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915Y1 - 양측 오픈 도어 - Google Patents

양측 오픈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15Y1
KR200190915Y1 KR2020000005053U KR20000005053U KR200190915Y1 KR 200190915 Y1 KR200190915 Y1 KR 200190915Y1 KR 2020000005053 U KR2020000005053 U KR 2020000005053U KR 20000005053 U KR20000005053 U KR 20000005053U KR 200190915 Y1 KR200190915 Y1 KR 200190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roove
door
door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기찬
Original Assignee
도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기찬 filed Critical 도기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rad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 오픈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부가 형성된 전방 일측 상하단에 제1홈(14)(32)(42)(52)에 형성되고, 타측 상하단에 제2홈(16)(33)(43)이 형성된 본체(11)(31)(41)(51)와; 제1홈(14)(32)(42)(52)에 결합되도록 일측 상하단에 제1힌지(19)(35)(47)(56)가 형성되고, 제2홈(16)(33)(43)에 결합되도록 타측 상하단에 제2힌지(20)(36)(50)(57)가 형성되며, 외면 양측에 각각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18)(34)(44)(53)로 이루어져; 제2힌지(20)(36)(50)(57)측 손잡이를 당기면 제2힌지(20)(36)(50)(57)와 제2홈(16)(33)(43)이 분리되면서 제1힌지(19)(35)(47)(56)가 제1홈(14)(32)(42)(52)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1힌지(19)(35)(47)(56)측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제1힌지(19)(35)(47)(56)와 제1홈(14)(32)(42)(52)이 분리되면서 제2힌지(20)(36)(50)(57)가 제2홈(16)(33)(4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된 양측 오픈 도어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제1힌지(19)(35)(47)(56)측의 도어손잡이를 당기면 도어(18)(34)(44)(53)가 제2힌지(20)(36)(50)(57)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고, 제2힌지(20)(36)(50)(57)측 도어 손잡이를 당기면 도어(18)(34)(44)(53)가 제1힌지(19)(35)(47)(56)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므로, 하나의 도어를 사용하여 양측 방향으로 열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및 제작공수가 절감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양측 오픈 도어{BOTH SIDES OPEN DOOR}
본 고안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좌측 또는 우측을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된 양측 오픈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어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사람이 드나드는 문으로부터 장농, 냉장고, 자동차 등 이루 열거할 수 없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그 대부분의 도어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의 반대쪽은 힌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자유단으로서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도어를 열 때, 왼 손 또는 오른 손을 선택함에 있어서 어느 한 손은 도어의 사용이 불편할 수 있게 된다.
즉, 오른 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관계로 대부분의 도어 역시 오른 손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왼 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나름대로 상당한 불편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도 1은 종래 도어를 가진 박스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이, 본체(1)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2)는 그 일측이 힌지(3)에 의해 본체(1)에 회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도어의 자유단 외측에는 손잡이(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를 잡고 도어(2)를 여닫을 때 오른 손의 사용은 편리한 반면, 왼 손으로 여닫고자 할 때에는 그 자세가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양측 오픈 도어가 개발되어 출원되었다.
이 양측 오픈 도어는, 본체(5)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본체(5)의 개구부 일측에서 제1힌지(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어(6)와; 제1도어(6)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크기로 되고, 일측이 제1도어(6)의 자유단에 제2힌지(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힌지(7) 또는 제2힌지(9)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10)가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도어(8)로 이루어지므로, 왼 손 또는 오른 손을 임의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도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양측 오픈 도어는, 두개의 도어(6)(8)가 구비되고, 각각의 도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폐되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제작하기가 그만큼 복잡하였으며, 이에 따라 작업공수 증가, 원가 상승 등의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도어를 양 방향으로 열 수 있도록 한 양측 오픈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전방 일측 상하단에 제1홈에 형성되고, 타측 상하단에 제2홈이 형성된 본체와; 제1홈에 결합되도록 일측 상하단에 제1힌지가 형성되고,제2홈에 결합되도록 타측 상하단에 제2힌지가 형성되며, 외면 양측에 각각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로 이루어져; 제2힌지측 손잡이를 당기면 제2힌지와 제2홈이 분리되면서 제1힌지가 제1홈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1힌지측 손잡이를 당기면 제1힌지와 제1홈이 분리되면서 제2힌지가 제2홈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힌지측 도어 손잡이를 당기면 도어가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고, 제2힌지측 도어 손잡이를 당기면 도어가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므로, 하나의 도어를 사용하여 양측 방향으로 열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 및 제작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 도어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 종래 양측 오픈 도어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양측 오픈 도어의 일 실시예를 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6 - 상기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부분 평면도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들
도 7 -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 및 도 9 - 도 7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부분 단면도들
도 10 -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 - 도 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
도 12 - 도 10 및 도 1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분리 정면도
도 13 -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31,41,51 ; 본체 13 ; 제1회동편
14,32,42,52 ; 제1홈 15, ; 제2회동편
16,33,43 ; 제2홈 17 ; 작동간
18,34,44,53 ; 도어 19,35,47,56 ; 제1힌지
20,36,50,57 ; 제2힌지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대별하여 개구부(12)를 가지는 본체(11)와 도어(18)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1)의 개구부(12) 상단 양측에는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제1회동편(13)에는 제1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회동편(15)에는 제2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홈(14)과 제2홈(16)은 도어의 정면에서 볼때 서로 9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각 홈이 부채형의 각을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제1홈(14) 및 제2홈(16)이 일자형장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의 상부에는 작동간(17)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어 제1회동편(13) 및 제2회동편(15) 중, 어느 하나가 회동되면 다른 것이 연동되도록 되어 있는바, 작동간(17)의 양단이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의 상부에 연결되므로 이들의 회동 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동간(17)의 양단이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의 각 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어(18)는, 전방 양측에 각각 손잡이(21)(22)가 구비되어 있고, 제1회동편(13)에 대향되는 일측 상하단에는 제1힌지(19)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회동편(15)에 대향되는 타측 상하단에는 제2힌지(2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18)에 형성된 제1힌지(19) 및 제2힌지(20)는 도어(18)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수록 도어(18)의 회전반경이 커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체(11)와 도어(18)는 도4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바, 제1홈(14)과 제2홈(16)의 각도가 90°이내이고, 제1홈(14) 및 제2홈(16) 중 내측 대응면이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어(18)의 제1힌지(19)와 제2힌지(20)가 동시에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측의 손잡이(21)를 도5와 같이 'A'방향으로 당기면 제2힌지(20)가 당겨지면서 제2홈(16)의 접촉면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회동편(15)이 'B'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작동간(17)이 'C'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제1회동편(13)을 'D'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21)를 당기면 제2힌지(20)가 제2회동편(15)의 제2홈(16)으로부터 분리되며, 제1힌지(19)가 제1회동편(13)의 제1홈(14)에 결합지지되므로 도어(18)가 제1힌지(19)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된다.
한편 도6과 같이 타측의 손잡이(22)를 'E'방향으로 당기면, 제1힌지(19)가 당겨지면서 제1홈(14)의 접촉면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회동편(13)이 F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작동간(17)이 G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제2회동편(15)을 H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어(18)의 제2힌지(20)와 제2회동편(15)의 제2홈(16)이 결합되면서 제1힌지(19)와 제1홈(14)은 분리되므로 도어(18)가 도5와는 반대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는, 양측의 손잡이(21)(22) 중, 어느쪽의 손잡이를 당기든지 당기는 쪽의 결합부위는 분리되고 반대측의 결합부위는 확실히 힌지결합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도어(18)를 사용하여서 양측 방향으로 오픈시킬 수 있게 되므로 두개의 도어를 사용하였던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작업공수 및 제작 단가가 절감된다.
이러한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는 제1힌지(19)와 제2힌지(20)가 도어(18)에 형성되고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이 본체(11)에 설치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로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이 도어(18)에 형성되고 제1힌지(19)와 제2힌지(20)가 본체(11)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7은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8 및 도9는 그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로써, 본체(31) 전방의 일측 상하단에는 제1홈(3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상하단에는 제2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홈(32)에 대향되는 도어(34) 일측의 상하단에는 ㄴ자형상의 제1힌지(35)가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하단에는 제1힌지(35)와 동일한 형상의 제2힌지(36)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손잡이(37)(3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는 도8과 같이 제1힌지(35) 및 제2힌지(36)의 상단이 제1홈(32) 및 제2홈(33)에 결합되어 있다가 일측의 손잡이(38)를 당기면 제2힌지(36)가 도9와 같이 회동되면서 제2홈(33)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때 제1힌지(35)는 제1홈(3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힌지 및 제2힌지 하측의 본체에 볼 및 스프링을 구비하여서 볼의 상부가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하고, 도어가 닫힌상태와 열린상태에서 볼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제1힌지와 제2힌지의 두 지점에 각각 반구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를 여닫을시 볼이 반구홈에 착탈되면서 도어의 여닫히는 동작이 확실해지며, 사용자도 도어가 완전히 닫혔는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는, 도3 내지 도6에서 설명한 구성과는 약간 다르나, 하나의 도어(34)를 양측 방향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도10 및 도11은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및 사용상태 정면도로써, 본체(41) 전방 양측 상하단에는 각각 제1홈(42)과 제2홈(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44)에는 두개의 손잡이(45)(48)가 구비되어 있고, 이 손잡이(45)(48)에는 각각 회전판(46)(49)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전판(46)(49)에는 제1힌지(47)와 제2힌지(5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양측 오픈 도어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바, 일측의 손잡이(45)를 회전시키면 회전판(46)이 회전되면서 제1힌지(47)의 외측 단부를 도어(44) 내측으로 당기게 되어 제1힌지(47)가 제1홈(42)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45)를 당기면 제2힌지(50)가 제2홈(4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어(44)가 열리게 된다.
타측의 손잡이(48)를 회전시킨 후 당길시에는 상술한 반대로 제2힌지(50)와 제2홈(43)이 분리되면서 제1힌지(47)가 제1홈(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도어(44)가 오픈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도어(44)를 양측 방향으로 오픈시킬 수 있다.
도12는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분리 정면도로써, 도어(53)의 제1힌지(56)와 제2힌지(57)의 외측단부가 ㄱ자형상으로 절곡되어서 손잡이(54)(55)를 작동시킬시에 제1힌지(56) 및 제2힌지(57)의 절곡 단부가 본체(51)의 제1홈(52) 제2홈(도시안됨)에 착탈된다는 것 외에는 도10 및 도11과 동일하다.
도13은 본 고안 양측 오픈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측단면도로써, 이는 상술한 도3 내지 도12와는 다르게 제1홈(63) 및 제1힌지(66), 그리고 2홈(도시안됨) 및 제2힌지(도시안됨)의 착탈수단이 별도로 본체(61)에 구비된 구성이다.
즉, 본체(61) 양측에 레버(62)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이 레버(62)에는 제1홈(63)이 연결되어 있어 레버(62)를 누를시 제1홈(63)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65)를 열기 위해서는 레버(62)를 눌러서 제1홈(63)과 제1힌지(66)를 분리시키고 도어(65)의 손잡이(64)를 당겨서 오픈시키게 된다.
도13에서는 제1홈(63)과 제1힌지(66)만을 도시하였으나, 제2홈과 제2힌지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결국 이러한 양측 오픈 도어도 하나의 도어(65)를 양측으로 오픈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제1힌지(19)(35)(47)(56) 측 도어 손잡이를 당기면 도어(18)(34)(44)(53)가 제2힌지(20)(36)(50)(57)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고, 제2힌지(20)(36)(50)(57)측 도어 손잡이를 당기면 도어(18)(34)(44)(53)가 제1힌지(19)(35)(47)(56)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므로, 하나의 도어를 사용하여 양측 방향으로 열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및 제작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전방 일측 상하단에 제1홈이 형성되고, 타측 상하단에 제2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1홈에 결합되도록 일측 상하단에 제1힌지가 형성되고, 제2홈에 결합되도록 타측 상하단에 제2힌지가 형성되며, 외면 양측에 각각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로 이루어져;
    상기 제2힌지측 손잡이를 당기면 제2힌지와 제2홈이 분리되면서 제1힌지가 제1홈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1힌지측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제1힌지와 제1홈이 분리되면서 제2힌지가 제2홈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오픈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 전방 일측 상하단에 상기 도어(18)의 제1힌지(19)가 결합되는 상기 제1홈(14)이 형성된 제1회동편(13)이 구비되고,
    타측 상하단에 상기 도어(18)의 제2힌지(20)가 결합되는 상기 제2홈(16)이 형성된 제2회동편(15)이 구비되며,
    상기 제1회동편(13)과 제2회동편(15)이 연동되도록 작동간(17)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오픈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35) 및 제2힌지(36)가 ㄴ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35) 및 제2힌지(36)의 중앙부위가 상기 도어(34)의 양쪽 상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오픈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47) 및 제2힌지(50)가 각각 두개의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힌지(47) 및 제2힌지(50)의 인접한 두 단부가 회전판(46)(49) 상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46)(49) 상에 각각 손잡이(45)(48)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오픈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61) 양측에 레버(62) 또는 버튼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버(62) 또는 버튼에 제1홈(63)과 제2홈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62) 또는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를시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1홈(63) 및 제2홈이 상기 제1힌지(66) 및 제2힌지와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오픈 도어.
KR2020000005053U 2000-02-24 2000-02-24 양측 오픈 도어 KR2001909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959A KR20010084148A (ko) 2000-02-24 2000-02-24 양측 오픈 도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959A Division KR20010084148A (ko) 2000-02-24 2000-02-24 양측 오픈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15Y1 true KR200190915Y1 (ko) 2000-08-01

Family

ID=196494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959A KR20010084148A (ko) 2000-02-24 2000-02-24 양측 오픈 도어
KR2020000005053U KR200190915Y1 (ko) 2000-02-24 2000-02-24 양측 오픈 도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959A KR20010084148A (ko) 2000-02-24 2000-02-24 양측 오픈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414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148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502810B (zh) 指示器式门锁
US20020163209A1 (en) Inner handle assembly of a sliding door
KR100934781B1 (ko)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101012498B1 (ko)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0190915Y1 (ko) 양측 오픈 도어
WO2004076786A1 (en) Door lock device
KR101992267B1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EP1451426B1 (en) Device consisting of a stay device and a lock device plus a window construction with such a device
KR200402605Y1 (ko) 콤팩트케이스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JP2001324259A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JP3916345B2 (ja) 両開きドア
KR102485230B1 (ko) 손끼임방지 기능이 구비된 회동식 창호
KR20010048607A (ko) 양측 오픈 도어
JPH02101276A (ja) 建物用ドア
JP4392394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JP2004137841A (ja) ハンドル錠
JP2513215Y2 (ja) 開閉障子の錠装置
KR20180092373A (ko) 푸시풀 도어락
JP2021134526A (ja) 引き戸の開き装置
JPH0111913Y2 (ko)
KR200248477Y1 (ko) 여닫이용 창문 개폐장치
JPH0539170Y2 (ko)
JPS644807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