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980B1 - 컴퓨터용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980B1
KR100648980B1 KR1020040077325A KR20040077325A KR100648980B1 KR 100648980 B1 KR100648980 B1 KR 100648980B1 KR 1020040077325 A KR1020040077325 A KR 1020040077325A KR 20040077325 A KR20040077325 A KR 20040077325A KR 100648980 B1 KR100648980 B1 KR 10064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housing
computer
inpu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243A (ko
Inventor
오인환
Original Assignee
오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환 filed Critical 오인환
Priority to KR102004007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4Ergonomic shaped mouse for vertical grip, whereby the hand controlling the mouse is resting or gripping it with an attitude almost vertical with respect of the work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조작성능과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버튼이 외측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를 가진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변위 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과 상기 변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변위정보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기 용이한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로 형성된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구현하고, 그 저면에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변위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여, 장시간 입력 장치 시용시 손가락과 팔 근육의 피로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마우스, 기능 키, 네비게이션 키, 스크롤 휠

Description

컴퓨터용 입력 장치{Input device for computer}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파지 하였을 때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구동 회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버튼 조합에 의한 단축키의 동작을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조작성능과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다. 키보드는 문자 입력을 위해 사용되며, 마우스는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마우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트의 이동, 아이콘의 선택 및 드래그, 실행 명령의 입력 등에 사용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우스는 좌측버튼과 우측버튼, 그리고 스크롤 휠이 구비된 3 버튼 마우스이다.
이러한 3버튼 마우스는 구조적으로 본체 상부 전면에 마우스 버튼과 스크롤 휠이 위치하고,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변위센서는 본체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우스의 구조는 그래픽 작업이나, 게임과 같은 마우스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 사용시 마우스 포인트의 이동을 위한 손목과 팔의 움직임, 손목 또는 팔꿈치를 중심으로 하여 팔의 근육이 긴장되게 뒤틀린 상태에서 움직임이 빈번하게되어 사용자에게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구 조의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통해 컴퓨터용 입력 장치 사용시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키보드를 통해서만 입력 가능한 부가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키를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에서 적합한 조절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수단이 구비된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다수의 입력버튼과 임의의 조합을 통해 키보드의 부가기능 키 입력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버튼이 외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기 용이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를 가진 본체 하우징과, 그 저면에 본체 하우징의 변위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와,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입력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과 변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변위정보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본체 하우징은 손으로 감싸기 용이한 예를 들면, 원통형 또는 계란형태와 같은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를 가진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본체 하우징을 감싸쥐었을 경우 검지, 중지, 약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예를 들면, 아이콘의 선택 및 드래그, 실행 명령의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버튼이 본체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모니터상의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시키며, 다수의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본체 하우징 파지시에 엄지손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기능 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본체 하우징의 특징적인 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사용자가 파지 하였을 경우 엄지손가락은 그 움직임이 다른 손가락들에 비해 자유로워지는데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의 측면으로 엄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가적인 기능의 입력이 가능한 기능 키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 키를 이용하여 키보드의 방향 키, 쉬프트, 컨트롤키와 같은 부가적인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본체 하우징의 상단에는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그 일부가 돌출 되게 형성되는 스크롤 휠을 더 포함한다.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스크롤 휠은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해 주어 긴 문서 또는 웹사이트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그 하단에 사용자가 사용중 편리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마다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파지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통해 임의대로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기능 키와 입력버튼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적인 기능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게임과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익숙한 단축키의 활용이 빈번한데 이러한 단축키를 기능 키와 입력버튼의 조합에 의해 저장하였다가 해당 프로그램 사용시 키보드의 입력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파지 하였을 때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외측에 형성되어 검지, 중지, 약지를 사용하여 조작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다수의 입력버튼(110)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기 손쉬운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를 가진 수직형태로 형성된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하우징(100) 저면에 구비되며 본체 하우징(100)의 변위 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120)와,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입력버튼(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과, 본체 하우징(100) 하단 중앙에 위치하며 컴퓨터용 입력 장치 (10)의 변위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변위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구동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본체 하우징(100)은 종래 마우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손과 손목의 피로감을 덜 주기 위한 수직구조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를 가진 원통형 또는 계란과 같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입력버튼(110)은 사용자가 컴퓨터용 입력 장치(10) 파지시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이 위치한 곳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입력버튼(110)은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서 원하는 아이콘 또는 파일의 선택, 드래그, 실행 명령,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 검색의 요청과 같은 입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4개의 손가락에 대응되도록 4개의 입력버튼(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검지와 대응되는 버튼은 가장 많이 사용되므로, 일반적인 마우스의 휠을 중심으로 왼쪽에 구비된 입력버튼(110)과 같이 실행명령의 입력을 수행한다. 중지와 대응되는 입력버튼(110)은 파일, 폴더의 선택 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된다. 약지와 대응되는 입력버튼(110)은 문서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사용시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에 따른 명령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새기 손가락은 이전 페이지로의 이동에 따른 명령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본체 하우징(100)의 측면으로 파지시 엄지손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기능 키(130)를 더 포함한다. 기능 키(130)는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이 움직일 수 있는 상, 하, 좌, 우의 네 가지의 방향과 중앙을 포함하는 다섯 개의 접점을 가진 네비게이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상, 하, 좌, 우의 방향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커서의 방향을 조절, 문서 프로그램 구동시 페이지 업/다운 명령, 키보드에서 부가기능 키로 사용되는 쉬프트, 컨트롤 키 등의 입력은 물론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단축 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본체 하우징(100)의 상단으로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그 일부가 돌출 되게 형성되는 스크롤 휠(140)을 더 포함한다. 스크롤 휠(140)은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상단에 일부가 외부로 돌출 되게 구비되며, 화면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해 주어 긴 문서 또는 웹사이트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변위센서(120)는 본체 하우징(100) 저면에 구비되며, 예를 들면,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산하는 빛이 바닥으로 쏘아지고, 바닥에서 반사된 빛을 입력받는다. 바닥은 모두 똑같지 않고, 미묘한 차이가 있다.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변위센서(120)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의 CCD 화면 같이 이러한 차이를 모두 인지하고, 그 차이를 전압의 변화로 구동 회로부(미도시)로 출력한다.
구동 회로부(미도시)는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 및 스크롤 휠(14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과,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센서(120)로부터 감지되어 출력되는 변위정보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생성하여 컴퓨터로 출력한다. 이러한 구동 회로부(미도시)의 구성은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구동 회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구동 회로부(300)는 변위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변위정보를 수신하여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거리와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 스크롤 휠(14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310)와, 제어부(310)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310)는 변위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변위정보 즉, 전압의 변화를 수신하여 이전의 전압과 비교하고, 일련의 전압 패턴이 변화한 것을 토대로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움직임을 산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좌표 값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 스크롤 휠(14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조작명령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 스크롤 휠(140)이 눌려지거나 회전하게되면, 해당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 스크롤 휠(140)은 제어부(310)로 전기적 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부(310)는 전기적 신호가 송출되는 버 튼을 디멀티플렉서와 같은 스위칭 소자를 통해 구별하고, 해당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의 입력이나, 스크롤 휠(140) 회전에 대응하는 버튼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제어부(310)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움직임에 따른 좌표 값과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의 버튼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한다. 컴퓨터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좌표에 따라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위의 마우스 포인트를 움직이며, 버튼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버튼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버튼 식별 코드와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움직임에 따른 좌표 값은 PWM 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로 전송된다. PWM(Pulse Width Modulation)은 제어부(310)에서 발생하는 펄스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듀티비는 제어부(310)에서 발생하는 한 주기(T)에 대한 High 신호의 시간의 비율이다. 예를 들면, 펄스 신호의 듀티비가 변함으로서 제어신호의 평균값이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평균값을 입력 신호값으로 하여 컴퓨터에 전송한다.
인터페이스부(320)는 일종의 통신모듈로써, 제어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RF, 적외선 통신,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RF, 적외선 통신,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들은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구동 회로부(30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입력신호는 입력버튼(110)과 기능 키(130)의 입력 조합으로 부가기능의 실행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기반의 게임을 구동하여 플레이할 경우 사용자는 마우스의 조작 외에 키보드를 통한 단축키의 활용이 빈번하다. 이러한 단축키들은 대부분 쉬프트 또는 컨트롤키와 같은 부가기능 키와 별도의 문자 또는 숫자 키를 함께 입력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상술한 게임 및 문서 편집 프로그램,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단축키들을 입력버튼(110)과 기능 키(130)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버튼 조합에 의한 단축키의 동작을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입력버튼(110)과 기능 키(130)의 조합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키보드의 통한 입력 없이 구현이 가능하다.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의 입력순서에 따라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의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다. 컴퓨터는 인터페이스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버튼(110) 또는 기능 키(130)의 식별 코드의 순서를 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식별 코드의 순서에 따른 기능을 해석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별 단축키를 기능 키(130)와 입력버튼(110)의 조합에 의해 저장하였다가 해당 프로그램 사용시 키 보드의 입력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각도 조절 수단을 도 4a와 도 4b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각도 조절 수단은 하단이 평평한 하게 형성되고 그 상단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타원형 구(160)와, 본체 하우징(100)의 배면에 타원형 구(160)가 결합되는 회동공간(150)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이 전후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 하우징(100) 배면에는 하단은 형평하고 상단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타원형 구(160)가 체결되는 회동공간(150)이 구비된다. 본체 하우징(100)의 배면에는 타원형 구(160)가 삽입되어 전후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공간(150)이 형성된다. 회동공간(150)의 입구 지름은 타원형 구(150)의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타원형 구(1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타원으로 형성된 타원형 구(160)의 상부와 그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회동공간(150)은 전후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파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각도조절 수단은 본체 하우징(100)을 지지하며, 상면 중앙에 볼(181)이 형성된 받침대(180)와, 본체 하우징(100)의 배면에 볼(181)이 결합되는 회동부(170)를 통해 본체 하우징(100)이 전후좌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 하우징(100)의 하단과 볼 결합되어 본체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받침대(180)를 더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00)의 배면 중앙에는 받침대(18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볼(181)이 삽입되어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부(170)가 형성된다. 본체 하우징(100)의 회동부(170)에 받침대(180)의 상면에 구비된 볼(181)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컴퓨터용 입력 장치(10)의 파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본체 하우징(100) 하부에 착탈 가능한 손 받침대(190)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한다. 또한, 게임 또는 그래픽 작업은 오랜 시간동안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를 사용해야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를 파지하고 오랜 시간 작업을 할 경우 책상 바닥과 손의 마찰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본체 하우징(100) 하단에 착탈 가능한 손 받침대(190)를 더 포함하여 책상 바닥과 손의 마찰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방지함을 물론 미사용시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를 거치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는 본체 하우징(100)의 양 측면에 사용자가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예를 들면, 고무소재의 패드(200)를 더 포함한다. 패드(200)는 장시간의 작업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파지시 착용 감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용 입력 장치(10)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작업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파지시 착용 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드(200)의 소재는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요철이나, 가죽, 벨벳 천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기 용이한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로 형성된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구현하고, 그 저면에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변위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여, 장시간 입력 장치 사용시 손가락과 팔 근육의 피로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수의 입력버튼을 검지, 중지, 약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배열로 형성하여, 손과 팔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파지시 엄지손가락과 대응되는 위치로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기능 키 를 형성하여, 키보드의 방향 키, 쉬프트, 컨트롤키와 같은 부가적인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본체 하우징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그 일부가 돌출 되게 형성되는 스크롤 휠을 구비함으로써,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해 주어 긴 문서 또는 웹사이트를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수단을 형성하여 손과 팔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컴퓨터용 입력 장치의 외측으로 엄지손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가기능에 따른 기능 키를 형성시켜 다수의 입력버튼과 임의의 조합을 통해 키보드의 소정 키 입력과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그래픽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착탈 가능한 손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책상 바닥과 손의 마찰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방지함을 물론 미사용시 컴퓨터용 입력 장치를 거치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체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 패드를 형성시켜, 장시간의 작업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파지시 착용 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 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버튼이 외측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길고 파지에 적합한 길이의 둘레를 가진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변위정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변위센서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으로 파지시 엄지손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기능 키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단으로 좌우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그 일부가 돌출 되게 형성되는 스크롤 휠과;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변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변위정보와, 상기 입력버튼, 기능 키, 스크롤 휠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을 수신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고, 상기 입력버튼과 기능 키의 입력 조합을 통해 부가기능의 실행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부와;
    파지시 전후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이;
    하단이 평평한 하게 형성되고 그 상단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타원형 구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타원형 구가 결합되는 회동공간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이 전후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을 지지하며, 상면 중앙에 볼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볼이 결합되는 회동부를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이 전후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용 입력 장치가:
    상기 본체 하우징 하부에 착탈 가능한 손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용 입력 장치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 측면에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
KR1020040077325A 2004-09-24 2004-09-24 컴퓨터용 입력 장치 KR10064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325A KR100648980B1 (ko) 2004-09-24 2004-09-24 컴퓨터용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325A KR100648980B1 (ko) 2004-09-24 2004-09-24 컴퓨터용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243A KR20060028243A (ko) 2006-03-29
KR100648980B1 true KR100648980B1 (ko) 2006-11-28

Family

ID=3713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325A KR100648980B1 (ko) 2004-09-24 2004-09-24 컴퓨터용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537B1 (ko) * 2011-07-07 2013-10-01 하재석 한 손으로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KR101331272B1 (ko) * 2013-05-29 2013-11-20 서규선 버티컬 마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60Y1 (ko) 2000-02-21 2000-08-16 이경석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KR20010091060A (ko) * 2000-03-09 2001-10-23 임우빈 코팅 테이프 및 점착처리된 테이프를 사용치 않는 압전사스티커의 제조방법
JP2002132440A (ja) 2000-10-26 2002-05-10 Nec Corp ワイヤレス空中マウス
KR200323682Y1 (ko) 2003-05-16 2003-08-21 김수현 손목진통 방지용 컴퓨터 마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60Y1 (ko) 2000-02-21 2000-08-16 이경석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KR20010091060A (ko) * 2000-03-09 2001-10-23 임우빈 코팅 테이프 및 점착처리된 테이프를 사용치 않는 압전사스티커의 제조방법
JP2002132440A (ja) 2000-10-26 2002-05-10 Nec Corp ワイヤレス空中マウス
KR200323682Y1 (ko) 2003-05-16 2003-08-21 김수현 손목진통 방지용 컴퓨터 마우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91060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243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993A1 (en) Computer mouse
JP4099450B2 (ja) 手袋コンピュータマウス
US6828958B2 (en) Ergonomic side grip computer mouse
US5936612A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3-D direct manipulation of graphic objects
KR101205023B1 (ko) 컴퓨터 마우스 주변 장치
US5982356A (en) Ergonomic computer cursor control apparatus and mount
US6359611B2 (en) Finger controlled computer mouse
US20020171625A1 (en) Pistol-grip trackball mouse
US20070279380A1 (en) Computer input device
US8022930B2 (en) Ergonomic input device
US7705827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7453436B2 (en) Hand-held on-screen control device
US6954198B2 (en) Ergonomically shaped computer pointing device
US6680728B1 (en) Cursor control device for convenient and ergonomic hand-held or work-surface use
KR100648980B1 (ko) 컴퓨터용 입력 장치
JP2005524897A5 (ko)
US20080316170A1 (en) Computer Mouse
US20050030288A1 (en) Portable and ergonomic computer input device
KR100354970B1 (ko) 컴퓨터용 마우스 장치
US20040008184A1 (en) Ergonomic electronic input device
KR200369111Y1 (ko) 상하좌우 스크롤링이 가능한 마우스
CN2911780Y (zh) 手持式休闲鼠标
JP2002149334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KR200360662Y1 (ko) 마우스
KR200241465Y1 (ko) 마우스 대체용 펜타입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