1/2만을 내릴 수 있게 되어 많은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지금 현재 대한민국 내에 일반 가정주택의 화장실은 대부분이 좌변식 변기가 설치되어 있다.그런데 일반 가정주택의 화장실에는 소변기가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그리고 좌변기에 이용되는 물이 일반 생활용수와 동질의 것을 사용하고 있음도 현실이다.이것은 일반가정 주택뿐만이 아니고 여관,호텔 등도 마찬가지이다.가정에서 소변을 본 뒤에도 대변을 본 때와 마찬가지로 물을 내리고 이로 인해 전 국가적으로 낭비되는 물은 엄청난 양이라 할 것이다. 만약 이 고안이 전 국가의 가정에서 이용이 된다면 많은 양의 수자원을 절약할 수가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좌변기 변기의 상부물탱크(a)에 별도의 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상부물탱크 밑바닥으로부터 최고수면(물탱크 밑바닥으로부터 윗쪽으로 25㎝지점)의 1/2지점(물탱크 밑바닥으로부터 윗쪽으로 12.5㎝지점)까지 설치하고 하부좌변기에 소변용 방류파이프(f')을 통해 방류되는 물이 통할 수 있는 통로(내경 6.5.㎝)를 별도로 만든 좌변식 변기.
KR2020000004743U 2000-02-21 2000-02-21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KR200191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43U KR200191293Y1 (ko) 2000-02-21 2000-02-21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43U KR200191293Y1 (ko) 2000-02-21 2000-02-21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207A Division KR20000036659A (ko) 2000-03-24 2000-03-24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293Y1 true KR200191293Y1 (ko) 2000-08-16

Family

ID=1964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743U KR200191293Y1 (ko) 2000-02-21 2000-02-21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3901B (zh) 双水箱节水马桶
CN201045201Y (zh) 家庭废水利用装置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191293Y1 (ko)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225966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100529283C (zh) 抽水马桶节水冲便给水装置
KR20000036659A (ko) 대변시와 소변시에 내리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물을절약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CN201087464Y (zh) 抽水马桶节水冲便给水装置
KR100753961B1 (ko) 소음예방 및 절수형 소, 대변기
KR200251161Y1 (ko) 변기용 절수장치
CN2818588Y (zh) 马桶用水箱及使用该水箱的马桶和马桶洗脸盆联用节水装置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JP3097053U (ja) 用水回収保存分段給水装置を具えたトイレタンク
KR200291589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CN201534990U (zh) 家用厨卫节水装置
KR200327204Y1 (ko) 양변기와 재래변기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CN101294409A (zh) 节水座便器
CN2491497Y (zh) 双水源节能座便水箱
KR20033193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32451Y1 (ko) 물 절약형 사이폰 없는 평저(平底) 실내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