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060Y1 -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 Google Patents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060Y1
KR200191060Y1 KR2020000004666U KR20000004666U KR200191060Y1 KR 200191060 Y1 KR200191060 Y1 KR 200191060Y1 KR 2020000004666 U KR2020000004666 U KR 2020000004666U KR 20000004666 U KR20000004666 U KR 20000004666U KR 200191060 Y1 KR200191060 Y1 KR 200191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upright
cursor
stand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석
Original Assignee
이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석 filed Critical 이경석
Priority to KR2020000004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Abstract

본 고안은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가능하며 대략 상협하광을 이루도록 저면이 둥글게 형성된 몸체(11,21)와, 상기 몸체(11,21)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중량체(13)와, 상기 몸체(11,21)의 외주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조작버튼부(15)와, 상기 몸체(11,21)에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커서의 위치을 결정하는 커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직립이 가능하여 유선식, 무선식, 광센서식, 터치센서식 또는 트랙볼식의 마우스로 적용가능하며, 종래의 마우스와 달리 사용자의 손을 세워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목에 피로가 쌓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장식물 및 캐릭터를 적용함으로써 장식성이 우수한 점과,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책상위의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인체 공학적인 구조로 인해 그 정밀도 및 정확도가 향상되는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Standing mouse having shape of tumbling doll}
본 고안은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형상으로 직립가능하며, 장식성이 우수하고, 장시간 작업시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매우 중요한 컴퓨터 입력수단으로서 특히 컴퓨터의 운영체계가 과거의 도스개념으로부터 윈도우 개념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 역할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즉, 평면 상에서 이동시킨으로써 좌표값을 발생하는 도형 입력기기로서 볼의 회전에 의해서 상대적인 이동방향과 이동거리가 측정된다. 이는 도형 처리 뿐만 아니라, 텍스트 편집에 있어서도 커서의 위치 결정에 사용된다. 아울러, 마우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볼식 마우스 외에 유선,무선식 마우스, 트랙볼식 마우스, 광센서식 마우스 또는 터치센서식 마우스 등으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획일화 된 마우스 형상은 손바닥으로 감쌀 수 있도록 대부분 등부분이 둥글게 곡면처리 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작업자의 손바닥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동안 마우스를 잡고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목에 피로가 쌓이게 되고, 책상의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왜곡된 자세로 인해 그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손을 세워 파지할 수 있도록 계란형상으로 직립가능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장식성이 우수한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커서 이동수단의 다른 구현예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몸체 13... 중량체
15... 조작버튼부 17... 마우스선
19... 장식물 31... 볼
33... 트랙볼 35... 광센서부
37... 터치센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는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가능하며 대략 상협하광을 이루도록 저면이 둥글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중량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조작버튼부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커서의 위치을 결정하는 커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서 이송수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면으로 일부 돌출된 볼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최상부로 돌출되어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는 트랙볼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광센서부 또는 터치센서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장식물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직립이 가능하여 유선식, 무선식, 광센서식 , 터치센서식 또는 트랙볼식의 마우스로 적용가능하며, 사용자의 손을 세워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목에 피로가 쌓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장식물 및 캐릭터를 적용함으로써 장식성이 우수한 점과,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며 책상위의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인체 공학적인 구조로 인해 그 정확도가 향상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는 컴퓨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며 대략 상협하광을 이루도록 저면이 둥글게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가 쓰러졌다 다시 직립될 수 있도록 몸체(11)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중량체(13)와, 상기 몸체(11)의 외주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조작버튼부(15)와, 상기 몸체(11)에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커서의 위치을 결정하는 커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는 상측부분은 좁은 반면 하측부분이 넓게 형성되고, 저면이 둥글게 형성된 계란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몸체(11)의 표면에는 장식이 가능한 여러가지 형상과 다양한 문양이나 문자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는 마우스선(17)이 미도시된 컴퓨터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는 후술되는 중량체(13)와 커서 이송수단이 그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의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13)가 마련되되, 상기 중량체(13)는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몸체(11)와 다른 재질로 된 중량성 구조체가 내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1)는 저면이 둥글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중량체(13)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오뚝이 같이 넘어지게 되면 다시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손을 세워 몸체(11)를 파지할 수 있어 장시간 동안 커서의 이동에 따른 마우스의 이동이나 후술되는 조작버튼부(15)의 클릭시 팔이 움직이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아울러, 몸체(11)를 파지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정밀도 및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크기가 작고 가벼워 노트북 컴퓨터와 함께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책상위의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외주에는 더블클릭과 선택클릭의 기능을 가지는 조작버튼부(15)가 종방향 즉, 위아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을 세워 몸체(11)를 파지하기 때문에 검지와 중지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서 이동수단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볼(31)을 채용한 것으로 볼의 회전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볼(31)은 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면으로 일부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 이동수단의 다른 구현예는 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부분이 최상부로 돌출된 통상적인 트랙볼(33)을 구비한다. 상기 트랙볼(33)은 사용자가 몸체(11)를 파지하였을 때 엄지손가락과 접촉되고, 트랙볼(33)의 회전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 이동수단의 또 다른 구현예는 몸체(11)의 일측 예컨대, 몸체(11)의 저면 또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통상적인 광센서부(35)를 구비하여 광신호의 수발광신호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선(17)은 광센서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배제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 이동수단의 또 다른 구현예는 몸체(11)의 일측 예컨대, 몸체(11)의 상면에 마련된 통상적인 터치센서부(37)를 구비하여 엄지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수발광신호에 의해 커서를 원하는 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도, 마우스선(17)은 터치센서부(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배제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나 그 형상이 원추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즉, 몸체(21)는 저면이 둥글고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가 편하며 계란형 보다 더 작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는 중량체(13)가 구비된 몸체(11)에 장식물(19) 예컨대, 여러가지 형상의 캐릭터나 모형을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면의 몸체(11)는 일 실시예의 계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실시예의 원추형 또는 그 외의 상협하광의 형상으로도 형성가능하다. 따라서, 어린이들이나 여성들에게 호감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장식성이 우수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책상 등에 장식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는 직립이 가능하여 유선식,무선식, 광센서식, 터치센서식 또는 트랙볼식의 마우스로 적용가능하며, 사용자의 손을 세워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목에 피로가 쌓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장식물을 적용함으로써 장식성이 우수한 점에 그 첫째 장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책상위의 공간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 그 둘 째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인체 공학적인 구조로 인해 그 정밀도 및 정확도가 향상되는 점에 그 셋째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가능하며 대략 상협하광을 이루도록 저면이 둥글게 형성된 몸체(11,21)와, 상기 몸체(11,21)의 내측 하부에 마련된 중량체(13)와, 상기 몸체(11,21)의 외주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조작버튼부(15)와, 상기 몸체(11,21)에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커서의 위치을 결정하는 커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송수단은,
    상기 몸체(1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면으로 일부 돌출된 볼(31)과, 상기 몸체(11,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최상부로 돌출되어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는 트랙볼(33)과, 상기 몸체(11,21)의 일측에 설치된 광센서부(35) 또는 터치센서부(37)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21)는 장식물(19)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KR2020000004666U 2000-02-21 2000-02-21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KR200191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66U KR200191060Y1 (ko) 2000-02-21 2000-02-21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66U KR200191060Y1 (ko) 2000-02-21 2000-02-21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060Y1 true KR200191060Y1 (ko) 2000-08-16

Family

ID=196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66U KR200191060Y1 (ko) 2000-02-21 2000-02-21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0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576A (ko) * 2002-12-10 2004-06-16 오인환 멀티미디어를 위한 인체공학적 입력장치
KR100648980B1 (ko) 2004-09-24 2006-11-28 오인환 컴퓨터용 입력 장치
KR101331272B1 (ko) * 2013-05-29 2013-11-20 서규선 버티컬 마우스
KR101400707B1 (ko) 2013-03-07 2014-05-29 서규선 손목과 손가락 피로 저감용 마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576A (ko) * 2002-12-10 2004-06-16 오인환 멀티미디어를 위한 인체공학적 입력장치
KR100648980B1 (ko) 2004-09-24 2006-11-28 오인환 컴퓨터용 입력 장치
KR101400707B1 (ko) 2013-03-07 2014-05-29 서규선 손목과 손가락 피로 저감용 마우스
KR101331272B1 (ko) * 2013-05-29 2013-11-20 서규선 버티컬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8958B2 (en) Ergonomic side grip computer mouse
US20050052412A1 (en) Hand manipulated data apparatus for computers and video games
US20010050673A1 (en) Ergonomic fingertip computer mouse
US5045842A (en) Computer input device
US20020171625A1 (en) Pistol-grip trackball mouse
US20030160765A1 (en) Facile ergonomic computer pointing device
KR200191060Y1 (ko)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JP2005524897A (ja) 人間工学的形状のコンピュータ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5524897A5 (ko)
US7321358B2 (en) Pointing stick with function pad for two handed operation
CN202159310U (zh) 一种横握舒适多键鼠标
KR200381353Y1 (ko) 컴퓨터용 서있는 마우스
WO1999042919A1 (en) Cursor control device with control stick and hand support
US20020113775A1 (en) Ergonomic hand-held computer input device
KR200274062Y1 (ko) 마우스
KR101992993B1 (ko) 무선 마우스
WO2011049481A1 (ru) Стилус
KR200413792Y1 (ko) 컴퓨터용 서있는 마우스
CN203084676U (zh) 一种新型电脑鼠标
RU17828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WO2011020219A1 (zh) 人机接口装置及操纵方法
JP3096524U (ja) マウス
KR200244385Y1 (ko) 컴퓨터용 마우스
JP2001243013A (ja) 指先だけで掴んで操作するマウスと手首の負担軽減の手首載せ台。
KR200360662Y1 (ko)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